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 / 조영택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D 350 -8-46
형태사항
vi, 183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1523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2008.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목적 10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3

1. 연구범위 13

2. 연구방법 14

제2장 대도시 행정체제에 관한 이론적 고찰 16

제1절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 개편의 논리 16

1. 대도시 행정체제의 의의 16

2. 대도시 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이론적 검토 22

3.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 개편의 필요성 34

제2절 외국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 및 시사점 45

1. 미국의 뉴욕시 - 구 체제 45

2. 프랑스의 파리시 - 구 체제 46

3. 독일의 베를린시 - 구 체제 48

4. 영국의 광역런던시 - 구 체제 52

5. 일본의 동경도 - 구 체제 53

6. 외국제도의 시사점 56

제3절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의 선행연구 및 분석틀 60

1. 선행연구 60

2. 분석틀 62

제3장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의 실태분석 64

제1절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의 현황 분석 64

1. 특별시·광역시·자치구의 개요 64

2. 자치구의 법적지위 분석 67

3. 자치구의 행정조직체계 분석 70

제2절 대도시 자치구 공간구조의 실태 74

1. 계층구조 74

2. 행정구역 74

제3절 대도시 자치구 행정기능의 실태 83

1. 기능배분 83

2. 협력체제 87

3. 지도감독 90

4. 지방재정 94

제4장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의 실증적 조사분석 105

제1절 조사 설계 105

1. 조사 대상 105

2. 조사 기간 및 방법 105

3. 조사 내용 106

4. 분석 방법 106

제2절 분석결과 107

1. 행정체제의 종합적 문제점 107

2. 공간구조의 문제점 110

3. 행정기능적 측면의 문제점 115

4. 행정체제 개편의 사유 117

제5장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의 개편 방안 119

제1절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 개편의 기본방향 119

제2절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 개편모형의 내용분석 121

1. 제1안 : 자치구 기능축소 모형 121

2. 제2안 : 민선의회 중심 준자치구 모형 123

3. 제3안 : 민선단체장 중심 준자치구 모형 124

4. 제4안 : 행정구 전환모형 126

제3절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 개편모형의 평가분석 129

1. 평가기준의 설정 및 적합도 분석 129

2. 개편모형에 대한 평가분석 137

3. 개편 대안의 선택 149

제4절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의 개편 및 추진방안 151

1. 개편 방안 151

2. 추진방안 151

제6장 결론 157

제1절 요약 157

제2절 정책적 함의 160

제3절 연구의 한계 161

참고문헌 162

Abstract 171

별첨 175

별첨1. 대도시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설문조사표 175

별첨2. 설문3조사 응답자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 182

별첨3. 대도시행정체제 개편모형별 중요도에 의한 평가기준간 연계성 분석결과 185

〈표 1-1〉 연구의 범위 14

〈표 2-1〉 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이론적 논의 22

〈표 2-2〉 광역시의 대형 도시개발프로젝트 현황(2007년 현재) 40

〈표 2-3〉 특별·광역시와 자치구의 재정자립도 (2006년 예산 기준, %) 42

〈표 2-4〉 서울시 자치구별 재정자립도 (2006년 예산 기준) 42

〈표 2-5〉 서울시 자치구별 기준재정수요 충족도 실태 43

〈표 2-6〉 주요 외국의 대도시 기본현황 56

〈표 2-7〉 주요 외국 대도시의 구제도 비교 57

〈표 2-8〉 연구의 틀 63

〈표 3-1〉 자치구의 분구 현황(1995.3.1) 65

〈표 3-2〉 특별·광역시의 행·재정 현황(20061.1) 66

〈표 3-3〉 특별·광역시의 자치구별 행·재정 현황(최대/최저) 67

〈표 3-4〉 서울특별시의 자치구 현황 76

〈표 3-5〉 광역시간 자치구현황 77

