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목적 11
2. 연구방법 17
Ⅱ. 샤피로의 생애와 시대적 배경 20
1. 생애 20
2. 페미니즘 미술 24
(1) 1세대 페미니즘 24
(2) 1세대 페미니즘 미술의 쟁점 34
Ⅲ. 페미니즘 미술과 샤피로 40
1. 페미니즘 이전의 작품경향 40
2. 1970년대 페미니즘 미술로의 전환 48
Ⅳ. 〈인형의 집 Dollhouse〉 58
1. 형성배경 58
2. 〈인형의 집〉의 실제구성과 구조 59
3. 〈인형의 집〉에 나타난 특징 65
(1) 여성의 일상 67
(2) 경험의 타자화 69
(3) 패턴과 장식미술과의 비교 70
Ⅴ. 결론 73
참고도판 77
참고문헌 88
ABSTRACT 93
도판1) 미리엄 샤피로, 〈인형의 집 Dollhouse〉, 1972, 혼합매체, 입체구조물, 213.3×101.6×274.3㎝, Miriam Schapiro Collection. 77
도판2) 미리엄 샤피로 〈인형의 집〉 세부. 78
도판3) 미리엄 샤피로 〈인형의 집〉 세부. 78
도판4) 미리엄 샤피로 〈인형의 집〉 세부. 78
도판5) 미리엄 샤피로 〈인형의 집〉 세부. 78
도판6) 미리엄 샤피로 〈인형의 집〉 세부. 78
도판7) 미리엄 샤피로 〈인형의 집〉 세부. 78
도판8) 미리엄 샤피로와 주디 시카고 Judy Chicago외, 〈여성의 집 Womanhouse〉 사진. 79
도판9) 주디 시카고, 〈생리욕실 Menstruation Bathroom〉, 1972, 혼합매체, 장소특정성설치, 여성의 집, 유실. 79
도판10) 로빈 쉬프 Robin Schiff, 〈악몽의 욕실 Nightmare Bathroom〉, 1972, 혼합매체, 장소특정성설치, 여성의 집, 유실. 79
도판11) 카밀 그레이 Camille Grey, 〈립스틱욕실 Lipstick Bathroom〉, 1972, 혼합매체, 장소특정성설치, 여성의 집, 유실. 79
도판12) 샌디 오걸 Sandy Orgel, 〈리넨 장 Linen Closet〉, 1972, 혼합매체, 장소특정성 설치, 여성의 집, 유실. 80
도판13) 미리엄 샤피로, 〈성소 : 세잔 예찬 Shrine : Homage to Cezanne(이미지참조)〉, 1963, 캔버스에 마그나, 180×240㎝ (four parts), California : La Jolla, Walter Munk Collection. 80
도판14) 미리엄 샤피로, 〈성소 : M.L. 예찬 Shrine : Homage to M. L.〉, 1963, 캔버스에 마그나, 182.8×203.1㎝, 개인소장. 80
도판15) 미리엄 샤피로, 〈16개의 창문 Sixteen Windows〉, 1965, 캔버스에 아크릴, 203.1×182.8㎝, 개인소장. 80
도판16) 주디 시카고, 〈디너파티 Dinner Party〉, 1979, 혼합매체, 1463×1280×91.5cm, New York : Brooklyn Museum. 81
도판17) 페이스 와이딩 Faith Wilding과 제니스 레스터 Janice Lester, 〈남녀 성기들의 연극 Cock and Cunt Play〉, 1972, 퍼 포먼스, 부분사진, 여성의 집. 81
도판18) 미리엄 샤피로, 〈지오르지오네 예찬 Homage to Giorgione〉, 1953, 캔버스에 유채, 170.1×271.7㎝, 개인소장. 81
도판19) 미리엄 샤피로, 〈전원풍경#1 Idyll #1〉, 1956, 캔버스에 유채, 152.3×182.8㎝, Massachusetts : Williams College Collection. 81
도판20) 미리엄 샤피로, 〈세 번째 전원 풍경 Third Idyll〉, 1956, 캔버스에 유채, 152.3×121.9㎝, New York : Mr. and Mrs. Guy Weil Collection. 82
도판21) 미리엄 샤피로, 〈야수의 대지와 풍요 Beast Land and Plenty〉, 1957, 캔버스에 유채, 170.1×261.6-3/4 ㎝, New York : Grey Art Gallery and Study Center. 82
도판22) 미리엄 샤피로, 〈팡파르 Fanfare〉, 1958, 캔버스에 유채, 152.3×266.6㎝, 개인 소장. 82
도판23) 미리엄 샤피로, 〈자서전 Autobiography〉, 1959, 캔버스에 유채, 135×160cm, 개인소장. 82
도판24) 미리엄 샤피로, 〈게임 The Game〉, 1960, 캔버스에 유채, 203.1×228.5-1/2㎝, 개인소장. 83
