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국문 초록 8

I. 서론 10

1. 문제의 제기 10

2. 연구의 목적 12

3. 연구의 제한점 13

II. 연구의 배경 15

1. 과학교육의 필요성 15

2. 구성주의적 교수 학습 원리 16

III. 연구의 개요 21

IV. 연구 결과 22

1. 7차 교육과정의 분석_천문학 분야 22

2. 새로운 교육과정_천문학 분야의 내용 32

3.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_별자리와 별 단원 35

V. 결론 및 제언 51

1. 결론 51

2. 제언 51

부록 53

1.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우주(천문학) 관련 질문 모음의 사례 53

2. 국내 천문대와 관련 연구소 현황 60

참고 문헌 61

ABSTRACT 63

표 차례

〈표 1〉 학습에 관한 네 가지 관점들(추병완, 2000) 19

〈표 2〉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23

〈표 3〉 학습지도안 : 별의 이해 37

그림 차례

그림 1. 밤하늘에 보이는 백조자리의 모습 43

그림 2. 활의 모습을 떠오르게 하는 백조자리의 모습 43

그림 3. 우산의 모습을 떠오르게 하는 백조자리의 모습 43

그림 4. 성도에 나오는 백조자리의 모습 43

초록보기

교사와 학생이 교수·학습하기 어려워하는 과학의 주제들을 분석한 한 연구에서 교사가 가르치기 어려워하는 주제 1위가 지구과학 분야의 ‘태양계의 운동’ 부분이고, 2위가 ‘물질의 구조(원자, 원소, 분자, 이온 등)’이고, 3위가 ‘전자기’ 부분으로 나타났다. 학생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주제는 1위가 ‘일과 에너지’, 2위가 ‘힘과 운동’ 3위가 지구과학 분야의 ‘천체의 운동’으로 나타났다(곽영순, 2006). 또한, 이러한 과학 주제들을 어려워하는 이유로서는 추상적이라는 점과 눈으로 관찰하고 몸으로 느끼기 어렵다는 점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물리의 전자기, 지구과학의 천체의 운동이나 좌표계 등 공간 지각력을 요하는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현장교사들이 말하는 성공적인 지도 방법 사례로써는 다음의 다섯 가지가 조사되었다. 첫째, 가상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둘째, 각종 동영상이나 그림 자료, 영화 등을 활용한다. 셋째, 비유를 활용하거나 학생들에게 친숙한 주변의 실생활 속 사례를 활용한다. 넷째, 구체적인 활동이나 구체물을 고안해 내어 학생들이 직접체험하고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즉, hands-on activity). 다섯째,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적절한 질문을 던진다(곽영순, 2006).

모든 교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교수·학습에서의 성패를 결정할 수 있는 요건은 우선 학습자의 특성의 변화와, 시대 상황의 변화를 읽어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과학의 교수와 학습은 특히, 천문학 분야의 교수와 학습은 우선, 주제의 선정에서 많은 부분이 성패를 결정함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 교수·학습에서의 전략 즉, 알맞은 학습지도안이 탐색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을 성공리에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과학교육 콘텐츠가 개발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