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내용중심 교수법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통합 영어교육 효과 : 주제중심 모형을 중심으로 / 김미소 인기도
발행사항
전주 :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D 420.7 -8-242
형태사항
vi, 15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26130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주대학교 대학원, TESOL, 2008.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I. 서론 12

1.1. 연구의 필요성 13

1.2. 연구의 목적 16

1.3. 연구의 범위와 구성 18

1.4. 연구의 제한점 20

1.5. 용어의 정의 21

II. 이론적 배경 24

2.1. 내용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 24

2.2. 내용중심 교육의 모형 28

2.2.1. 주제중심 모형(Theme-Based Model) 29

2.2.2. 보호 모형(Sheltered Model) 32

2.2.3. 부가 모형(Adjunct Model) 33

2.3. 주제중심 모형의 학습 이론 34

2.4. 선행 연구 43

2.5.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의 주제중심학습 48

2.5.1. 듣기 능력의 개발 50

2.5.2. 말하기 능력의 개발 53

2.5.3. 읽기 능력의 개발 55

2.5.4. 쓰기 능력의 개발 57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59

3.1. 연구의 가설 59

3.2. 실험 대상 및 기간 61

3.3. 실험 과정 및 절차 63

3.3.1. 교수·학습 모형 64

3.3.2. 교수·학습 지도안 66

3.3.3. 실험 전 평가 72

3.3.4. 교수·학습활동 79

3.4. 실험 도구 82

3.4.1. 읽기 학습 자료 82

3.4.2. 쓰기 학습 자료 87

3.4.3. 평가 도구 90

3.4.4. 검증 도구 92

IV. 연구 결과 분석 및 논의 94

4.1. 〈가설 1〉의 결과 분석 94

4.2. 〈가설 2〉의 결과 분석 96

4.3. 〈가설 3〉의 결과 분석 107

4.4. 가설 검증 111

4.5. 논의 112

V. 결론 및 제언 117

참고 문헌 121

ABSTRACT 127

부록 130

〈부록 1〉 흥미도와 참여도에 관한 설문지 130

〈부록 2〉 사전 기초 평가 문제 1 131

〈표 1〉 주제중심 모형과 전통적 교수법의 비교 36

〈표 2〉 연구 대상 구성표 62

〈표 3〉 연구 대상의 외국에서의 학습 경험 62

〈표 4〉 실험 과정 및 절차 64

〈표 5〉 주제중심 수업의 지도안 67

〈표 6〉 전통적 수업의 지도안 70

〈표 7〉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의 사전검사 73

〈표 8〉 언어수행능력 사전검사 74

〈표 9〉 사전 인터뷰 질문 사항 74

〈표 10〉 교사용 사전 인터뷰 평가표 76

〈표 11〉 듣기·말하기 능력의 사전검사 76

〈표 12〉 성별에 따른 실험집단의 언어수행능력 사전검사 77

〈표 13〉 성별에 따른 실험집단의 듣기·말하기 능력 사전검사 78

〈표 14〉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 평균 및 표준편차 95

〈표 15〉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참여도 분석 결과 95

〈표 16〉 언어수행능력의 평균 및 표준편차 96

〈표 17〉 언어수행능력 분석 결과 97

〈표 18〉 사전 인터뷰 (예시) 98

〈표 19〉 듣기·말하기 능력의 평균 및 표준편차 100

〈표 20〉 듣기·말하기 능력 분석 결과 100

〈표 21〉 듣기·말하기 능력 하위요인 분석 결과 101

〈표 22〉 쓰기 과업 수행 (예시 1) 103

〈표 23〉 쓰기 과업 수행 (예시 2) 104

〈표 24〉 쓰기 과업 수행 (예시 3) 105

〈표 25〉 성별에 따른 언어수행능력의 평균 및 표준편차 107

〈표 26〉 성별에 따른 언어수행능력 검증 결과 108

〈표 27〉 성별에 따른 듣기·말하기 능력의 평균 및 표준편차 109

〈표 28〉 성별에 따른 듣기·말하기 능력 분석 결과 109

〈표 29〉 성별에 따른 듣기·말하기능력 영역 t-검증결과 110

〈그림 1〉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의 주제중심 학습활동 49

〈그림 2〉 주제중심 모형의 교수·학습 모형 65

〈그림 3〉 전통적 교수 모형 66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vantages of using reading materials of various topics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 participation levels and proficiency in English by applying a theme-based model in the classroom.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theme-based English teaching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it to language-centered English teaching in a language institute.

This study proposes and validates three hypotheses that demonstrate the advantages of the theme- based model.

1) The levels of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learning within a theme-based model are higher than students in a language-centered classroom.

2) The language proficiency level of students learning within a theme-based model is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a language-centered classroom.

3) There is a difference in language proficienc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data and prove the hypotheses this paper examines results that were gathered from 60elementary students who were studied from February 2006 to February 2007. There were two groups of elementary students of the same level, 30 in each, one group was taught with a theme-based model and the other with a language-centered method. These students were surveyed to analyze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levels both before and afte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to ascertain their levels of listening comprehension and speaking skills. Tests were also conducted on the students to look at their reading comprehension proficiency and writing skill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language proficienc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results from the interview, tests and writing sampl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 theme-based classroom, reading materials play important roles since various themes and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topics are in their school textbooks. When choosing reading materials, the contents should be relevant to the learner's environment, as this will increase the learner's motivation and will lead to more active participation. Also, it is important to know the learner's interests and their daily activities. As a critical component to the theme-based model's effectiveness is in how the students can relate to their classroom material. In addition, recognizing what the students are learning in their elementary school should impact the language institute's curriculum. The choice of topics and reading materials in English classes provide not only useful and interesting information to learners, but they can also aid the instructor's ability to identify different teaching methods.

The study shows that by using various authentic reading materials and topics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creases and ultimately their learning English becomes more practical. The theme-base model helps students build their language awareness around something they read and discuss in class. The model also aids in listening and speaking practice through classroom presentations and writing assignments. It also suggests that follow-up studies need to be focused more on linguistic issues, so that English learning becomes more accurate for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By learning English through the theme-based model students can grow as a self-directed and life-long English language learner.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