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와 주민참여 : 광양시 신촌마을과 장흥군 진목마을의 사례 / 안종현 인기도
발행사항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2
청구기호
TD 910 -8-9
형태사항
xi, 196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844360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리학, 2008.2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제1장 서론 14

제1절 문제의 제기 14

제2절 연구목적 및 연구지역 개관 17

1. 연구목적 및 연구방법 17

2. 연구지역 개관 22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연구동향 24

제1절 그린투어리즘과 농촌관광마을의 특징 24

1. 관광환경 및 농촌공간의 변화와 농촌관광 24

2. 농촌관광시장의 발전단계와 우리나라의 전망 34

3. 농촌관광마을의 특징 38

제2절 농촌관광마을과 주민참여 연구동향 47

1. 농촌관광마을 연구동향 47

2. 주민참여 연구동향 50

제3절 우리나라 농촌관광마을 추진사업의 전개 53

1. 정부 부처별 농촌관광마을 추진정책의 특징 53

2. 농림부의 녹색농촌체험마을시범사업 56

3. 광주·전남권 농촌관광마을 현황 62

제4절 소결 73

제3장 광양시 봉강면 신촌마을의 사례분석 76

제1절 마을의 자원과 농촌관광마을 만들기 과정 76

1. 마을의 현황 76

2. 마을의 자원 86

3. 마을의 잠재력과 관광마을 만들기 과정 92

제2절 주민참여의 특징 95

1. 주민참여 분석 95

2. 주민참여의 특징 104

제3절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의 효과 105

1. 체험프로그램 운영 105

2. 사회·경제적 효과 108

제4절 소결 109

제4장 장흥군 회진면 진목마을의 사례분석 113

제1절 마을의 자원과 농촌관광마을 만들기 과정 113

1. 마을의 현황 113

2. 마을의 자원 121

3. 마을의 잠재력과 관광마을 만들기 과정 127

제2절 주민참여의 특징 129

1. 주민참여 분석 129

2. 주민참여의 특정 139

제3절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의 효과 140

1. 장흥 못생긴 호박축제 분석 140

2. 체험프로그램 운영 156

3. 사회·경제적 효과 159

제4절 소결 161

제5장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의 특징과 성과 : 마을간 비교분석 166

제1절 농촌관광마을 만들기 과정의 비교 166

제2절 주민참여의 비교 168

제3절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의 효과 비교 173

제4절 소결 179

제6장 결론 181

참고문헌 186

(Abstract) 192

부록 : 설문지 : 형제의병장마을(신촌마을) 주민 설문조사 197

〈표 2-1〉 농촌관광시장의 발전단계별 특징 35

〈표 2-2〉 농촌관광 주체별 역할 46

〈표 2-3〉 농촌관광마을 연구동향 47

〈표 2-4〉 주민참여 연구동향 51

〈표 2-5〉 주민참여의 세 가지 수준 52

〈표 2-6〉 정부 부처별 농촌관광마을 추진 정책 54

〈표 2-7〉 농촌관광마을 육성 계획 56

〈표 2-8〉 예시사업 내역 57

〈표 2-9〉 녹색농촌체험마을 선정 현황 58

〈표 2-10〉 녹색농촌체험마을 방문객수 및 매출액 추이 59

〈표 2-11〉 농촌관광 홍보 현황(2006년) 60

〈표 2-12〉 광주·전남 농촌관광마을 현황(2006년) 63

〈표 2-13〉 녹색농촌체험마을 전남 선정 현황 64

〈표 2-14〉 농촌전통테마마을 전남 선정 현황 66

