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3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15

3. 용어의 정의 및 해석 18

1) 무언만화 19

2) 서사 이미지 21

3) 텍스트만화 23

II. 무언만화의 배경적 상황 25

1. 무언만화의 개념 25

1) 만화의 특성과 무언만화 25

2) 텍스트만화와 무언만화 31

2. 무언만화의 생성 38

1) 만화의 역사와 무언만화의 태동 39

2) 19세기 풍자화와 근대 무언만화 44

3) 현대사회와 무언만화의 정착 53

3. 무언만화의 유형 68

1) 대사의 생략 69

2) 말풍선의 제거 72

3) 동작선의 소멸 74

III. 무언만화의 서사 이미지 79

1. 이미지 스토리텔링 80

1) 클리쉐와 스테레오타입 81

2) 텍스트와 이미지 86

3) 서사적 말풍선 89

2. 캐릭터의 설명적 이미지 95

1) 표정과 자세 96

2) 동작의 변화 99

3) 묘사적 동작선 107

3. 말풍선 기호적 이미지 112

1) 도상의 기술성 113

2) 지표의 인과성 119

3) 상징의 포괄성 122

IV. 무언만화의 조형 이미지 126

1. 소재와 장면 127

1) 적막감과 비장미 129

2) 액션 139

3) 성애와 환희 146

2. 장면전환 152

1) 오프닝 153

2) 엔딩 157

3) 몽타주 161

3. 서사적 내러티브 167

1) 고전적 패러다임 172

2) 사실적 내러티브 178

3) 형식주의적 내러티브 188

V. 무언만화의 이미지 분석 201

1. 카툰 : 세르 작품 201

1) 동물학 203

2) 비스콩프리 205

3) 자가 수리공 207

4) 블랙 유머와 흰 가운의 의료인들 208

2. 부분적 무언만화 211

1) 이두호 〈스님이 이르길〉 211

2) 김동화 〈못난이〉 1부 3막 찔레꽃 213

3) 오세훈 〈수국아리랑〉 1부 4화 '심' 219

4) 제이슨 〈쉬이이잇!〉 223

5) 체스터 브라운 〈똑똑, 리틀맨〉 227

3. 단편 무언만화 230

1) 에밀 프랑크 단편 231

2) 토마스 오뜨 〈백만장자의 꿈〉 233

3) J.C. 므뉘 〈산란주의〉 237

4) 루이 트롱댐 〈미스터 오〉 240

5) 도리 미키 〈먼 곳으로 가고파〉 242

6) 엔디 라일리 〈자살토끼〉 248

4. 장편 서사만화 250

1) 정철 〈Eden〉 250

2) 마사시 타나카 〈GON〉 1권 255

VI. 무언만화의 미학적 위상 260

1. 대사 생략의 임의성 261

2. 말풍선 제거의 무한성 266

3. 생략 예술의 초월성 271

VII. 결론 278

1. 요약 278

2. 결론 281

3. 제언 282

참고문헌 284

ABSTRACT 289

[표 1] 만화의 4가지 특성 27

[표 2] 만화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특성 28

[표 3] 소쉬르의 기호 체계 35

[그림 1] Richard F. Outcault, 〈Yellow Kid〉, New York Journal, 1896. 29

[그림 2] '그림 문자', 윌 아이스너, 《그림을 잘 엮으면 만화가 된다》. p.17, 현실문화연구, 2000. 36

[그림 3] 작자미상, 태국 작품. 2002 37

[그림 4] 빌헬름 부쉬, 〈막스와 모리츠〉. -안드레아스 크니게, 글라시커 50 만화, p.15, 해냄, 2005. 39

[그림 5] 몬테펠레그리노 아다우라 암각화 〈의식의 춤〉, BC. 1만 년경. 40

[그림 6] 대곡리 암각화의 전경사진 및 필사도면, 신석기시대. 41

[그림 7] 트라냐누스 원주. 106년 42

[그림 8] 바이유 테피스트리(Bayeux Tapestry, Bayeux, France), 프랑시스 라까생, 《제9의 예술 만화》에서 주장한 만화의 시초 작품. 42

