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6
I. 서론 8
1. 문제제기 8
2. 연구문제 13
II. 이론적 논의 15
1. 악플 15
1) 악플에 대한 정의 15
2) 악플 경험자에 대한 정의 17
3) 악플과 사이버 공간 및 문화와의 관계 17
2. 악플 경험자와 비경험자 특성 비교의 영향 요인들 21
1) 인구사회학적 요인 21
2) 심리적 요인 22
(1) 자아존중감 23
(2) 공격성 27
3) 가정 환경적 요인 30
(1) 부모의 양육태도 30
(2)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 32
(3) 월소득 34
III. 연구방법 36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36
2. 변인측정 37
1) 악플 37
2) 인구사회학적 요인 38
3) 심리적 요인 39
4) 가정 환경적 요인 40
3. 분석방법 42
IV. 연구결과 및 해석 44
1. 일반적 특성 44
2. 인터넷 이용 특성 46
3. 악플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특성 비교 49
4. 악플 경험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비교 57
V. 결론 59
1. 결과요약 및 논의 59
2. 연구한계와 의의 64
참고문헌 66
부록 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cyber-attackers and non-attackers. Demographical factors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home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have been studied in order to defin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Cyber-attackers, internet users who would likely attack unidentified others with malicious messages, in general are found to be low self-esteemed, yet full of themselves and aggressive in their behavior. This tendency, however, has lacked the scientific study and theories to be considered as a branch of science. Therefore, this study will explore a number of characteristics found in cyber-attackers and non-attackers.
This survey was conducted among 518 students in primary, secondary and high-level education in Busan. Results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s regarding demographical, psychological and home environmental factors.
Results show that a majority of cyber-attackers are identified as male. In terms of age, however, cyber-attackers in different age groups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y presented the larges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factors and self-esteem. Open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home environmental category. Aggressiveness was picked 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llowed by self-esteem when distinguishing cyber-attackers and non-attackers. In sum, internet users get more aggressive with their online messages as they show higher level of aggressiveness and lower self-esteem.*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