〈표 2-15〉 어촌체험마을 전남 선정 현황 68

〈표 2-16〉 산촌생태마을 전남 선정 현황 70

〈표 2-17〉 아름마을 광주·전남 선정 현황 71

〈표 2-18〉 문화역사마을 전남 선정 현황 72

〈표 3-1〉 광양시 봉강면 신촌마을~주요도시와의 거리 및 시간 76

〈표 3-2〉 마을 인구 현황(2005년) 79

〈표 3-3〉 주민의 마을 거주 연수(2005년) 80

〈표 3-4〉 마을 내 농가·비농가 현황(2005년) 80

〈표 3-5〉 신촌마을의 총 농지면적(2005년) 81

〈표 3-6〉 주민의 연간 소득(2005년) 81

〈표 3-7〉 주택에 대한 만족도 82

〈표 3-8〉 주민의 광양시내나 외부 이동횟수(1주 기준) 83

〈표 3-9〉 주민의 광양시내나 외부 이동시 교통수단 84

〈표 3-10〉 마을 조직에서 직책 경험 여부 85

〈표 3-11〉 마을 홈페이지 메뉴 구성 86

〈표 3-12〉 주민의 인구통계적 특성(2005년) 96

〈표 3-13〉 주민이 생각하는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의 목표 97

〈표 3-14〉 주민참여 태도와 사업내용의 결정 방식 97

〈표 3-15〉 사업 진행에 대한 주민인식 시점과 선정시 주민 입장 98

〈표 3-16〉 사업 관련 마을회의 참석 여부 및 계획단계 주민참여 활동 99

〈표 3-17〉 사업 진행단계 주민 역할 및 사업시작에 대한 주민의견 100

〈표 3-18〉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운영단계 주민참여 활동 101

〈표 3-19〉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참여 이유 101

〈표 3-20〉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후 마을에 나타날 영향 인식 102

〈표 3-21〉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103

〈표 3-22〉 개인적 의견 제시에 대한 직책 경험 여부 비교 104

〈표 3-23〉 1박2일 체험프로그램 106

〈표 3-24〉 당일 체험프로그램 106

〈표 3-25〉 사계절 체험프로그램 107

〈표 4-1〉 마을 인구 현황(2006년) 116

〈표 4-2〉 주민의 마을 거주 연수(2006년) 117

〈표 4-3〉 마을 내 농가·비농가 현황(2006년) 117

〈표 4-4〉 진목마을의 총 농지면적(2006년) 118

〈표 4-5〉 재배 농산물의 판매 방법 118

〈표 4-6〉 주민의 연간 소득(2006년) 118

〈표 4-7〉 마을 조직에서 직책 경험 여부 120

〈표 4-8〉 마을 홈페이지 메뉴 구성 121

〈표 4-9〉 소설가 이청준 약력 123

〈표 4-10〉 주민의 인구통계적 특성 130

〈표 4-11〉 주민이 생각하는 마을의 대표 이미지(어메니티 자원) 131

〈표 4-12〉 주민이 생각하는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의 목표 132

〈표 4-13〉 주민참여 태도와 사업내용의 결정 방식 133

〈표 4-14〉 사업 진행에 대한 주민인식 시점과 선정시 주민 입장 133

〈표 4-15〉 사업 관련 마을회의 참석 여부 및 계획단계 주민참여 활동 · 134

〈표 4-16〉 사업 진행단계 주민 역할 및 사업시작에 대한 주민의견 135

〈표 4-17〉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운영단계 주민참여 활동 136

〈표 4-18〉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참여 이유 137

〈표 4-19〉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후 마을에 나타날 영향 인식 138

〈표 4-20〉 녹색농촌체험마을사업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138