〈표 3-6〉 부산광역시의 자치구 현황 78

〈표 3-7〉 대구광역시의 자치구 현황 79

〈표 3-8〉 인천광역시의 자치구 현황 80

〈표 3-9〉 광주광역시의 자치구 현황 81

〈표 3-10〉 대전광역시의 자치구 현황 81

〈표 3-11〉 울산광역시의 자치구 현황 82

〈표 3-12〉 특별·광역시에서 처리하는 자치구의 사무 84

〈표 3-13〉 자치구에 대한 특별·광역시의 지도감독 사항 92

〈표 3-14〉 우리나라 조세체계 94

〈표 3-15〉 자치구세 수입규모 95

〈표 3-16〉 자치구의 세외수입 규모 97

〈표 3-17〉 자치구의 국고 및 시비보조 규모 99

〈표 3-18〉 특별·광역시 조정교부금 현황(2007) 100

〈표 3-19〉 자치구 조정교부금 현황(2007) 101

〈표 3-20〉 자치구의 세입구조 103

〈표 3-21〉 자치구의 세출구조 104

〈표 4-1〉 대도시 행정체제의 문제점 (명, %) 107

〈표 4-2〉 직업별 대도시 행정체제의 문제점 (명, %) 110

〈표 4-3〉 대도시 행정체제에 있어서 계층의 문제점 (명, %) 111

〈표 4-4〉 직업별 계층의 문제점 (명, %) 112

〈표 4-5〉 대도시 행정체제에 있어서 구역의 문제점 (명, %) 113

〈표 4-6〉 직업별 구역의 문제점 (명, %) 114

〈표 4-7〉 대도시 행정체제에 있어서 기능의 문제점 (명, %) 115

〈표 4-8〉 직업별 기능의 문제점 (명, %) 116

〈표 4-9〉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의 개편 사유 (명, %) 118

〈표 4-10〉 대도시 자치구 행정체제의 개편 필요성 (명, %) 118

〈표 5-1〉 계층제별 개편모형(안) 120

〈표 5-2〉 개편안의 종합적 분석 128

〈표 5-3〉 개편안별 장·단점 분석요약 128

〈표 5-4〉 행정구역개편의 기준 130

〈표 5-5〉 행정체제 개편모형에 대한 평가기준과 내용 132

〈표 5-6〉 헹정체제 개편을 위한 효율성 요소에 대한 응답 133

〈표 5-7〉 헹정체제 개편을 위한 민주성요소에 대한 응답 134

〈표 5-8〉 헹정체제 개편을 위한 중요도간의 상관관계분석 136

〈표 5-9〉 헹정체제 개편을 위한 중요도에 대한 응답 138

〈표 5-10〉 개편안 선호도 분석 141

〈표 5-11〉 개편안에 대한 선호도 조정 143

〈표 5-12〉 제1안을 선호한 직업군에 대한 분석 144

〈표 5-13〉 제2안을 선호한 직업군에 대한 분석 145

〈표 5-14〉 제3안을 선호한 직업군에 대한 분석 147

〈표 5-15〉 제4안을 선호한 직업군에 대한 분석 148

〈표 5-16〉 지방행정구역 개편 관련 개별법령 개편요구 155

〈표 5-17〉 지방행정구역 개편 단계별 추진과제 156

〈표1〉 설문응답자의 성별 (명, %) 182

〈표2〉 설문응답자의 연령대 (명, %) 182

〈표3〉 설문응답자의 거주지별 특성 (명, %) 183

〈표4〉 설문응답자의 성별 (명, %) 183

〈표5〉 설문응답자의 직업군 (명, %) 184

〈표1〉 계층간 협력관계의 용이성과 개편안의 연계성 185

〈표2〉 행정처리의 신속성과 개편안의 연계성 186

〈표3〉 규모의 경제성과 개편안의 연계성 187

〈표4〉 저항 및 비용과 개편안의 연계성 188

〈표5〉 주민의식 일체성과 개편안의 연계성 189

〈표6〉 주민참여용이성 개편안의 연계성 190

〈표7〉 주민편의성과 개편안의 연계성 191

〈표8〉 주민부담 감소성과 개편안의 연계성 192

〈그림 2-1〉 서울특별시 자치구별 인구밀도 및 인구접근도 38

〈그림 2-2〉 서울특별시 인구증가율 39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lternatives to solve the problems which the current metropolitan administrative system consisting of Seoul metropolitan city with special status and metropolitan city which autonomous districts below has, those problems that include conflicts between upper and low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overpopulation in metropolitan cities, regional gaps between autonomous districts, increase of demand for development of metropolitan areas and a lack of finance derived from investment for city development.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develops a model of reform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ase studies of foreign countries and finds the most desirable alternative by evaluating several alternatives in terms of efficiency and equity. This study also would like to suggest the more practical research outcomes by establishing promotion strategies to apply alternatives to real situations.

