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유엔사 이전에 따른 부지활용 계획에 관한 연구 : 도시의 연속적 흐름을 고려한 지역문화시설 계획안 / 박상석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M 692.1 -8-57
형태사항
viii, 8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3420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건축설계학, 2008.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2

1.1. project의 배경 및 목적 13

1.2. project의 대상 및 방법 15

2. 용산 지역에 대한 고찰 17

2.1. 용산의 입지유형 및 특징 18

2.2. 지리적 입지조건의 용산 21

2.3. 외세의 주둔지 용산 23

2.4. 용산 지역 개발 계획 25

2.4.1. 용산1지역지구 26

2.4.2. 용산2지역지구 26

2.4.3. 용산 뉴타운 개발계획으로 인한 기회 요소 27

2.4.4. 그 외 개발 계획 29

3.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관한 이론적 고찰 30

3.1.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개념 31

3.2.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특징 33

3.2.1. 판 33

3.2.2. 불확정성 34

3.2.3. 연속성 35

3.2.4. 공공성 36

3.3. 랜드스케이프 건축과 경계의 관계 36

3.3.1. 내외부 공간의 경계 37

3.3.2. 도시와 자연의 경계 39

3.3.3. 공공 공간과 사적 공간의 경계 40

3.4. 소결 41

4. 사례 연구 42

4.1. 건축적 문제를 해결한 랜드스케이프 건축 사례 43

4.1.1. 연속된 바닥면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level 극복 43

4.1.2. 계단을 통한 자연의 연결과 확장 47

4.1.3. 소결 48

4.2. 도시와 자연연계의 매개체로서의 도심지 공원사례 49

4.2.1. 일본 도쿄시의 쇼와 국립공원 49

4.2.2. 라빌레뜨 공원 (Parc La Villette) 52

4.2.3. 선유도 공원(Seonyudo Park) 54

5. 건축계획안 56

5.1. 대상지 선정 및 지역 현황 57

5.1.1. 지역 배경 57

5.1.2. 지역 특성 및 현황 60

5.1.3. 유엔사 주변지역의 현황 및 분석 64

5.2. 기본계획 방향 65

5.2.1. 계획개념 65

5.2.2. Design Concept 67

5.3. 계획과정 및 프로그램 68

5.3.1. Process 68

5.3.2. Mass study 72

5.3.3. User & Program 74

5.3.4. 세부사항 계획 77

5.4. Drawing 78

5.5. Image 87

5.6. Detail 89

5.7. Model 90

Abstract 97

참고문헌 99

〈표 1〉 용산에 위치한 조선시대 관공서와 건물 22

〈표 2〉 용산 역사 현황 24

〈표 3〉 문제점 해결을 위한 건축사례 48

〈표 4〉 용산공원 대상부지의 면적 57

〈그림 1〉 도시와 경계 14

〈그림 2〉 해동지도 중 경도부분, 18세기중엽 18

〈그림 3〉 경조오부도 19

〈그림 4〉 19세기초 동국여도 도성도(都城圖) 21

〈그림 5〉 용산지구 첨단 업무지구 단위계획도 25

〈그림 6〉 용산국제업무지구 당선작 조감도 27

〈그림 7〉 용산기지 공원화 및 향후 한남 뉴타운지구 개발 계획안 28

〈그림 8〉 용산구 한남뉴타운 지구 기본구상안 28

〈그림 9〉 이태원 건축물 높이 계획도 29

〈그림 10〉 라 빌레뜨 공원 - 츄미는 Parc de la villette 32

〈그림 11〉 판의 조작 사례 33

〈그림 12〉 빌라 VPRO 측면 35

〈그림 13〉 빌라 VPRO diagram 35

〈그림 14〉 EXPRO 2000 38

〈그림 15〉 공공공간에서의 공적 행위 41

〈그림 16〉 villa VPRO 외관 투시도 43

〈그림 17〉 Educatorium 외부사진 44

〈그림 18〉 Kunstal Temporary Art Centre 모형사진 45

〈그림 19〉 Art Centre 개념도 45

〈그림 20〉 Kunstal Temporary Art Centre 단면도 46

〈그림 21〉 RUV building 옥상사진 47

〈그림 22〉 RUV building 주출입 계단사진 47

〈그림 23〉 쇼와기념공원 사진 50

〈그림 24〉 라빌레뜨 공원 전경사진 53

〈그림 25〉 선유도 배치도 54

〈그림 26〉 녹색기둥의 정원 54

〈그림 27〉 시간의 정원 54

〈그림 28〉 선유교 55

〈그림 29〉 선유교 내부 55

〈그림 30〉 수생식물원 55

〈그림 31〉 환경물놀이터 55

〈그림 32〉 이동가능의자 55

〈그림 33〉 용산공원 대상부지의 위치 57

〈그림 34〉 문화적 요인 58

〈그림 35〉 사회·경제적 환경 요인 58

〈그림 36〉 물리·공간적 환경 요인 59

〈그림 37〉 자연·생태적 환경 요인 59

〈그림 38〉 공원에 대한 현황표 60

〈그림 39〉 서울의 녹지축 60

〈그림 40〉 교통시설 분포 61

〈그림 41〉 문화시설 분포 61

〈그림 42〉 교육시설 분포 61

〈그림 43〉 녹지 분포 61

〈그림 44〉 대지 전경 사진 62

〈그림 45〉 대지위치 및 주변사진 62

〈그림 46〉 대지주변사진 63

〈그림 47〉 대지 현황 및 분석 63

〈그림 48〉 유엔사 주변지역의 기능별 분포 64

〈그림 49〉 유엔사 주변지역의 층별 분포 64

〈그림 50〉 대지 레벨현황 64

〈그림 51〉 용산공원과 network 65

〈그림 52〉 역사적 재현의 시간성을 경험하는 대표적 프로그램 65

〈그림 53〉 네 가지 요소를 통한 활성화 프로그램 예측 66

〈그림 54〉 경계의 구성과 모호성 67

〈그림 55〉 경계의 요소와 방안 67

〈그림 56〉 site process 68

〈그림 57〉 Section Process 1 69

〈그림 58〉 Section Process 2 70