〈표 4-21〉 마을 고유 축제 현황 142

〈표 4-22〉 장흥 못생긴 호박축제 개요 145

〈표 4-23〉 방문객의 인구통계적 특성 147

〈표 4-24〉 표본의 관광행태적 특성 149

〈표 4-25〉 소비항목별 지출액(1인 기준) 151

〈표 4-26〉 추구편익항목의 평균값 순위 152

〈표 4-27〉 마을축제의 필요성과 도·농 교류 증진에 기여 154

〈표 4-28〉 전반적 만족도와 재방문 및 추천의도 155

〈표 4-29〉 당일 체험프로그램 157

〈표 4-30〉 1박2일 체험프로그램 158

〈표 4-31〉 사계절 체험프로그램 158

〈표 5-1〉 마을별 사업의 추진주체와 의사결정 167

〈표 5-2〉 사업의 목표와 주민참여 태도 168

〈표 5-3〉 사업단계별 주민참여 활동 170

〈표 5-4〉 마을에 나타날 영향 및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172

〈표 5-5〉 농촌관광 방문객수 및 매출액 규모 176

〈그림 1-1〉 연구 진행 과정 21

〈그림 1-2〉 연구 지역 22

〈그림 2-1〉 사회환경 및 관광환경 변화에 따른 대안관광의 등장 25

〈그림 2-2〉 농촌공간에 대한 사회적 수요의 변화와 농업활동의 분화 27

〈그림 2-3〉 농촌관광에 의한 농촌과 도시의 새로운 관계 28

〈그림 2-4〉 관광산업으로서 그린투어리즘의 위치와 영역 31

〈그림 2-5〉 농촌관광시장의 발전단계 37

〈그림 2-6〉 농촌관광마을의 유형 39

〈그림 2-7〉 농촌관광마을의 유형 40

〈그림 2-8〉 농촌관광마을의 관련주체 45

〈그림 2-9〉 광주·전남 농촌관광마을 분포 현황 62

〈그림 2-10〉 녹색농촌체험마을 전남 분포 현황 63

〈그림 2-11〉 농촌전통테마마을 전남 분포 현황 65

〈그림 2-12〉 어촌체험마을 전남 분포 현황 67

〈그림 2-13〉 산촌생태마을 전남 분포 현황 69

〈그림 2-14〉 아름마을 광주·전남 분포 현황 71

〈그림 2-15〉 문화역사마을 전남 분포 현황 72

〈그림 3-1〉 신촌마을 위치 77

〈그림 3-2〉 신촌마을 전경 78

〈그림 3-3〉 마을에 새로 지어진 주택 82

〈그림 3-4〉 포장된 마을 진입로 83

〈그림 3-5〉 신촌마을 진입도로의 안내판 현황 84

〈그림 3-6〉 마을 홈페이지(http://www.farmtour.co.kr) 87

〈그림 3-7〉 마을의 자원 I 88

〈그림 3-8〉 마을의 자원 II 90

〈그림 3-9〉 마을의 자원 III 91

〈그림 3-10〉 신촌마을회관에서 필자의 주민교육 모습 103

〈그림 3-11〉 형제의병장사당 탐방 108

〈그림 3-12〉 배 수확체험 및 배즙 만들기 체험 108

〈그림 4-1〉 진목마을 위치 114

〈그림 4-2〉 진목마을 전경 114

〈그림 4-3〉 갯나들·천두리 전경 115

〈그림 4-4〉 포장된 마을 진입로와 마을을 운행하는 군내버스 119

〈그림 4-5〉 진목마을 도로안내판 120

〈그림 4-6〉 마을 홈페이지 (http://www.jinmok.com) 122

〈그림 4-7〉 마을의 자원 I 124

〈그림 4-8〉 마을의 자원 II 126

〈그림 4-9〉 마을의 자원 III 127

〈그림 4-10〉 주행사장 모습과 호박 등 농산물 판매 151

〈그림 4-11〉 호박마차타기 · 공지산 산책로 너와집 쉼터 159

초록보기 더보기

선진국에서 농촌관광은 오랫동안 농촌의 사회경제적 개발과 재생의 효과적인 촉매제로 여겨져 왔다. 보다 엄밀히 말하자면, 전통적인 농업이 쇠퇴한 외곽 농촌지역에서 농촌관광은 소득과 고용을 창출하는 효율적인 방안으로 다양하게 추진되어 왔다. 우리나라도 2000년 이후 다양한 주체들이 그린투어리즘에 기초한 농촌관광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은 과거의 농가 개별 보조사업과 달리 마을 공동사업에만 지원하고, 나아가 주민 스스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도록 하는 상향식 사업들이다.