There are two approaches to examine the reform of the current metropolitan administrative system: the administrative functional and the space structural approaches. This study relies on more the former than the later.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a model of reform which is helpful to change the legal status and administrative functions of autonomous districts.

A model for the current metropolitan administrative system reform is derived from the following four alternatives: the first (a model of functional adjustment of autonomous districts), the second (selected local council-centered semi-autonomous district model which limits chief executive's power to select officials), the third (selected local council-centered semi-autonomous district model which limits local councils organize itself), the fourth alternatives (a model of transform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which abolishes autonomous districts).

The first alternative can mak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reform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minimize and policy-making easy by maintaining the current metropolitan administrative system. It also can solve the problems of the upp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by redistributing the duties of autonomous districts. However, this first alternative is easy to cause regional self-interests by failing to settle the matter of interests between chief executives in the upper level and the low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by arbitration. When chief executives in the low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are not cooperative with mayors in the upp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conflicts between them may increase and severe.

The second alternative has a merit to strength the status of the lower level of local councils and is easy to change the current administrative system through chief executives in the low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appointed by mayors in the upp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this alternative can ease of conflict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this alternative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 damages local autonomy in terms of transformation of autonomous districts to semi-autonomous districts and results in strengthening power of chief executives in the upp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The third alternative can make alternatives which developed countries have utilized easily selected and is easy to achieve the budgetary balance of autonomous districts. This alternative gives autonomous districts their autonomy to enact provisions within the bylaws. Under this alternative, chief executives are directly selected by local residents. This alternative also alleviates strained tensions between local councils and chief executives in local governments by making local residents participate in the policy-making process of local governments. On the other hands, this third alternative can make troubles when chief executives in the low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are not cooperative to the affairs of the upp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Thus,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oper regulations to solve this problem. This alternative is also expected that local councilors and public opinion leaders in local areas like civil organization leaders may oppose to this alternative because their chance to participate in local elections may be limited.

The fourth alternative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metropolitan administration by unifying all power to the upp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which, including personal recruitment and government budget. This alternative also decreases conflicts between the lower level of local governments and save costs related to local elections and management of local councils. However, this alternative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 seems like to return to the previous form of the administration system that was implemented before local elections started in 1991. It is expected that political leader groups, including local councilors, chief executives, and opinion leaders, in local areas oppose to this alternative which has a problem that becomes more centralization of administrative power.

This study establishes a couple of criteria to select the best one among the four alternatives mentioned above. Those criteria a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reform which many scholars suggest. This study classifies those criteria into the two aspects: efficiency and equity. The former includes identity of residents (history and tradition), accessibility of resident participation, accessibility of residents to public utilities, reduction of resident burdensome. The latter includes accessibility of administrative cooperation between different levels of local governments (decision-making power), speed of administrative performance (responsiveness), economy in expenditures for administration, effectiveness (scale of economy), opportunity costs (costs for the resistance to reform and other additional costs).

The findings are as follow: the fourth alternative was highly ranked in efficiency and the first alternative in equity. On the other hands, the third alternative was regarded as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 as a model for the administrative system reform in autonomous districts by achieving a high score in both equity and efficiency. In fact, this third alternative has been successfully managed in such metropolitan cities as New York. This alternative may provide both equity and efficiency to settle such problems as districts, functions, and different levels which autonomous districts have faced. This alternative may also provide a solution to settle such problems as finance, management, and unity which take place in metropolitan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s promotion strategies which need to be managed when administrative reform is executed by principles derived from the third alternative. For detail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research advisory committee within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for the metropolitan administrative system reform. It is also necessary for central government to initiate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reform and need to develop various methods to make residents participate in this process.

Finally, it is necessary to mention limits that this study has. Although this study examines four alternatives by focusing on administrative functions and legal status of autonomous districts, it does not include administrative districts. I think that further research needs to include both the merger and aboli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heir legal status. This study also relies on expert groups including public officials, politicians, businessmen, and civil organization leaders, to achieve research outcomes. It is necessary for further research to include not only experts' but also public opinions.

