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감사의 글 6

ABSTRACT 8

국문초록 11

제1장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제2절 연구의 필요성 14

제2절 연구의 목적 18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19

제1절 강점관점(strengths Perspective) 19

제2절 가족 건강성(family Stremgths) 23

제3절 결혼불안정성 (Marital Instability) 30

제3장 연구방법 41

제1절 연구모형과 가설 41

제2절 측정도구 43

(1) 종속변수 43

(2) 독립변수 44

제3절 조사대상 45

제4절 자료수집 47

제5절 자료분석방법 48

제4장 연구결과 49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가족 특성 49

제2절 가족 건강성에 대한 분석 53

제3절 결혼불안정성에 대한 분석 58

제4절 결혼불안정성에 대한 가족 건강성치 영량 분석 63

제5장 요약 및 함의 73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73

제2절 연구의 한계 78

제3절 사회복지적인 함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79

참고문헌 84

부록1. 결혼생활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에 대한 분석 91

부록2. 설문지 96

표목차

〈표2-1〉 가족 건강성(건강가족)의 특성 및 척도의 하위영역 분류 25

〈표2-2〉 이혼사유별 구성비 : 2000년~2006년 34

〈표3-1〉 직장 소재지 및 전업 주부 거주지 빈도표 (N=142) 47

〈표4-1〉 조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가족 특성 (N=142) 50

〈표4-2〉 조사 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비교 (N=142) 53

〈표4-3〉 가족 건강성 하위영역별 평균 (N=142) 56

〈표4-5〉 조사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른 결혼불안정성 비교 (N=142) 60

〈표4-6〉 결혼불안정성 하위영역별 평균 (N=142) 62

〈표4-7/표4-8〉 모델1. 조사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이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N=142) 66

〈표4-8/표4-9〉 모델2. 개인적인 특성과 가족 건강성이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염향 (N=142) 69

〈표4-9/표4-10〉 모델3. 개인적인 특성과 가족 건강성 하위영역이 결혼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N=142) 72

부록표목차

〈표1〉 결혼생활에서 가장 힘들었던 건 1~3순위 중 상위 5위 이내 92

〈표2〉 결혼생활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 93

그림목차

[그림1] 연구의 분석틀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