본 연구는 '농촌 활성화를 위한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에 있어 주민참여의 특징과 그로 인한 마을만들기의 효과는 어떠한가'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농림부의 녹색농촌체험마을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농촌관광마을 만들기가 진행된 광양시 봉강면 '신촌마을'과 장흥군 회진면 '진목마을' 주민의 주민참여의 경험적 분석을 통하여 마을만들기의 효과에 대하여 논의하고 주민참여를 통한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의 이상적인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농촌관광마을에 관한 이론적 배경, 광양시 봉강면 신촌마을의 사례연구, 장흥군 회진면 진목마을의 사례연구, 그리고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의 특징과 성과의 마을간 비교분석 등 크게 네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발표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사례연구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사례연구는 문헌연구와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아울러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연구자료는 사업계획서, 마을 회의자료, 사업일지 및 신문기사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논의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 마을의 주민참여의 특징을 비교·분석한 결과, 주민참여의 다양한 스펙트럼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녹색농촌체험마을 사업의 목표에 있어 신촌마을 주민은 '도로나 주택, 상하수도 등 마을의 기반시설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생각했고, 진목마을 주민은 '농산물 판로 개척 및 신규 소득작목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사업참여 이유에 있어서 신촌마을 주민은 '미래 효과를 위해'를 가장 높은 이유로 생각한 반면, 진목마을 주민은 '소득증대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2) 체험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한 결과, 두 마을 모두 체험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할 적합한 인력이 없는 점도 있지만, 그 자체로는 소득이 크게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다하더라도 농촌관광마을에서 체험프로그램이 빠진다면, 소득과 연계시킬 수 있는 요소가 없기 때문에 음식판매, 민박, 특산품 판매 등과 연계하여 농촌관광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선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었다. 무엇보다도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3) 경제적 변화 측면을 비교·분석한 결과, 두 마을은 각각 장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신촌마을은 하계에 많은 피서객이 방문함으로써 마을소득을 올리고 있었으며, 진목마을은 쇼핑몰을 통한 호박 판매와 '못생긴호박축제'를 통한 음식, 특산물 판매가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또한 사업을 통해 신촌마을은 마을창고를 리모델링해 마을 어메니티를 한층 부각시키고 있었으며, 황토찜질방 운영을 통해 운영비의 일부를 충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진목마을은 다목적체험관 등 시설물에 의한 경제적 효과는 전혀 발생하지 않고 있었다. 마을별로 특산품 판매를 보면, 신촌마을과 진목마을 모두 배, 호박 등 마을특산품의 판매가 체험마을로 선정되기 전보다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4) 사회적 변화 측면을 비교·분석한 결과, 두 마을 모두 마을리더와 주민들 간에 크고 작은 마찰과 분쟁이 있어 왔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두 마을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신촌마을은 체험마을추진위원장과 마을 이장을 겸임하는 마을리더가 뛰어난 리더쉽으로 마을을 이끈 결과, 2007년에 행정자치부의 정보화시범마을에 선정되어 마을에 3억원을 유치하는 등 역할을 하고 있는 반면, 진목마을은 사업출범당시 이장이 마을사무장으로 직을 바꿔 사업을 추진하다가 추진위원간 갈등이 생겨 완전히 사업에서 손을 떼고 평범한 마을 주민으로 돌아갔다. 새로이 체험마을 사무장이 들어왔으나, 현재까지도 불협화음은 지속되고 있으며, 못생긴호박축제도 폐지하자는 의견이 비등하는 등 두 마을은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5) 두 마을의 성과와 문제점을 비교·분석한 결과, 두 마을 모두 기본적으로 다른 마을에 비해 여러 가지 편의시설이 신축 또는 리모델링됨에 따라 정주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각 마을의 특산품인 배와 호박이 마을별로 브랜드를 가지고 판매됨으로써 사업 전보다 훨씬 체계적인 판매와 유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신촌마을은 행자부의 정보화시범마을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룸으로써 관련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한층 더 마을을 부각시킬 수 있게 된 점은 특징이다. 반면 문제점으로는 두 마을 모두 마을리더와 주민들간에 완벽한 협조체계가 미흡하다는 점이다. 