참고문헌 (10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의 지방재정: 이론과 실무 (개정판)』, 서울 : 도서출판 해남, 2001. 미소장
2 『신판 행정학원론』, 서울: 법문사, 1997. 미소장
3 『한국지방자치론』, 서울 : 법문사, 2001. 미소장
4 『지방재정의 이론과 실태』, 서울 : 박영사, 2005. 미소장
5 『한국행정론:제4전정판』, 서울 : 법문사, 1998. 미소장
6 『도시행정론』, 서울 : 박영사, 2002. 미소장
7 『마지막 남은 개혁 미소장
8 『행정학:제4전정판』, 서울 : 박영사, 1998. 미소장
9 『한국지방행정학』, 서울 : 법문사, 2006. 미소장
10 『지방행정구역론』, 서울 : 법문사, 1981. 미소장
11 『지방행정학』, 서울 : 삼영사, 2006. 미소장
12 A Critical Study of the Recent Arguments for Local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Korea 소장
13 『지구화,현실인가 또 하나의 신화인가』, 서울 : 책세상,2005. 미소장
14 신공공관리론의 논리, 한계, 그리고 극복 소장
15 “강원도 중심지체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지리학회보」제36권 제3호, 2002. 미소장
16 자치구제도의 개선방안 네이버 미소장
17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필요성과 방법론”, 『국회지방자치발전연구세미나 논문집』, 2007. 미소장
18 ,『영국의 지방행정계층구조 개편과정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1997. 미소장
19 대도시행정체제의 개편방안 네이버 미소장
20 『지방자치(행정)체제의 개편방안 : 지방행정계층과 행정구역의 개편대안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1998. 미소장
21 『일본의 행정계층 및 구역개편의 구상과 전계과정』, 전남대학교 법률행정문제연구소, 1997. 미소장
22 “지방행정 계층구조 및 행정구역의 개편방안”. 「지방행정구조 개편에 관한 토론회 논문집」, 행정개혁위원회, 1988. 미소장
23 『지방행정계층 구조개편에 관한 연구』, 1984. 미소장
24 “지방행정의 효율성 증대를 위한 행정계층구조의 개편”, 「21세기정책개발연구회 세미나논문집」, 1997. 미소장
25 “전국 행정구역개편안 철회돼야 한다”, 「월간헌정」, 대한민국헌정회, 2006. 3. 미소장
26 대한민국 국회, 『지방행정체제개편 특별위원회 활동결과보고서』,2006. 미소장
27 서울대학교 행정조사연구소, 「지방행정체제의 계층구조 및 관할구역에 관한 연구」, 1980. 미소장
28 중심지 이론에 있어서 제 개념의 형성 소장
29 도시화에 대응하는 대도시의 개념적 정의 소장
30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비판적 실재론적 접근 소장
31 지방행정구역의 적정규모에 관한 논의 : 행정의 민주성과 효율성의문제 소장
32 “정치권의 자치계층제 개편에 관한 허와 실”, 「서울행정학회 세미나 논문집」, 2005. 미소장
33 道區域의 合理的 改編方案;京畿道를 事例地域으로 소장
34 自治區의 法的 地位와 業務 : 지방자치제도 소장
35 신공공관리론의 이론적 비판 : 원자화된 개인, 강력한 시장, 축소지향형 정부 소장
36 대도시 자치구는 자치 능력이 있는가 소장
37 “서울특별시와 자치구와의 관계 재정립”, 「자치행정」제44호, 지방행정연구소, 1991. 미소장
38 「지방행정계층구조 개편 : 자치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학위논문, 1997. 미소장
39 효율적인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을 위한 복지사무소 설치방안에 관한 쟁점 소장
40 공간조직의 관점에서 본 한국행정구역의 문제와 개편방향 소장
41 韓國地方階層構造 및 行政區域의 改編方向에 관한 考察 소장
42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증보판』, 서울 : 대명출판사, 2003. 미소장
43 首都圈 自治區域 改編에 관한 硏究 네이버 미소장
44 首都圈 自治區域 改編에 관한 硏究;서울시 분할론의 유용성과 한계 소장
45 “동경도와 특별구간 관계조명”, 「서울시정연포럼」제19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5. 미소장
46 특별시와 자치구간의 갈등과 해결 소장
47 런던 大都市 行政體制改革의 最近傾向 소장
48 「광역시와 자치구 사이의 갈등해소 방안」,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학위논문, 1998. 미소장
49 「행정구역의 합리적 조정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988. 미소장
50 외국의 단층자치단체 비교분석: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51 行政區域의 改編方向에 관한 理論的 論議 소장
52 “대도시 구자치제에 관한 연구”, 「연구논총」제16집,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88. 미소장
53 “지방행정계층구조 개편을 통한 자치구역과의 조화,” 「국회보」, 1994. 미소장
54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행정체제 개편연구」, 내부자료, 2006, 미소장
55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외국의 지방행정체제 개편사례연구』, 2006. 미소장
56 행정개혁시민연합회, 「행정개혁시민연합회 정책토론회 자료집」, 행정개혁시민연합회, 2001. 미소장
57 행정자치부, 『민선지방자치 10년 평가(Ⅰ․ Ⅱ)』, 2005. 미소장
58 행정자치부, 「지방행정체제 관련 외국자료」, 내부자료, 2006. 미소장
59 행정자치부, 「선진외국의 지방자치제도(1) (II)」, 2000. 미소장
60 “지방분권화를 대비한 지방자치 및 행정제도 개혁을 위한정책제안”.「정책토론회 자료집」, 2005. 미소장