〈그림 59〉 PUBLIC SPACE 70

〈그림 60〉 park와 new park의 조작 71

〈그림 61〉 park와 new park sketch 71

〈그림 62〉 판의 연속성 Study 72

〈그림 63〉 판의 연속성 Concept Sketch 72

〈그림 64〉 void의 역할 72

〈그림 65〉 Study Model - 1 73

〈그림 66〉 Study Model - 2 73

〈그림 67〉 네 가지를 통한 Program 74

〈그림 68〉 lifelong education Program 74

〈그림 69〉 TIME TABLE 75

〈그림 70〉 매개체의 Program 75

〈그림 71〉 Space Program 76

〈그림 72〉 기존의 지형을 이용한 노천강당 77

〈그림 73〉 void를 통해 각각의 program 연결 77

〈그림 74〉 Ground Level Plan : FL -4.0 ~ FL -1.0 78

〈그림 75〉 Floor Level Plan : FL 0 ~ FL +4.0 79

〈그림 76〉 Floor Level Plan : FL +4.2 ~ FL +8.2 80

〈그림 77〉 Floor Level Plan : FL +7.7 ~ FL +11.5 81

〈그림 78〉 Floor Level Plan : FL +12.7 ~ FL +15 82

〈그림 79〉 Section A-A' 83

〈그림 80〉 Section B-B' 84

〈그림 81〉 Section C-C' 85

〈그림 82〉 Section D-D' 86

〈그림 83〉 옥상 정원에서 용산공원을 바라보는 view 87

〈그림 84〉 Public Space Image 88

〈그림 85〉 지붕층 Detail 89

〈그림 86〉 노천강당 Detail 89

〈그림 87〉 Mid Model : 옥외 공연 공간 90

〈그림 88〉 Mid Model : 진입부 부분 91

〈그림 89〉 Final Model 1 : 전경 92

〈그림 90〉 Final Model 2 : 진입 부 전경 92

〈그림 91〉 Final Model 3 : main public space 93

〈그림 92〉 Final Mode 4 : 옥외 공연 공간 93

〈그림 93〉 Final Mode 5 : 남쪽에서 바라보는 View 94

〈그림 94〉 Final Mode 6 : 남쪽에서 기존 지형의 연계성을 가진 mass 94

〈그림 95〉 Final Mode 7 : 북쪽에서 바라보는 전경 95

〈그림 96〉 Final Mode 8 : 남쪽에서 바라보는 전경 95

〈그림 97〉 Final Mode 9 : 지붕층까지 올라가는 코어부분 96

〈그림 98〉 Final Mode 10 : gallery 코어부분 96

초록보기 더보기

 최근 도시지역의 확장과 군사전략적 요인으로 인한 국군기지이전 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고, 주한미군의 기지조기반환 결정에 따라 군사시설 이전 적지의 활용방안에 대한 논의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도심 내의 군사시설 이전 적지는 도시 공간구조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그 활용방안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현대 도심지에서 녹지공간은 도시인들의 답답함과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도시화가 가중될수록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근린공원은 격자형 도로와 주거지로 인해 블록형태의 섬으로 조성되어 도시와 공존하는 자연이 아닌 옹벽형태로 잘린 근린공원으로 남겨지게 되었다. 도시의 녹지는 단지 시각적인 대상이 되어버렸고 산책로들도 그 모습이 옹색하여 도시와 자연의 연계가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건축 기법을 통한 도시 경계의 해석에 관한 연구로 유엔사이전 후의 부지에 있어 자연과 맞닿는 경계부분에 어떤 방법으로 랜드스케이프 건축을 적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많은 건축가들이 새로이 주목하게 된 랜드스케이프 개념은 전원의 풍경 개념 또는 조경 개념과는 다른 것이다. 여기서의 랜드스케이프 개념은 건축을 주변 환경을 배경으로 독립적으로 우뚝 솟아 있는 오브제로써 보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 속의 일부로써 작동하는 장치로 보는 것이다. 결국 랜드스케이프 개념은 사회와 자연, 공간의 관계의 사실적인 측면을 일컫는 환경과는 구분되는 개념으로 보는 것이 올바른 해석이다.

이러한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속성 중 본 논문에서 주목하는 바는 연속성이다. 현대 도시는 흐름과 역동성이 중요시 되며 도시의 프로그램을 건축이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수용에 있어서 건축은 도시의 네트워크적인 연속성위에 놓여있으며, 이는 현대도시의 주변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맥락에서 도시연속성이라는 해석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도시연속성은 불규칙한 도시의 흐름이 만들어내는 단절적 경계에 의해 방해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단절적 경계는 도시 내부의 흐름을 단절시킬 뿐만 아니라 행위자체를 단절시키고 있다. 현대의 도시건축은 단순히 내부의 프로그램이나 공간적 필요만으로 만들어져서는 안 된다. 현대도시에서 결여된 중요한 문제는 수많은 단절적 경계에 의한 공간과 지역의 분리이며 자연과 건축, 도시와 건축의 단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절적 경계부에 대한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해보고, 도시의 연속적 흐름과 공존하는 public space를 계획하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