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노인의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 고길란 인기도
발행사항
군산 : 군산대학교 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M 649.1 -8-4
형태사항
v, 8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0121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군산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 2008.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문제 13

Ⅱ. 이론적 고찰 14

1. 노인에 대한 이해 14

1) 노인의 개념 14

2) 노인의 특성 15

2. 노인과 죽음 18

1) 죽음의 개념과 의미 18

2) 노인의 죽음불안 23

3. 노인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29

(1) 성 30

(2) 연령 30

(3) 배우자 유무 31

(4) 교육정도 32

(5) 동거형태 32

(6) 경제상태 32

(7) 건강상태 33

(8) 종교 33

Ⅲ. 연구방법 35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5

2. 조사도구의 구성 및 내용 36

1) 일반적 특성 36

2) 죽음불안 척도 36

3. 용어 정의 37

1) 노인(the elderly) 37

2) 죽음(death) 37

3) 죽음불안(death anxiety) 37

4. 자료 분석 및 수집 3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0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0

2. 노인이 인식하는 죽음의 의미 43

1)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의미 44

2) 죽음에 대한 중립적 의미 45

3)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의미 46

3. 노인의 죽음불안 50

1) 노인의 죽음불안 유형 50

2) 노인의 죽음불안 정도 56

3) 배경변인에 따른 총 죽음불안 정도 59

4) 배경변인에 따른 유형별 죽음불안정도 62

4. 노인의 죽음불안 양상 66

1) 죽음불안 증상 66

2) 죽음불안 인식계기 68

3) 죽음불안 완화방법 72

Ⅴ. 결론 및 논의 77

참고문헌 83

Abstract 88

질문지 91

〈표 1〉 죽음불안 척도 설문지의 구성 37

〈표 2〉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N=532 40

〈표 3〉 면접노인들의 일반적 배경 42

〈표 4〉 노인의 죽음불안에 대한 요인분석 50

〈표 5〉 노인의 유형별 죽음불안 정도 N=532 56

〈표 6〉 총 죽음불안 정도 N=532 59

〈표 7〉 유형별 죽음불안 정도 N=532 63

〈그림 1〉 노인의 유형별 죽음불안 정도 56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필연적인 죽음이라는 사실을 가까이에 둔 노인들의 죽음불안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이 가진 죽음에 부여하는 의미, 죽음불안 정도, 그리고 죽음 불안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하여 노인이 죽음에 대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여생을 죽음불안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방안을 찾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K시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53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고, 설문지 조사에 참여했던 노인 중에서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들이 인식하는 죽음에 대한 의미는 긍정적의미, 중립적의미, 또는 부정적의미 등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긍정적의미를 부여하는 노인보다 중립적의미나 부정적의미를 부여하는 노인이 월등히 많았다. 이는 대부분의 노인이 죽음 불안을 5점 만점에 3.12점으로 상당한 정도의 불안을 느낀다는 양적조사 결과와 상응하는 결과이다.

둘째, 노인의 죽음불안은 ‘소멸불안’ ‘과정불안’ ‘사후불안’이라는 3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 중 과정불안을 가장 많이 느끼며, 사후불안, 소멸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죽음불안 정도는 연령이 많을수록 죽음불안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독교를 믿는 노인이 죽음불안을 가장 낮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죽음불안 정도를 살펴본 결과, 과정불안은 연령이 많은 노인과 배우자가 없는 노인이 더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멸불안은 교육 정도별, 사후불안은 건강상태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즉 중졸 이하의 교육을 받은 노인이 소멸불안이 높았으며, 주관적으로 건강하다고 느끼는 노인이 사후불안이 높았다.

셋째, 노인의 죽음불안 양상을 죽음불안 증상, 죽음불안 인식계기, 죽음불안 완화방법 등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죽음불안 증상은 증상이 없는 사람과 있는 사람으로 분류되는데,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심리적인 증상과 신체적인 증상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죽음불안을 인식하는 계기는 나이가 들어가거나, 타인의 죽음을 경험하거나, 자신의 신체적 고통이 있을 때나, 또는 심리적으로 외로울 때에 나타났다. 이러한 증상이 있을 때는 자신의 죽음을 수용하는 방법과 운동·외출·이야기하기 등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리는 방법, 또는 기도하기 등의 신앙에 의지하는 방법으로 불안을 완화시키고 있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