[그림 9] 성에라스무스의 고문, 1460. 43

[그림 10] 윌리엄 호가스, 〈매춘부의 역사〉, 1732. 45

[그림 11] 오노레 도미에, 〈가르캉튀아〉, 1831. 46

[그림 12] 베르탈, 〈귀부인의 변신〉1898 48

[그림 13] 질브라스중, 〈교회로 가는길〉, 1899 풍속의 역사, 풍속과 사회 48

[그림 14] T.-A. Steinlen 〈Le plus vexe des trois〉 (1885, extrait) 49

[그림 15] 빙슝, 〈가격흥정〉, 1934 / 〈가치를 잃어버린 황금〉, 1935 50

[그림 16] 오카모토 잇페이, 〈여인 백태〉, 다이쇼우 11년. 51

[그림 17] 이도영, 〈호랑이와 아이〉, 대한민보, 1909. 51

[그림 18] 안석주, 〈모던 걸의 장신운동〉, 신문춘추, 1927. 52

[그림 19] 막스 에른스트, 〈선 주간〉, 총 182장 중 68, 69, 72, 73, 파리, 1934 -백준기, 《만화미학탐문》 p.39, 재인용- 55

[그림 20] 쌍페, 《한 남자가 두 여자를 만나는 곳》, p.68-69, 문장, 1980 56

[그림 21] Quino, 《QUIEST LE CHEF》 중에서. 57

[그림 22] Moebius, 〈Arzach〉 일부 58

[그림 23] 찰리 채플린, 〈모던 타임즈〉, 1989. 61

[그림 24] 팬터마임. 세계적 마임이스트 마르셀 마르쏘. 63

[그림 25] 애니메이션 신 〈톰과 제리〉. 1993년 64

[그림 26~27] 듀안 마이클즈(Duan Michals), 사물의 기이함(Les choses sont bizarres), 1973, 〈장갑〉 66

[그림 28] 오레그 데르카초프(canada), 대전국제만화영상전, 2007 70

[그림 29] Antonio Prohias, 〈Spy VS Spy〉, Mad, 2004 Augst. 71

[그림 30] 에리히 오저, 《아버지와 아들》, p.277, 새책만화, 2005 72

[그림 31] Antonio, MAD Super Special, March 2000 73

[그림 32] 권가야, 《남자이야기》, p.128-133, 서울문화사, 1998 75

[그림 33] 홍승우, 《야야툰》, p.9~13, 문학과지성, 2002 76

[그림 34] 즉시 알아볼 수 있는 몇 개의 제스처. -Will Eisner, 《Sequencial Art》 p.106, 1989 83

[그림 35] 윌 아이스너, 〈다른 행성에서의 삶 Life on Another Planet〉. 85

[그림 36] 열개의 칸에 같은 대사 '미안해' -Will Eisner, 《Sequencial Art》, p.47, 1989 88

[그림 37] Ethan Persoff (USA), 《Comix 2000》, p.1420~1423 89

[그림 38] Nick Bertozzi의 작품 원문 3페이지(위)와 2페이지 중간. 91

[그림 39] Zou, 작품 원고, France, 《Comix 2000》. 90

[그림 40~45] Zou, 작품 말풍선 모음. 92

[그림 46] 장 끌로드 데니스(Denis, Jean-Claude), France, 《Comix 2000》 94

[그림 47] 정면(박산하, 레드붐붐), 1/4(켄타로우 미우라, 베르세르크)측면(윤인완&양경일, 신암행어사) 97

[그림 48] 만화에서 몸의 자세와 제스처는 글보다 더 우월한 위치를 차지한다. -월 아이스너, 《그림을 잘 엮으면 만화가 된다》, p.104, 1994 98

