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신라토우를 응용한 생활용기 디자인 연구 : 인물상 중심으로 / 장지성 인기도
발행사항
경산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M 745 ㅈ131ㅅ
형태사항
vii, 5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1095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공예학, 2008.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8

I. 서론 10

II. 토우의 일반적 고찰 12

1. 토우의 개념 및 기원 12

2. 신라토우의 의미 14

3. 신라토우의 조형적 분류 17

1) 인물형 18

2) 동물형 19

3) 장식용 토우 20

4) 기타형(상형) 21

III. 신라 인물 토우의 고찰 26

1. 인물토우의 형태적 분류 26

1) 여자상 26

2) 남자상 29

3) 성애상 32

IV. 현대적인 토우이미지의 작품 예 40

1. 생활용품으로써 작품 예 40

2. 조형작품으로써의 예 41

V/IV. 작품제작 및 설명 47

1. 제작의도 47

2. 작품 제작 48

3. 작품설명 56

VI/V. 결론 64

〈참고문헌〉 66

〈표1〉 백토A급 소지 조합비 48

〈표2〉 인물토우 성형방법과 응용 예 49

〈표3〉 유약 조합비 53

〈표4〉 1차, 2차 소성표 55

〈그림 1〉 남녀 직립상 22

〈그림 2〉 노래하는 사람 22

〈그림 3〉 말 모양 토우 22

〈그림 4〉 소 모양 토우 22

〈그림 5〉 새 모양 토우 22

〈그림 6〉 오리 모양 토우 22

〈그림 7〉 토끼 모양 토우 23

〈그림 8〉 물고기 모양 토우 23

〈그림 9〉 장식토우 여자상 23

〈그림 10〉 장식토우 남자상 23

〈그림 11〉 장식토우 성애상 23

〈그림 12〉 장식토우 성애상 23

〈그림 13〉 뱀 모양 장식형 토우 24

〈그림 14〉 개구리 장식형 토우 24

〈그림 15〉 불가사리 장식형 토우 24

〈그림 16〉 거북이 장식형 토우 24

〈그림 17〉 개 장식형 토우 24

〈그림 18〉 물고기 장식형 토우 24

〈그림 19〉 집 모양 토기 25

〈그림 20〉 집 모양 토기 25

〈그림 21〉 수레 모양 토기 25

〈그림 22〉 집신 모양 토기 25

〈그림 23〉 신발 모양 토기 25

〈그림 24〉 배 모양 토기 25

〈그림 25〉 말 모양 토기 25

〈그림 26〉 말 모양 토기 25

〈그림 27〉 여성상 토우 34

〈그림 28〉 출산중인 여인 34

〈그림 29〉 주검 앞에서 슬퍼하는 여인 34

〈그림 30〉 출산중인 여인 34

〈그림 31〉 손을 앞으로 모은 여성상 35

〈그림 32〉 절하는 여자상 35

〈그림 33〉 남자상 토우 35

〈그림 34〉 두손을 모은 남자상 35

〈그림 35〉 두손을 모은 남자상 36

〈그림 36〉 악기를 연주하는 남자상 36

〈그림 37〉 학모양 가면을 쓴 인물 36

〈그림 38〉 노인상 36

〈그림 39〉 남자상 37

〈그림 40〉 춤추는 인물상 37

〈그림 41〉 농부상 37

〈그림 42〉 무릎을 꿇은 남자상 37

〈그림 43〉 성애상 38

〈그림 44〉 성애상 38

〈그림 45〉 성애상 38

〈그림 46〉 배모양 토기 38

〈그림 47〉 성애상 38

〈그림 48〉 성애상 38

〈그림 49〉 토우장식 항아리/ 성애상 39

〈그림 50〉 토우장식 항아리/성애상(확대) 39

〈그림 51〉 토우장식 항아리/ 성애상 39

〈그림 52〉 토우장식항아리/성애상(확대) 39

〈그림 53〉 John Bery/ 주전자 43

〈그림 54〉 curositea of a Monkey Red Weldon Sandlin 43

〈그림 55〉 양념통 43

〈그림 56〉 프림통 43

〈그림 57〉 주선영 디너벨 44

〈그림 58〉 화병 44

〈그림 59〉 가족의 품에서 44

〈그림 60〉 이양재 Flover Pot 44

〈그림 61〉 최병건 homogeneity-version05 44

〈그림 62〉 민승기, 류천욱 수저받침대 44

〈그림 63〉 이웅재 동심 45

〈그림 64〉 장병철 아버지 45

〈그림 65〉 강인순 그네들의 미소 45

〈그림 66〉 송일근 세상도 허허 나도 허허 45

〈그림 67〉 천지하이 만리장성 45

〈그림 68〉 최인철 세월 45

〈그림 69〉 전진희 삶, 풍경 46

〈그림 70〉 송영화 두상 46

〈그림 71〉 배기옥 군상 46

〈그림 72〉 이정석 숨겨진 상상 46

〈그림 73〉 서도호/〈업, Karma〉 46

〈그림 74〉 서도호/〈공공인물들〉 46

〈작품 I〉 명상/ 백토, 산화철, 투명유/ 1256℃/ 250×250×270 56

〈작품 II〉 결실/ 백토, 코발트, 투명유/ 1256℃/240×240×310 57

〈작품 III〉 시집살이/ 백토, 투명유, 코발트/ 1256℃/ 150×150×170 58

〈작품 IV〉 토우/ 백토, 코발트, 투명유, 콜크/ 1256℃/ 50×50×90 59

〈작품 V〉 이상과 현실/ 백토, 산화철, 투명유, 흑유, 금전사지/ 1256℃/ 180×180×220 60

〈작품 VI〉 바라보다/ 산청토, 산화철, 투명유/ 1256℃/ 170×170×210 61

〈작품 VII〉 고뇌/ 산청토, 산화철, 투명유, 1263℃/ 170×170×175 62

〈작품 VIII〉 심/ 청토, 산화철, 투명유/ 1263℃/ 120×120×120 63

초록보기 더보기

Silla Clay Figure is a plastic object to reflect the thought of ancient people about the real and future life. Though it is a small size remains but it boldly expresses basic nature of human emotion and pray. This thes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living container design applying the Silla Clay Figure to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naturalism of Korean people who like to express the original nature.

The result of my study producing test design on the basic consciousness of Silla Clay Figure is as follows.

First, applying the Clay Figure into the living container could express the beauty of function and decoration by attaching rings and handle adding the meaning to the existing symbolism as burying materials which means the wealth and pray.

Second, it helped to understand the plastic characteristics in Laissez Faire of Silla person's life and emotion to express the modern people's beauty as new plastic language.

Third, clean and pure image of modern life could realized by the production using white clay other than Silla Clay Figure which give us a rough feeling.

Forth, this trial could leave an epoch to transcend the traditional art spirit applying Silla Clay Figure as a unique contemporary cultural heritage, which was accepted to modern creation activity by expressing not only the typical remains but the work of the ancestor's thought and emotion as well in the author's test work.

Fifth, this study could test the living container to form a harmony between modern culture and Silla Clay Figure by producing the work with practicalism and plastic aspect to meet modern living space.

Finally, in conclusion, I expect this study would lead more effort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living container applying Silla Clay Figure for our living over simple utilitie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