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5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5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Ⅱ. 로리타 패션의 이론적 고찰 18

1. 작가 및 작품해설 18

2. 로리타 의상의 고찰 34

3. 영화속의 로리타 의상 38

(1) 감[甘] 로리타 38

(2) 고딕 로리타 42

(3) 흑(黑) 로리타 45

(4) 흰색(白) 로리타 48

(5) 클래식 로리타 52

(6) 펑크 로리타 55

(7) 인형 로리 57

4. 현대 패션속의 로리타 패션 60

Ⅲ. 작품 제작 및 작품 해설 75

1.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75

2. 작품 및 해설 76

1) 작품 I 76

2) 작품 II 82

3) 작품 III 88

4) 작품 IV 94

5) 작품 V 100

6) 작품 VI 106

7) 작품 VII 112

Ⅳ. 결론 및 제언 118

참고문헌 120

ABSTRACT 125

〈표 1〉 (제목없음) 76

〈표 2〉 (제목없음) 82

〈표 3〉 (제목없음) 88

〈표 4〉 (제목없음) 94

〈표 5〉 (제목없음) 100

〈표 6〉 (제목없음) 106

〈표 7〉 (제목없음) 112

〈그림 1〉 18세기 프랑스의 공주 혹은 귀족이기를 원하는 모모코. 24

〈그림 2〉 18세기 프랑스의 공주 혹은 귀족이기를 원하는 모모코. 24

〈그림 3〉 18세기 프랑스의 공주 혹은 귀족이기를 원하는 모모코. 25

〈그림 4〉 아버지가 팔다 남은 짝퉁 베르사체를,인터넷으로 팔아치우려는 모모코. 25

〈그림 5〉 여고생 폭주족인 이치고. 26

〈그림 6〉 침을 찍찍 뱉는 이치고. 26

〈그림 7〉 소똥이 널린 시골 마을. 27

〈그림 8〉 모모코의 유일한 즐거움. 27

〈그림 9〉 동네 폭주족인 이치고. 28

〈그림 10〉 엄마에게 당당히 말하는 초등학생인 모모코. 28

〈그림 11〉 남들이 보든 말든,자신만의 길을가는 모모코 29

〈그림 12〉 친구인 모모코와 이치코. 29

〈그림 13〉 이치코를 위해 수예를 뜨는 모모코. 30

〈그림 14〉 이치고의 폭주족 그룹. 30

〈그림 15〉 소설 ‘시모츠마 이야기’의 원작자인 타케모토 노바라(嶽本野ばら) 31

〈그림 16〉 국내 발간된 에밀리. 31

〈그림 17〉 영화「시모츠마 이야기」국내개봉포스터와 일본 포스터. 32

〈그림 18〉 Z건담 극장판 포스터 32

〈그림 19〉 베르사이유의 장미. 33

〈그림 20〉 캔디캔디. 33

〈그림 21〉 VladimirNabokov(1899-1977) 37

〈그림 22〉 국내,해외 출판된 롤리타 37

〈그림 23〉 BABY,THE STARS SHINE BRIGHT 38

〈그림 24〉 BABY,THE STARS SHINE BRIGHT 38

〈그림 25〉 BABY,THE STARS SHINE BRIGHT 39

〈그림 26〉 Angelic Pretty 39

〈그림 27〉 BABY,THE STARS SHINE BRIGHT 39

〈그림 28〉 BABY,THE STARS SHINE BRIGHT 39

〈그림 29〉 Angelic Pretty 40

〈그림 30〉 BABY,THE STARS SHINE BRIGHT 40

〈그림 31〉 BABY,THE STARS SHINE BRIGHT 40

〈그림 32〉 BABY,THE STARS SHINE BRIGHT 40

〈그림 33〉 BABY,THE STARS SHINE BRIGHT 41

〈그림 34〉 BABY,THE STARS SHINE BRIGHT 41

〈그림 35〉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2

〈그림 36〉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2

〈그림 37〉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3

〈그림 38〉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3

〈그림 39〉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3

〈그림 40〉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3

〈그림 41〉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4

〈그림 42〉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4

〈그림 43〉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4

〈그림 44〉 빅토리안 스타일의 고스로리 44

〈그림 45〉 BABY,THE STARS SHINE BRIGHT 45

〈그림 46〉 metamorphose temps de fille 45

〈그림 47〉 metamorphose temps de fille 46

〈그림 48〉 Angelic Pretty 46

〈그림 49〉 Victorian maiden 46

〈그림 50〉 Victorian maiden 46

〈그림 51〉 Angelic Pretty 47

〈그림 52〉 Angelic Pretty 47

〈그림 53〉 Angelic Pretty 47

〈그림 54〉 KERA!MANIAX vol.8 47

〈그림 55〉 BABY,THE STARS SHINE BRIGHT 48