[그림 49] 애니메이션에서 원화와 동화. 99

[그림 50] Tayyar Ozkan, 〈Caveman-Same Player Shoot Again〉 100

[그림 51~52] 설명적 동작 묘사. -Robert Valley, 〈Sex Police Episode 1〉, HeavyMetal March 2003, p.61-62, HeavyMetal U.S. 101

[그림 53] 젭, 〈띠떼프〉, p22, B&B, 2001 102

[그림 54] Chris Ware, 〈Rocket Sam〉, 《ACME Novelty Library》. 103

[그림 55] 양영순, 〈누들누드〉, p.87~93, 탱고, 팀매니아, 1997 104

[그림 56] 양영순, 《아색기가》, 〈러브스토리〉. 104

[그림 57] Sandrine Lemoult, Norre-dame d'Oye, 《Comix 2000》 105

[그림 58] Trondheim Lewis, France, 《Comix 2000》, p.1810~1811. 106

[그림 59~60] 마사시 타나카, 《곤》 2권 일부, 대원, 1996 108

[그림 61] 에르베 땅끄렐, 〈용의 나라에 간 쥐〉. 외. 110

[그림 62~63] 히데야수 모토, 《Comix 2000》 중에서. 111

[그림 64~65] 이은홍, 〈주량〉, 〈대화2-조용한 남자〉, 《술꾼》, 사회평론, 2001 114

[그림 66~67] Quino, 〈Quiest Le Chef?〉 일부. 116

[그림 68] 홍승우, 〈멋진 섹스〉, 《야야툰》, p.49~56, 문학과지성, 2002 117

[그림 69] Qino, 〈Quiest Le Chef?〉 118

[그림 70] Olivaree, Javier 원본 작품 4페이지, 지표가 사용된 말풍선. 120

[그림 71] 신정원, 남과 우먼 121

[그림 72] Quartieri 작품 일부. 사용된 말풍선은 지표. 121

[그림 73~74] Eric Braun, 〈Success Story〉, 〈Hop〉, Stripbook #2, Zone Convective, Italy, 2000 121

[그림 75] 이은홍, 〈대화1〉, 《술꾼》, 사회평론, p,106-107. 123

[그림 76] 윤태호, 《Yahoo 1》, p.136-140, 학산문화사, 1999 130

[그림 77] 이두호, 《바람소리》, p.174-175, 팀매니아, 1996 130

[그림 78] 크리스토프 샤부테, 《행복의 작은 섬》, p.45-47, 청년사 131

[그림 79] 임광묵, 《교무의원 1권》, p.162-165, 대원, 1999 132

[그림 80] 박산하, 《레드붐붐 1권》, p.18, 시공사, 2000 133

[그림 81] 츠토무 타카하시, 《철완소녀》 일부, 학산, 2001 134

[그림 82~83] 김동화, 《기생이야기 1권》, p.166-169, 대원, 1996 135

[그림 84] 김동화, 《못난이》, p.166-167, 서울문화사, 1997 137

[그림 85] 송태욱, 〈맘에 들어〉, 《에로틱》, p.134-135, 거북이북스, 2007 136

[그림 86] 이두호, 《객주 2권》, p.182-183, 바다그림판, 2002 138

[그림 87] 임민지, 〈안녕이라고 말하기까지〉, 《나의아버지》. 138

[그림 88] 윤태호, 《Yahoo 2권》, p.66-71, 학산문화사, 1999 140

[그림 89] 야스히토 야마모토, 《나 3권》 일부. 대원, 2000 140

[그림 90] 야스히토 야마모토, 《나 7권》 일부. 대원, 2001 141

[그림 91] 부치 테라사와, 《네트워크 아이》 일부. 142

[그림 92] 쇼웨이 하루모토, 《기린 19권》, 시공사, 2001 143

[그림 93~94] 이익선, 《밀가루케넥션 2권》, 대원씨아이, 2000 144

[그림 95] 부셰, 《씨야주》, p.35-36, B&B, 2001 144

[그림 96] 이충호, 《블라인드 피쉬》, 시공사, 2001 145

[그림 97] 이유정, 〈러브머신〉, 《헤어》, p.32-35, 시공사, 2001 147

[그림 98] Jean Dufaux, 마리니, 《RAPACES 2권》, p.54, B&B, 2001 148

[그림 99] Jung, Kwaidan 〈The Spirit of the Lake〉 일부, HeavyMetal Spring 2003, p.47. 148