도판25) 미리엄 샤피로, 〈법 The Law〉, 1961, 캔버스에 유채, 203.1×228.5-1/2 ㎝, 개인소장. 83
도판26) 미리엄 샤피로, 〈보물 The Treasury〉, 1961, 캔버스에 유채, 203.1×228.5-1/2㎝, 개인 소장. 83
도판27) 미리엄 샤피로, 〈황소 OX〉, 1967, 캔버스에 아크릴, 228.5×274.3㎝, San Diego : MOCA. 83
도판28) 미리엄 샤피로, 〈비잔티움, Byzantium〉, 1967, 캔버스에 아크릴, 274.3×182.8㎝, New York : Barbara Kafka Foundation. 84
도판29) 미리엄 샤피로, 〈다시 16 개의 창문 Again Sixteen Windows〉, 1973, 에나멜 스프레이, 수채화, 종이에 패브릭, 914.3-1/2×670.5-1/2㎝, Theodore and Fannie Schapiro Collection. 84
도판30) 미리엄 샤피로, 〈개인을 위한 출현 #3 Personal Appearance #3〉, 1973, 캔버스에 아크릴과 패브릭, 160×125cm, Kansas : Marilyn Stokstad Collection. 84
도판31) 미리엄 샤피로, 〈사계절을 위한 캐 비닛 Cabinet for All Seasons (four panels)〉, 1974, 캔버스에 아크릴과 패브릭, 각 패널별 177.7×101.6㎝, 개인소 장. 84
도판32) 미리엄 샤피로, 〈합작 시리즈 : 메리 카삿과 나 Collaboration Series : Mary Cassatt and Me〉, 1976, 스프레이 페인트, 종이, 종이에 패브릭, 76.2×55.8㎝, 개인소장. 85
도판33) 미리엄 샤피로, 〈합작 시리즈 : 메리 카삿과 나 Collaboration Series : Mary Cassatt and Me〉, 1976, 종이에 수채화와 콜라주, 76.2×55.8㎝, 개인소장. 85
도판34) 메리 카삿 Mary Cassatt, 〈아이의 목욕 The Child's Bath (The Bath)〉, 1893, 캔버스에 유채, Illinois : Art Institute of Chicago. 85
도판35) 미리엄 샤피로, 〈그녀는 다양한 색의 꽃들을 흩날린다 She Sweeps with Many Colored Brooms〉, 1976, 캔버스에 아크릴과 패브릭, 101.6×81.2㎝, 개인소장. 85
도판36) 미리엄 샤피로, 〈인내 Patience〉, 1977, 종이위에 아크릴과 패브릭 콜라주, 76.2×55.8㎝, 개인소장. 86
도판37) 미리엄 샤피로, 〈기모노의 해부 Anatomy of a Kimono〉, 1976, 캔버스에 아크릴과 패브릭, 10개의 패널, 203.1×1590-1/2㎝, 설치물, Zurich : Bruno Bischofberger Collection. 86
도판38) 미리엄 샤피로, 〈기모노의 해부〉 세부. 86
도판39) 미리엄 샤피로, 〈의복 시리즈 #2 Vesture Series #2〉, 1976, 캔버스에 아크릴과 패브릭, 152.3×126.9㎝, 개인소장. 86
도판40) 미리엄 샤피로, 〈금빛의 외투 The Golden Robe〉, 1976, 캔버스에 아크릴과 패브릭, 152.3×126.9㎝, 개인 소장. 87
도판41) 미리엄 샤피로, 〈파리의복 시리즈 #2 Paris Vesture Series #2〉, 1979, 캔버스에 아크릴과 패브릭, 152.3×126.9㎝, New York : Barbara Gladstone Collection. 87
도판42) 킴 맥코넬 Kim MacConnel, 〈실용적인 디자인 소장품 Collection Applied Design〉, 1976, 패브릭, 설치물, San Diego : MOCA. 87
도판43) 조이스 코즐로프 Joyce Kozloff, 〈세개의 정면 Three Facades〉, 1973, 캔버스에 아크 릴, 203.2×149.9cm, Massachusetts :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llection. 87