또한 두 마을 모두 주민들의 실질적인 소득과 연계되는 사업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6) 진목마을의 못생긴호박축제에 방문한 관광객의 관광행태를 분석한 결과, 유아-초등 6학년의 자녀를 둔 30대 이상의 대졸 이상 고학력자층이 축제에 방문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은 1인당 10,989원을 지출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농촌관광 추구편익을 보면, 마을의 특산물과 음식을 즐기고 풍요로운 자연환경과 경관을 만나며 가족 및 친지들과 가족애를 돈독히 하는 것을 농촌관광의 추구편익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마을축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필요치 않다는 응답보다 월등히 앞선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을축제가 도·농 교류를 증진시킨다는 의견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높게 나타남으로서 마을축제가 도·농 교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농촌관광마을 조성에 있어 목표설정은 가장 중요하며 분명해야 하고 해당 마을주민이 동의하는 것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농촌관광은 마을주민의 참여 없이는 지속될 수 없으며 나아가 경제효과 없이는 마을주민의 참여는 더욱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 해당 마을의 농촌관광의 목표를 설정하여야 한다. 농촌관광은 마을주민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마을계획을 수립하고 마을주민 주도를 위한 사람만들기가 향후 농촌관광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8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2, “마을단위 녹색관광개발의 추진과 과제”, 관광농업연구, 제9권 1호, 한국농촌관광학회, pp. 118~137. 미소장
2 2003, “농촌관광, 농촌도 상품이다”, 농업기반공사, 2003 농촌관광 마을 지도자 워크숍 자료, pp. 3~14. 미소장
3 2005, 마을 만들기의 발상, 소화.(田村明, 1987, まちづくりの發想, Iwanami Shoten.) 미소장
4 장소자산에 기반한 농촌체험관광마을의 유형화 : 경기도 4개 마을을 사례로 소장
5 2002, 사회조사방법론, 도서출판 그린(Babbie, Earl., 2001,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 9th ed, Thomson Learning.) 미소장
6 2007, “우리 농촌 현실과 마을만들기”, 녹색평론 제95호, 녹색평론사. 미소장
7 2003, 지역발전론, 한울. 미소장
8 2007, 한ㆍ미FTA 농업부문 국내보완대책 토론회 결과 자료, 농촌경제연구원. 미소장
9 2006, 관광지리자원론, 백산출판사. 미소장
10 The Evolution of " Matzizukuri " and the Public Participation in the Urbanization of Japanese Sociery 소장
11 2002, 고장의 문화판촉 : 세계화시대에 지방이 살 길, 학고재. 미소장
12 농촌마을개발사업의 전개와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 산청 남사 전통테마마을을 대상으로 소장
13 농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 소장
14 아마추어관광 활성화를 통한 영역적 개발모델에 관한 연구 :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의 정책적 방향에 대한 탐색 소장
15 1993, 마을축제, 도서출판 민학. 미소장
16 2003, 그린투어리즘 이론과 실제, 백산출판사. 미소장
17 1996, 일본의 농촌사회, 서울대학교출판부. 미소장
18 그린 투어리즘의 생산과 소비 : 日本 群馬懸 片品村의 ‘總合交流터미널’事例를 중심으로 소장
19 2001, “미야모토의 주민자치와 내발적 발전”,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 미소장
20 그린투어리즘의 운영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1 2006,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농촌관광마을 방문객 선호 및 시장세분화,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미소장
22 2003, “장소 판촉을 통한 농촌 개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농촌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소장
24 2007, “농촌관광 : 산업화를 위한 과제”, 농업전망 200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소장
25 농촌마을 가꾸기 경진대회 참여 마을의 농촌관광 성과분석 : 도시민 유치실적과 소득 및 고유 축제를 중심으로 소장
26 Articles : Effect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a Village Development Project Using It`s Traditional Specific Items in Hwaseong City 소장
27 2002, 농어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그린투어리즘 육성방안, 충남발전연구원. 미소장
28 Evaluation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s and Suggestions for Participatory Village Development Model 네이버 미소장
29 2005, “농촌관광의 현실과 비전”, 2005 농업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소장
30 Making a Livable Rural Areas 네이버 미소장
31 2007, “주민참여를 통한 농촌관광마을만들기: 전남 장흥군 진목마을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2007 연례학술대회 발표자료, pp. 180~182. 미소장
32 Rural Tourism Village Building with Residents` Participation: In Case of Jinmok Village in Jangheung County 소장