[그림 100] 카즈오 코이케, 《실험인형 더미 오스카》, 대원. 149

[그림 101] 야마모토 야스히토, 《리듬 1권》, 삼양, 2000 151

[그림 102] 마리니, 《RAPACES 1권》, p27, B&B, 2001 151

[그림 103] 이현세, 《천국의 신화》, p.86-93, 코믹스투데이, 2001 152

[그림 104] 부크, 《마술사의 아내》, p.64~65, 교보문고, 2001 154

[그림 105] 발락, 《쌍브르》, p3, p19, p58, B&B, 2000 156

[그림 106] 프랑스와 부르종, 《갑판위의 소녀》, P48, B&B, 2001 157

[그림 107] 이슬레르 & 발락, 《쌍브르》, p.81-82, B&B, 2000 158

[그림 108] 차린 & 부크, 《마술사의 아내》, p.78, p.88, 교보문고, 2001 159

[그림 109] F.Chris Ware, 《지미 커리건》 일부. 160

[그림 110] 김동화, 《황토빛이야기 3권》, p.162-165, 대원, 1995 164

[그림 111] Roberto Diso, 〈Of Loves And Ladies Knights And Arms〉, HeavyMetal January 2000, p.76-86 일부 163

[그림 112] 윤효정, 〈Make Me Blue〉, 《시내버스》, 새만화책, 2006 165

[그림 113] 박흥용, 《그의 나라》 1, p.164-167, 대원, 2001 166

[그림 114] 타케시마 미시마, 《우리엄마 맞어》, p.44-45, 또래 165

[그림 115] 박기준, 《만화스토리작법》 중에서, 기승전결 설명도. 168

[그림 116] 데스카 오사무, 《만화그리기ABC》, p.175, p.182, 아름드리, 1998 171

[그림 117] 고전적 패러다임의 내러티브 구조. 173

[그림 118] Bravo, Emile, France, 《Comix 2000》 중에서. 174

[그림 119] 토마스 오트, 〈후크〉, p.222-225, 새책만화, 2006 175

[그림 120] 킬로페, 〈비상구 열쇠〉, 현실문화연구, 2004. 176

[그림 121] Brian Biggs, USA, 《Comix 2000》 177

[그림 122] 이현세, 《천국의 신화》, p.28-31, 코믹스투데이, 2001 178

[그림 123] 양영순, 《기동이》, 개나소나. 2000. 구걸, 노숙 182

[그림 124] Chris Ware, USA, 《Comix 2000》 183

[그림 125] 오영진, 《테러리스트》, p.119-125, 초록배매직스 184

[그림 126] David Bolvin, France 《Comix 2000》 185

[그림 127~129] Ott, Thomas, Suisse, 전반부, 위기, 결말 186

[그림 130] 영화 보니와 클라이드(Bonnie and Clyde) 한 장면. 190

[그림 131] 심대섭, 〈싸우려했던 모든 것들〉, 《베스트오브코믹스》, 2001 191

[그림 132] 이루라, 〈좁은방〉, 《Comix》, 현실문화연구, 1997 193

[그림 133] 제이슨, 《Comix 2000》 중에서. 194

[그림 134] 양영순, 《기동이》, 개나소나, 2002 194

[그림 135] Joko, France, 단편 일부, 《Comix 2000》 p.793-801. 195

[그림 136] 기민영, 〈애(愛)〉, 통조림 절대만화호, 프로젝트 409, 2000. 196

[그림 137] Peter Etc, 〈Comic Strips〉, 헤비메탈 2003 sep. 197

[그림 138] Peter Etc, 〈Massive Swerve〉, 헤비메탈 May 2003. 198

[그림 139] 형민우, 《DOOMSLAVE》, G&S, 2002 199

[그림 140~142] 세르, 《동물학》, 동문선. 203

[그림 143~145] 세르, 《비스꽁프리》, 동문선. 206

[그림 146] 세르, 《자가 수리공》, p.27, p.39, 동문선. 208

[그림 147~150] 세르, 《흰가운의 의사》, 동문선. 209

[그림 151] 이두호, 〈스님이 이르길〉, 《아미띠에》, p.9-14, 길찾기 212

[그림 152~156] 김동화, 《못난이》, 1부 3막 〈찔레꽃〉. 213

[그림 157] 오세호, 《수국아리랑》, 1부 4화 〈심(心)〉, 도입부 일부 221

[그림 158] 제이슨, 《쉬이잇》, p.33, p.49, p.78 225

[그림 159~160] 브라운, 《똑똑 리틀맨》 표지. 227

[그림 161] Franc, Emile, France 단편, 《Comix 2000》 232

[그림 162~167] 오뜨, 〈백만장자의 꿈〉 234

[그림 168~171] j.c.�濱�, 〈산란주의〉, 현실문화연구, 2002 237

[그림 172~173] 루이 트롱댕, 《미스터오》, p.4~5, 샘터, 2005 241