61 Local government restructuring and boundary adjustment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62 Local government restructuring and boundary adjustment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63 Local Government from Thatcher to Blair : The Politics of Creative Autonomy. Cambridge : Polity Press. 2000. 미소장
64 The Metropolis : Its People, Politics and Economic Life, New York : Harper & Row Publishers, 1982. 미소장
65 City-County Consolidation and Its Alternatives, New York : M.E. Sharpe, 2004. 미소장
66 Structural Reform of British Local Govenrment : Rhetoric and Reality, Manchester :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0. 미소장
67 Area and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949 미소장
68 Designing the New City : A Systematic Approach, New York : John Wiley & Sons, 1977. 미소장
69 Law, Legislation and Liber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70 The Economics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 NY : McGraw-Hill, 1970. 미소장
71 Mapping the Regions, Boundaries, Co-ordination and Government, Bristol : The Policy Press, 1996. 미소장
72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 Public Administration, Vol. 69, 1991. 미소장
73 The Organization of Space in Developing Countries 네이버 미소장
74 The New Regionalism in Western Europe, Cheltenham : Edward Elgar, 1998. 미소장
75 Changing Patterns of Local Government, The International Union of Local Authorities, 1970. 미소장
76 Case Studies of City-County Consolidation. New York : M. E. Sharpe, 2004. 미소장
77 1949. Local Government Areas 1834-1945. Oxford : Basil Blackwell. 미소장
78 Local Democracy and Crime Control, W. C : Brookings inc., 1936. 미소장
79 The Organization of Local Public Economics, Washington DC :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7. 미소장
80 Fiscal Federalism. NY : Harcourt Brace Javanovich. 1972. 미소장
81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 Harvard Univ. Press, 1971. 미소장
82 Dismantling the Welfare State,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미소장
83 Great Cities of the World, Califonia Sage Publications, 1972. 미소장
84 東京都職員硏修所, 「1996年職員ハンドプック」, 東京: 東京都職員硏修所, 1997. 미소장
85 「大都市制度論」, 東京: 北樹出版, 1995. 미소장
86 「大都市における區政と區長」, 東京: 東京市政調査會, 1999. 미소장
87 『現代自治體再編論』, 東京: きょうせい, 2002. 미소장
88 日本地方自治學會(編), 『道州制と地方自治』, 東京: 敬文堂, 2005 미소장
89 財團法人自治練修協會․地方自治硏究資料センタ-編,「地方自治年鑑」,東京: 第一法規, 1996. 미소장
90 特別區協議會, 「特別區 事務の變遷」, 東京 : 特別區協議會, 1996. 미소장
91 「都と特別區․市」, 東京: 有斐閣, 1990. 미소장
92 "The Economics of Urban Size," J. Friedmann & W. Allonso, eds. Regional Policy : Reading in Theory and Applications , The MIT Press,... 미소장
93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네이버 미소장
94 Local government reorganisation in the UK 네이버 미소장
95 “Local-Central Conflict in New Zealand : Centralized Space with Decentralized Power", in Bennett, R. J.(ed.), Decentralization... 미소장
96 “Getting the Most out of Public Sector Decentralisation in Japan”,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No. 416, 2005. 미소장
97 “The New Public Management : Challenging the Boundaries of the Management vs Administration Debat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미소장
98 “Governing the Metropolis", Metropolitan Problems, Toronto : Methuen Publications, 1970 미소장
99 The Principle of "Fiscal Equivalence": The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among Different Levels of Government 네이버 미소장
100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