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제1장 서론 11

1. 연구의 목적 11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구성 12

제2장 선거의식 조사의 필요성 14

1. 선거의식 조사의 의의 14

2. 선행연구 검토 15

제3장 선거의식 조사 결과 분석 21

1. 선거의식 조사 21

1) 조사대상 21

2) 조사도구 및 조사내용 22

3)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25

2. 선거의식 조사 결과 분석 26

1) 설문 결과에 따른 학생들의 선거 의식 26

2) 올바른 선거의식 함양을 위한 방안 62

제4장 선거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교육 65

1. 선거의식 함양을 위한 학교교육의 방향 65

1) 교과서의 개선방향 66

2) 수업방식의 변화 68

3) 교과 외 활동 70

2. 학교 정치 교과 시간의 수업모델 제시 71

1) 정책토론 역할극 수업 71

2) 공명선거를 주제로 한 신문 만들기 수업 74

제5장 결론 및 제언 76

1. 결론 76

2. 제언 78

참고문헌 81

부록 83

ABSTRACT 90

표목차

〈표 1〉 설문지 배부 현황 22

〈표 2〉 설문지 문항 구조 23

〈표 3〉 1번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량 (평균과 표준편차) 26

〈표 4〉 성별 정치 문제에 대한 관심 정도 (N=400) 27

〈표 5〉 2번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량 (평균과 표준편차) 28

〈표 6〉 가정에서의 정치에 관한 대화 정도 (N=399) 28

〈표 7〉 정치에 대한 정보원 (N=399) 29

〈표 8〉 4번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량 (평균과 표준편차) 30

〈표 9〉 학교 사회수업시간의 선거교육 만족도 (N=399) 31

〈표 10〉 사회수업 시간의 수업 만족도가 낮은 이유 (N=319) 32

〈표 11〉 효과적인 수업방법 (N=400) 34

〈표 12〉 6번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량 (평균과 표준편차) 35

〈표 13〉 우리나라 정치인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 (N=400) 36

〈표 14〉 투표참여 여부 (N=400) 37

〈표 15〉 투표 참여 의향이 낮은 이유 (N=52) 38

〈표 16〉 당선 가능성에 따른 투표 참여 의미 부여 여부 (N=400) 39

〈표 17〉 후보 선택시 가장 중요한 점 (N=400) 40

〈표 18〉 후보를 선택할 경우 중요 순서(인물), (N=393) 41

〈표 19〉 후보를 선택할 경우 중요 순서(공약), (N=393) 42

〈표 20〉 후보를 선택할 경우 중요 순서(정당), (N=393) 43

〈표 21〉 투표 결정시 가장 영향 받는 점 (N=397) 44

〈표 22〉 투표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문제 (N=400) 46

〈표 23〉 정당에 대한 투표 의사 (N=391) 48

〈표 24〉 지지하는 대선 후보 (N=398) 49

〈표 25〉 선거 공명도 평가 (N=400) 51

〈표 26〉 최근 선거가 공명한 이유 (N=221) 52

〈표 27〉 최근 선거가 공명하지 못한 이유 (N=179) 54

〈표 28〉 올바른 선거의식 정착에 가장 좋은 방법 (N=393) 56

〈표 29〉 공명선거를 위해 가장 필요한 점 (N=400) 57

〈표 30〉 18번 문항에 대한 기술통계량 (평균과 표준편차) 58

〈표 31〉 공명선거를 위한 자원봉사 활동 여부 (N=396) 58

〈표 32〉 특정 지역 출신 후보 지지 가능성 (N=395) 60

〈표 33〉 특정 지역 출신 후보 지지 가능성에 대한 이유 (N=85) 61

〈표 34〉 정책토론 역할극 수업 학습 지도안 73

〈표 35〉 공명선거를 주제로 한 신문 만들기 수업 학습지도안 75

초록보기

대의민주주의를 실시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공정한 선거제도와 바람직한 선거의식은 민주주의 발전의 필수조건이다. 우리나라의 민주정치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치문화 및 선거문화가 민주적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며, 이는 현재 유권자만이 아닌 몇 년 후 유권자가 되는 학생들의 역할이기도 하다.

학생들의 정치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청소년기의 선거계도는 장기적으로 매우 효율적인 성과를 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부천시의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생 400명을 대상으로 2~3년 후 유권자가 될 고등학생들의 선거의식을 파악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바람직한 선거의식 함양을 위해 필요한 대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머무르고 있는 학교에서의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학생들의 선거의식을 조사해본 결과 학생들의 정치 관심도는 그리 높지 않았으며, 가정에서의 정치적 대화도 자주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생들의 주요 정치적 정보원은 TV와 라디오였으며, 대중메체나 인터넷을 통한 계몽이 올바른 선거의식을 정착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답하였다. 선거 관련 학교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편이였고 남학생들의 불만이 더 높았다. 학생들은 이론중심의 강의식 수업에 불만을 나타내었으며, 영상자료 활용이나 역할극 수업, 토론식 수업 등의 다양한 방식의 수업을 선호하였다. 투표 참여 의지는 다소 높은 편이었으나 정치인들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이었고, 대표선출에 있어 정책과 공약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공명선거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남녀 모두 정당, 후보자 및 선거 운동원들의 준법정신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학생들의 지역주의 성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올바른 선거의식 함양을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관심과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학교에서 이루어져야 할 방안으로는 선거를 좀 더 체계적으로 다루는 사회교과서 마련과 이론 중심의 일방적 강의 수업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수업 실시, 교과 외 활동을 통한 정치교육의 강화를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