[그림 174~181] 도리 미키, 《먼곳으로 가고파》, 새책만화, 1997 243

[그림 182] 앤디 라일리, 《자살토끼》, 거름, 2004. 248

[그림 183~184] 앤디 라일리, 《돌아온 자살토끼》 거름, 2005. 249

[그림 185] 박건웅, 《꽃》, p.188~189, 글숲그림나무, 2001 250

[그림 186, 187] 정철, 《에덴》, 새책만화, 2004. 251

[그림 188, 189] 타나카 마사시, 《곤 1권》 표지, 대원, 1995. 255

[그림 190] 양영순, 《누들누드》, 〈곤충채집가 L과 K〉. 262

[그림 191] 박혜림, 공주대학교 만화학부 그래픽스토리 과제, 2005. 264

[그림 192] 양백, 같은 과목 과제, 2005. 265

[그림 193~194] 양연순, 《누들누드》, 〈어디든지〉. 267

[그림 195~199] 곽흔지, 공주대학교 만화학부 그래픽스토리 과제, 2005. 268

[그림 200, 201] 에이롤즈, 〈행복한 장과 슬픈 장〉. 272

[그림 202] 박혜림, 같은 과목 과제, 2005. 275

[그림 203] 양백, 〈갈려 질 운명〉, 2005. 276

초록보기

Today comics is generally understood as 'communication media with mixing the sequential image and word'. The sequential image draws the visual acting and the word helps clear understanding as 'dialogue' or 'narration'. This mixing is the based content on comics. But comics without word is present now. How do we explain the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comparative with the text comics. The text comics means the work with word.

This study is a kind of challenge to establish as a term, and research the propriety of using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Seeing the method of making language on the various and similar arts, and studying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on the history of cartoon & comics, so this study is to call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as 'the cartoon & comics without word' or using an echoic word and a mimetic word, very well known code.

This study outputs another theory about 'mixing the word and image' on comics concept. In the history of cartoon & comics, the research extend a being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And it is the analysis of 'narrative image' and 'molding image' on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so modify the stream creators and readers. Coming the data and type of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the purpose of studying looks for the effective expression and direction in creating the works.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conveys the story with only image. People in not understanding language, image i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Human's posture and gesture over the language culture, the image without word is proper to express the stuff that is difficult expression with them.