본 논문은 미리엄 샤피로 Miriam Schapiro (1923- )의 <인형의 집 Dollhouse>(1972)에 관한 연구이다. 샤피로는 1971년 주디 시카고 Judy Chicago (1939- )와 함께 발렌시아 Valencia에 있는 캘리포니아 미술학교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에서‘페미니스트 미술 프로그램 Feminist Art Program'을 신설했다. 샤피로의 <인형의 집>은 1972년 이 프로그램의 결과물로 기획된 <여성의 집 Womanhouse>에서 쉐리 브로디 Sherry Brody와 공동 제작한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샤피로의 <인형의 집>이 1세대 페미니즘 미술의 지표를 열어주는‘페미니스트 미술 프로그램’의 결과물인 <여성의 집>을 통해 나왔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더불어 샤피로가 1세대 페미니즘 미술을 주도한 진정한 여성 미술가임에도, 남성중심 미술계 속에서 제작한 추상표현주의 작품을 <인형의 집>에 끌어들인 이유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는 그 해답이 샤피로가 추상표현주의 남성미술가들의 세계에서 자신의 여성성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전제하고 <인형의 집>에 나타난 그녀의 여성성을 분석했다. 샤피로는 이를 위해 여성의 공예로 평가 절하된 퀼트와 바느질을 <인형의 집>에 사용했는데, 이것에 눈을 돌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1세대 페미니즘 미술의‘여성의 감수성’을 미술에 도입하고, 이를 부각시켰기에 작품의 주제와 의미가 1세대 페미니즘의 산물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샤피로는 ‘여성의 삶’이라는 자전적 요소를 작품의 토대로 놓고 과거에 예술로 간주되지 않던 퀼트와 바느질을 재평가되어야 하는 여성의 문화로 이끈 것이다.
이 논점을 바탕으로 본론의 첫째 장에서는 샤피로의 미술관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을 그녀의 유년시절을 통해 살펴보고, 시대적 배경을 통해 페미니즘 미술의 등장배경과 1세대 페미니즘 미술을 살펴보았다. 둘째 장에서는 샤피로의 시대별 작품 분석으로, 1절에서는 페미니즘 이전 작품경향을 통해 그녀가 여성성을 모색하는 과정을 알아보고, 2절에서는 샤피로가 페미니즘 미술에 들어선 이후 자신의 여성성을 구축하게 되는 과정에서 보인 활동과 작품을 알아보았다. 이 부분에서는 샤피로에게 페미니즘 미술의 단초를 마련해 준 시카고와의 만남을 통해 캘리포니아 미술학교에서‘페미니스트 미술 프로그램’을 신설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 수업의 결과물로써 1세대 페미니즘 미술의 의식이 담겨 있는 <여성의 집>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작품분석에 있어서는 <여성의 집>전시가 철거된 1972년 샤피로가 작품을 재구성한 <인형의 집>의 형성배경과 각 방들에 드러난 주제 그리고 소재들의 출처를 살펴봄으로써 의미를 해석했다. 나아가 <인형의 집>에서 드러난 여성성이 여성의 일상과 경험에 대한 타자화를 통해 더욱 공고해진다는 전제하에 이에 대한 연관성을 제시했다. 샤피로가 여성의 일상을 드러내고 경험을 타자화 함으로써 자신을 인식하게 되는 과정은 사회적으로 규정되어온 남성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기 위한 필연적 과정이었다. 이러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퀼트와 바느질을 통해 드러난 장식성을 '패턴과 장식'을 추구한 미술가와의 비교를 통해 샤피로가 가지는 특유의 여성성을 고찰했다.
이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인형의 집>에 드러난 바느질과 퀼트가 바로 1950년대 초부터 1960년대의 미술계 속에서 여성으로서의 자아와 여성 미술가로서의 정체성을 고민했던 것에 대해 지극히 여성적인 것으로 남성미술세계에 반론을 제기하고자 사용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여성의 일상과 경험을 타자화 하면서 구축해 나아가는 샤피로 특유의 여성성을 조명할 수 있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