33 그린투어리즘을 위한 농산어촌 체험마을 현황 분석 : 농촌관광 인터넷 포털사이트 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34 1997, 이런 마을에서 살고 싶다, 황금가지. 미소장
35 서유럽 농촌관광의 발전과 시사점 소장
36 2002, 어메니티와 지역개발, 새물결출판사. 미소장
37 A Critical Study of Previous Literatures on Rural Tourism 네이버 미소장
38 2003, 무주군 녹색관광계획: 부남면 대소마을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9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Tourism Policy 네이버 미소장
40 충청남도 농촌체험관광 실태와 활성화 방안 소장
41 Analysis on the Factors Motivating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Sustainable Rural Village Program 소장
42 광주·전남지역 관광산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소장
43 지역발전을 위한 생태·녹색관광 전략 : 전남 함평군을 사례로 소장
44 A Study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Decisive Factors of the Local Festival: In Case of Simchung Festival in Goksung County 소장
45 그린투어리즘과 관광마을 만들기 : 이론과 실제 소장
46 2001, 생태관광, 백산출판사. 미소장
47 2004, 신 관광과 지역사회, 기문사. 미소장
48 농촌관광 시장규모 추정 소장
49 장흥군, 2006, 생태체험마을 기본계획,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미소장
50 농촌지역활성화를 위한 그린투어리즘 정책의 발전방향 소장
51 2005, 농촌의 내발적 지역활성화에 관한 한ㆍ일 비교 연구 제1차 워크숍 자료, 농촌경제연구원. 미소장
52 농촌개발을 위한 그린투어리즘과 지방정부의 역할 소장
53 농촌관광사업 지역의 사회자본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소장
54 An Analysis of Urban Resident`s Preference on Rural Tourism 네이버 미소장
55 농촌관광에 대한 도시민 선호분석 소장
56 농촌관광정책에 의한 관광마을 조성사업에 참여하는 주민의 특성 소장
57 Exploring Methodologies for Facilit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at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소장
58 2006, 농촌지역발전과 학습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9 지속가능한 어촌관광에 관한 고찰 소장
60 충남발전연구원 역, 2006, 도시와 농촌이 공생하는 마을만들기, 한울.(山本雅之, 2005, 農ある暮らしで地域再生 : アグリ·ルネッサンス, Gakugei... 미소장
61 충북대학교, 2006, 농촌 어메니티 자원을 활용한 사례별 농촌마을 모형 설계, 농림부. 미소장
62 농촌마을의 발전과 새로운 리더십 소장
63 Identification of Influential Attributes and Constraints Affecting Green Tourism Participation Intention 소장
64 2003, Implication of Potential green tourism development, Annals of Tourism Research, 30(2), pp. 323~341. 미소장
65 2010 대한민국 트렌드 네이버 미소장
66 2005, “큐슈지역의 농촌관광의 주된 사례의 특징과 역할: 큐슈의 투어리즘 추진과 그린라이프 형성... 미소장
67 농촌의 내발적 지역활성화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제1차 워크숍 자료 네이버 미소장
68 1999, 『持續可能な觀光と地域發展へのアプローチ』泉文堂. 미소장
69 1993, Basic steps toward encouraging local participation in nature tourism projects. In K. Lindberg & D.E Hawkius(eds.),... 미소장
70 1999, Ecotourism : an Introduction, Routledge. 미소장
71 1993, Towards Planning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A Guide for the Ultimate Environmental Threshold(UET) Method, Avebury. 미소장
72 Sustainable Tourism: A Geographical Perspective. New York: Longman. 미소장
73 2005, New directions in rural tourism, Ashgate. 미소장
74 2001, Rural Tourism and Recreation: Principles to Practice, New York: CABI Publishing. 미소장
75 2002, Rural tourism and the challenge of tourism diversification: The case of Cyprus. Tourism Management, 23(3), pp. 233~244. 미소장
76 Critical Issues in Tourism: A Geographical Perspective by Gareth Shaw; 네이버 미소장
77 1998, Tourism Geography, Rouledge, London. 미소장
78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미소장
79 지역아카데미: http://terrami.cdisk.co.kr 미소장
80 신촌마을 홈페이지: http://www.farmtour.co.kr 미소장
81 진목마을 홈페이지: http://www.jinmok.com 미소장
82 농림부, 2006. 9., “한나라당 김명주 의원 요구자료 제출” 미소장
83 2004, “우리나라 농촌관광, 어떻게 할 것인가?”, Agroinfo Issue No. 10: http://www/agroinfo.net에서 발췌. 미소장
84 2002, “농촌관광과 어메니티 시장의 발전”, Agroinfo Issue No. 1: http://www/agroinfo.net에서 발췌.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