This study treats with the comics without word and narrative on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But the research includes the comics with typography letter like an echoic word and a mimetic word. Because these are the contents as visual text on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Chapter Ⅰ, in 'Introduction' the research is arrange the concept of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Chapter Ⅱ, in 'Situation of Background' of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the research treats 'character and history and type of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Essential character of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is the visual fact among the that of the comics and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spreads the story by speaking non-language narrative code.

Chapter Ⅲ, in 'the Narrative Image' the research treats the speaking expression of the image. For example, I research the 'storytelling' by narrative spreading and study the character of code on comics ballon. I study the view of language that the image makes how the story explains. In comics, the posture, the gesture and the action of characters mean what kind of the language worth.

Chapter Ⅳ, in 'the Molding Image' the study treats how the wordless image is made and it's narrative. Researching the motif and subject in works by the 'transition'. When the image is used for the particular case, what motif and what subject is treated specially. Every image is the transition in the comics and image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makes the narrative stream without words.

Chapter Ⅴ, 'the Analysis on Image' mentions the image of works by the points of narrative and molding, for the side of the type of works and I try the analysis of the image on comics. First I look inside the cartoon and the part of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what the image means.

Chapter Ⅵ, in the 'Aesthetic Position of image' on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I mention 'the randomness without word', 'the infinity of removing ballon' and 'the transcendency of ellipsis art'. Making really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proves the theory and practise before researching.

This research treats the looking for the language of image, and what massage or subject communications between creators and readers by the image. In 'the wordless cartoon & comics', the roles of text -word- are placed by the image and the study is point of the explains image tell the narrative instead of text.