〈그림 56〉 BABY,THE STARS SHINE BRIGHT 48

〈그림 57〉 BABY,THE STARS SHINE BRIGHT 49

〈그림 58〉 BABY,THE STARS SHINE BRIGHT 49

〈그림 59〉 BABY,THE STARS SHINE BRIGHT 49

〈그림 60〉 BABY,THE STARS SHINE BRIGHT 49

〈그림 61〉 BABY,THE STARS SHINE BRIGHT 50

〈그림 62〉 BABY,THE STARS SHINE BRIGHT 50

〈그림 63〉 BABY,THE STARS SHINE BRIGHT 50

〈그림 64〉 BABY,THE STARS SHINE BRIGHT 50

〈그림 65〉 BABY,THE STARS SHINE BRIGHT 51

〈그림 66〉 KERA!MANIAX vol.8 51

〈그림 67〉 BABY,THE STARS SHINE BRIGHT 51

〈그림 68〉 Victorian maiden 52

〈그림 69〉 Victorian maiden 52

〈그림 70〉 Victorian maiden 53

〈그림 71〉 Victorian maiden 53

〈그림 72〉 Victorian maiden 53

〈그림 73〉 Victorian maiden 53

〈그림 74〉 Victorian maiden 54

〈그림 75〉 Victorian maiden 54

〈그림 76〉 Victorian maiden 54

〈그림 77〉 Victorian maiden 54

〈그림 78〉 h.NAOTO 55

〈그림 79〉 h.NAOTO 55

〈그림 80〉 ALICE and the PIRATES 56

〈그림 81〉 ALICE and the PIRATES 56

〈그림 82〉 KERA!MANIAX vol.8 56

〈그림 83〉 KERA!MANIAX vol.7 56

〈그림 84〉 Malice Mizer의 Mana 57

〈그림 85〉 Angelic Pretty 58

〈그림 86〉 KERA!MANIAX vol.9 58

〈그림 87〉 Angelic Pretty 58

〈그림 88〉 KERA!MANIAX vol.8 58

〈그림 89〉 로질리의 걸리 스타일 62

〈그림 90〉 로질리의 걸리 스타일 62

〈그림 91〉 로질리의 걸리 스타일 63

〈그림 92〉 로질리의 걸리 스타일 63

〈그림 93〉 로질리의 걸리 스타일 64

〈그림 94〉 로질리의 걸리 스타일 64

〈그림 95〉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5

〈그림 96〉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5

〈그림 97〉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6

〈그림 98〉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6

〈그림 99〉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7

〈그림 100〉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7

〈그림 101〉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8

〈그림 102〉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8

〈그림 103〉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9

〈그림 104〉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69

〈그림 105〉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70

〈그림 106〉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70

〈그림 107〉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71

〈그림 108〉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71

〈그림 109〉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72

〈그림 110〉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72

〈그림 111〉 레니본의 걸리 스타일 73

〈그림 112〉 BEART의 걸리 스타일 73

〈그림 113〉 BEART의 걸리 스타일 74

〈그림 114〉 BEART의 걸리 스타일 74

〈그림 115〉 작품 Ⅰ일러스트 77

〈그림 116〉 작품 Ⅰ의 정면 78

〈그림 117〉 작품 Ⅰ의 뒷면 79

〈그림 118〉 작품 Ⅰ의 도식화(1/10축소,단위 :cm) 80

〈그림 119〉 작품 Ⅰ의 연출사진 81

〈그림 120〉 작품 Ⅱ의 일러스트 83

〈그림 121〉 작품 Ⅱ의 정면 84

〈그림 122〉 작품 Ⅱ의 뒷면 85

〈그림 123〉 작품 Ⅱ의 도식화(1/10축소,단위 :cm) 86

〈그림 124〉 작품 Ⅱ의 연출사진 87

〈그림 125〉 작품 Ⅲ의 일러스트 89

〈그림 126〉 작품 Ⅲ의 정면 90

〈그림 127〉 작품 Ⅲ의 뒷면 91

〈그림 128〉 작품 Ⅲ의 도식화(1/10축소,단위 :cm) 92

〈그림 129〉 작품 Ⅲ의 연출사진 93

〈그림 130〉 작품 Ⅳ의 일러스트 95

〈그림 131〉 작품 Ⅳ의 정면 96

〈그림 132〉 작품 Ⅳ의 뒷면 97