참고문헌 (8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8 미소장
2 《서사만화개론》, 범우사, 1999 미소장
3 《한국 시사 만화》, 한국언론재단, 2003 미소장
4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열화당, 1999. 미소장
5 《애니메이션 용어사전》, 한울, 2002 미소장
6 《만화그리기ABC》, 1998 미소장
7 《하위문화 : 스타일의 의미》, 현실문화연구, 1998 미소장
8 《만화와 커뮤니게이션》, 이론과실천, 1989 미소장
9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 풀빛, 2005 미소장
10 《만화의 역사》, 글논그림밭, 2002 미소장
11 《영화의 이해》, 현암사, 1998 미소장
12 《오노레 도미에》, 소나무, 2000 미소장
13 《만화의 이해》, 시공사, 2002 미소장
14 《셀프 애니메이션》, 아진, 1999 미소장
15 《판토마임 예술 : 마르셀 마르소와 헬베르 이에링의 대담》, 예니,1988 미소장
16 《클라시커 50 만화》, 해냄, 2005 미소장
17 《풍속의 역사 Ⅰ : 풍속과 사회》, 까치, 2001 미소장
18 《풍속의 역사 Ⅳ : 부르주아의 시대》, 까치, 2001 미소장
19 ≪영화용어해설집≫, 집문당, 1989. 미소장
20 《만화의 문화기호론》, 눈빛, 1996 미소장
21 《만화원론》, 시공사, 1997 미소장
22 《세르... 비스 콩프리》에필로그 중에서, 동문선, 2002. 미소장
23 《예술이론의 역사》, 문예, 1977 미소장
24 《그림을 잘 엮으면 만화가 된다》, 현실문화연구, 2000 미소장
25 《Toon Art》, 예은, 2005 미소장
26 《세계의 만화 만화의 세계》, 미진사, 2003 미소장
27 《고등학교 만화일반》, 서울시교육청, 2004 미소장
28 《만화영상예술사》, 대훈닷컴, 2004 미소장
29 《만화영상예술학》, 대훈닷컴, 2003 미소장
30 《카툰의 이론과 실제》, 드림박스, 2005 미소장
31 《기호의 언어》, 시공디스커버리, 2006 미소장
32 《 카툰의 세계》, 초록배매직스, 2001 미소장
33 《세계 만화의 역사 : 연대기로 보는》, 다섯수레,2003 미소장
34 《비쥬얼 스토리텔링》, 예은, 2005 미소장
35 《이미지, 모험을 떠나다》, 현실문화연구, 2000 미소장
36 《제9의 예술 만화》, 하늘연못, 1998 미소장
37 《거리의 소멸 & 디지털 혁명》, 세종서적, 1999 미소장
38 《만화의 행동과 표현》, 명지, 1993 미소장
39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나남, 1996 미소장
40 《도상과 사상》, 열림원, 1998 미소장
41 한국 신문네칸만화 언어텍스트의 수사적 표현양상 연구 소장
42 만화와 풍속화의 유사성 연구 소장
43 웹툰의 장르적 특성과 의미소구 양식에 대한 연구 : 새로운 만화현상에 대한 사회적 의미를 중심으로 소장
44 「만화미학탐문」,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 3호, 한울, 1999 미소장
45 「진가를 인정받지 못한 대중 예술 : 만화에 대한 고찰」, 계간미술, 1994 미소장
46 「풍자화의 정신과 변천사」, 계간미술, 1992 미소장
47 한국 신문시사만화사 연구 : 풍자성과 사회비판적 역할을 중심으로 소장
48 신문명, 「유머…풍자…기발한 상상력」, 동아일보, 2003년12월12일 미소장
49 신세미, 「은근 ․ 오묘한 성적 상상력 11편의 러브스토리 만화」, 문화일보 ,2006.10.4 미소장
50 한국만화의 공간구성 연구 : 1980년대 '텍스트만화'로부터 '디지털만화'의 등장까지 소장
51 만화에서 칸과 칸 사이의 공간 연구 : 만화<꿈속의 여인>작품 중심으로 소장
52 출판만화에 나타나는 '글자'에 관한 연구 소장
53 현대 소설의 만화 변용 과정 연구 소장
54 출판만화의 칸 구성과 각도 설정 : 칸에 의한 감정 변화를 중심으로 소장
55 「출판만화에 나타난 말칸의 유형과 역할에 대한 연구」, 세종대 공연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미소장
56 In the Shadow of No Towers, Panthouse, 2006 미소장
57 Toute la Berite Sur le Sujet, Edition Paquet, 1997 미소장
58 The Complete Book of Humorous Art, North Light Books, 1995 미소장
59 Comics Jounal Edition, Comics Jounal #211, TJC, 1999 미소장
60 Petit Fabrique de l'Image, Magnard, 2001 미소장
61 A Human Comady, The Univ. of Chicago Press, 1982 미소장
62 A History of Underground Comics, Ronin, 1993 미소장
63 Bande Dessinee Figuration Narrative, Musee des Arts Decoratifs, 2000 미소장
64 Humorous Illustration and Cartooning, Prentice-Hall, 1984 미소장
65 Understanding Comics, Harper Collins Books, 1994 미소장
66 「Histoire de la bande dessinee muette (1), (2)」, 9e Art, No.2, 9e Art est une publication, 1998. 미소장
67 Max Ernst Collages, Thamas and Hudson, 1988 미소장
68 A Contact with God, D.C Comics, 1996 미소장
69 Graphic Storytelling, Poorhouse Press, 1996 미소장
70 Comics & Sequential Art, Poorhouse Press, 1985 미소장
71 백준기 네이버 까페 ‘아트써클’ http://cafe.naver.com/jkbaek 미소장
72 만화규장각 http://www.kcomics.net 미소장
73 다음 백과사전 http://enc.daum.net/dic100 미소장
74 다음 신지식 http://k.daum.net/qna/openknowledge 미소장
75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미소장
76 네이버 지식인 http://kin.naver.com 미소장
77 교보문고 책소개 http://www.kyoboobook.co.kr 미소장
78 예스24 책소개 http://www.yes24.com 미소장
79 인터파크 책소개 http://interpark.co.kr/book 미소장
80 리브로 책소개 http://libro.co.kr/book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