〈그림 133〉 작품 Ⅳ의 도식화(1/10축소,단위 :cm) 98

〈그림 134〉 작품 Ⅳ의 연출사진 99

〈그림 135〉 작품 Ⅴ의 일러스트 101

〈그림 136〉 작품 Ⅴ의 정면 102

〈그림 137〉 작품 Ⅴ의 뒷면 103

〈그림 138〉 작품 Ⅴ의 도식화(1/10축소,단위 :cm) 104

〈그림 139〉 작품 Ⅴ의 연출사진 105

〈그림 140〉 작품 Ⅵ의 일러스트 107

〈그림 141〉 작품 Ⅵ의 정면 108

〈그림 142〉 작품 Ⅵ의 뒷면 109

〈그림 143〉 작품 Ⅵ의 도식화(1/10축소,단위 :cm) 110

〈그림 144〉 작품 Ⅵ의 연출사진 111

〈그림 145〉 작품 Ⅶ의 일러스트 114

〈그림 146〉 작품 Ⅶ의 정면 115

〈그림 147〉 작품 Ⅶ의 뒷면 115

〈그림 148〉 작품 Ⅶ의 도식화(1/10축소,단위 :cm) 116

〈그림 149〉 작품 Ⅶ의 연출사진 117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04년 나카시마 테츠야 감독에 의해 제작된 영화 ‘시모츠마 이야기’에 나타난 복식을 분석·고찰하여 영화 내에서의 사적 측면에서 연구 하였다.이를 통해 영화에서의 영화의상의 중요성을 깨닫고 영화로 유행되어진 로리타 패션에 대해 연구·분석 하였다.

영화에 나타나는 복식은 흔히‘영화의상’이라고도 일컬어지는데, 이는 ‘의상’이라는 개념이 ‘복식’보다는 다소 특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영화의상은 배우의 연기에 진정성을 부여해 영화의 내용과 서술적 구조를 보다 쉽고 빠르게 이해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중들은 영화에서 보여 지는 의상만으로 영화에 대한 개략적이고 종합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주인공 모모코의 의상 분석과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의상을 여러 각도로 관찰하여 주인공 모모고의 의상디자인을 제시하였고 선행된 연구 자료를 관찰하여 로리타 패션의 특징들은 응용한 7점의 작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 작품의 분석과 고찰을 통해 영화에 표현된 로리타 의상의 상징성을 관찰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일반적인 영화의상의 역할을 제시하고 작가 및 작품 해설을 통해 영화 내용을 파악하였고, 그 다음 영화에 표현된 로리타 패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소설과 영화에 묘사되어 진 여주인공의 귀여운 이미지를 나타내는 로리타 패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실루엣은 둥글고 프릴과 퍼프소매,러플로 풍성한 느낌을준다.

둘째, 색상은 주로 흰색에서 파스텔 톤이 많고, 짙은 브라운도 쓰인다. 무늬는 꽃무늬나 과일무늬, 케이크 라던지 체크무늬에 꽃무늬, 체리나 딸기의 후루츠 무늬 등등의 사랑스러운 소녀다움을 나타낸 느낌이 많다.

이러한 기본적인 로리타 패션의 특징은 현대에 살고 있는 소녀들에게 귀여운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향으로 유행되고 있다. 현대 패션에 로리타 패션을 접목시켜 응용한 작품 제작을 통해 연구자가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리타 패션은 의복의 일반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 이 아니라 영화의상으로도 응용하여 배우가 지닌 개성을 완화시키고 등장인물들의 성격과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둘째, 로리타 패션의 표현을 위한 첫 번째 방법인 텍스타일 디자인을 통해 플로럴 문양이 기본이 되며, 귀여운 이미지에서 품위 있는 이미지까지 표현할 수 있는 의미를 지닌 문양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로리타 패션에서의 색상은 파스텔 계열의 색상들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였지만 비비드한 컬러와 어두운 계열의 색상이 포인트 컬러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한국패션속의 로리타 패션은 아직은 시작인 단계이지만 여러 가지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일상의 곳곳에 침투해 새로운 패션의 요소로서 함께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리타 패션 이라는 의미가 예전의 의미와는 달리 좀 더 새로운 패션 요소로서 해석 할 수 있었다.21세기에 새로운 주류로 나타나게 된 일본의 로리타 패션은 어린 소녀에서부터 성인 여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여성들의 귀여움에 대한 동경을 내포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연구자는 새로운 로리타 패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로 인해 일반 패션 디자인 분야의 창작 활동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