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5

ABSTRACT 7

Ⅰ. 서론 9

1. 연구의 목적 및 범위 9

2. 옹기의 개념과 역사 11

3. 문헌 및 명문자료 13

가.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13

나. 고려시대 16

다. 조선시대 20

Ⅱ. 전통옹기의 제작과 표현 45

1. 제작기법 45

가. 옹기의 성형기법 45

나. 옹기의 성형방법 46

2. 형태표현 63

가. 평저 63

나. 전88) 68

다. 손잡이 92

라. 주구 꼭지 107

3. 문양표현 112

가. 도구문양 112

나. 바람 문양 124

다. 선띠문양 125

라. 덧띠(줄띠)문양 126

마. 찍기 문양 132

바. 그리는 문양 137

사. 옹기에 나타난 문양 149

아/다. 수화가 아닌 그 외 장식 199

Ⅲ. 전통옹기의 표현적 특징과 미감 209

1. 옹기의 종류와 형태 209

가. 옹기의 종류 209

나. 형태적 특징 222

2. 점토와 재료의 표현기법 245

가. 다양한 받침도구와 표현기법 245

3. 유약의 표현기법 254

가. 자연유 254

나. 유약 264

4. 장독대를 통해 본 심미안 288

가. 옹기의 심미안 288

Ⅳ. 전통옹기가 현대도예에 미친 영향 315

1. 사회문화적 배경과 현대옹기의 수요공급 확대 315

가. 음식문화가 옹기에 미친 영향 315

나. 19세기 사회 문화적 배경과 옹기의 연관성 320

다. 천주교 유입이 옹기 산업에 미친 영향 328

라. 외국인이 바라본 옹기 337

마. 한국 도예 교육 및 변천에 관하여 347

2. 건축도자의 실용성과 아름다움 370

가. 연가와 조형물 370

3. 옹기점과 현대 옹기장 384

가. 사진으로 보는 1900년대 옹기점 384

나. 현대 옹기장인 387

4. 전통옹기의 표현에 영향을 받은 현대작가 408

가. 현대 도예가 408

Ⅴ. 결론 438

참고문헌 444

표목차

[표] 문헌에 제시된 용기 관련 용어 43

[표1] 각 지역별 점토 성분 비교 252

[표2] 흡수율 및 열간 하중, 강도 측정 252

그림목차

[그림1] (제목없음) 49

[그림2] (제목없음) 49

[그림3] (제목없음) 49

[그림1] 물레 도면 50

[그림1-1] 위에서본도면 50

[그림2] 황해도 50

[그림3] 김준근 작 51

[그림1] 원삼국시대 53

[그림2] 물레 성형도 53

[그림3] 김준근 작 53

[그림4] 소화6년(1931년) 이전의 사기 물레칸 53

[그림5] 소화12년(1937) 이전의 황해도 봉산군 산수면 옹기 물레칸 단면도 53

[그림1] 원삼국시대 55

[그림2] 원삼국시대 55

[그림3] 원삼국시대 55

[그림4] (제목없음) 55

[그림1] (제목없음) 59

[그림1] (제목없음) 62

[그림1] 경상남도 진주 사천리 87

[그림2] 함안 87

[그림1] 파수부편, 통일신라시대, 부산 금정구 두구동 임석마을 출토 93

[그림2] 깊은 발, 통일신라시대, 울산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출토104) 93

[그림1] 손잡이 편, 10세기후반(통일신라 말기), 위6cm,아래6.1cm,폭2cm,두께0.5,cm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 출토 99

[그림4] 8~9세기, 높이 7.8cm,두께 0.6cm, 강화 길상면 선두리 출토 99

[그림1] 위7.5cm, 아래9cm, 폭3.6cm, 두께0.6cm 100

[그림2] 위7.8cm, 아래7.8,cm 폭2.9cm, 두께0.6cm 100

[그림3] 위4.5cm, 아래4.5cm, 폭1.2cm, 두께0.9cm 100

[그림4] 위7.8cm, 아래9cm, 폭1.2cm, 두께1.2cm 100

[그림1] 도기 파수편, 높이 4.5cm, 두께 0.45~2cm 101

[그림2] 대상 파수편 101

[그림1] 백제 1세기 중반~3세기, 전남 영광군 대마면 원흥리 군농마을 출토126) 113

[그림2] (제목없음) 113

[그림3] 김준근 작, 19세기 113

[그림1] 김준근 작 131

[그림2] 작자 미상 131

[그림3] (제목없음) 131

[그림1] (제목없음) 189

[그림2] (제목없음) 189

[그림3] (제목없음) 189

[그림4] (제목없음) 189

[그림5] (제목없음) 190

[그림6] (제목없음) 190

[그림7] (제목없음) 191

[그림1] (제목없음) 194

[그림1] (제목없음) 222

[그림2] (제목없음) 222

[그림3] (제목없음) 223

[그림4] (제목없음) 223

[그림1] (제목없음) 225

[그림2] 김준근 작 225

[그림3] 김준근 작 225

[그림4] 김준근 작 226

[그림6] 김준근 작 226

[그림7] 김홍도 작 227

[그림8] 김득신작 227

[그림9] 독일 함부르크 인류박물관(대장장이) 227

[그림10] 가마졈 일영은솟졈 227

[그림11] 듸경쟝이 227

[그림12] 위거졈 227

[그림13] 사긔도부쟝사 228

[그림14] 옹긔도부쟝사 228

[그림15] (제목없음) 228

[그림16] (제목없음) 228

[그림17] (제목없음) 228

[그림18] (제목없음) 228

[그림19] (제목없음) 229

[그림20] (제목없음) 229

[그림21] (제목없음) 229

[그림22] (제목없음) 229

[그림23] 김홍도 작 229

[그림24] 김홍도작 229

[그림25] 작자미상 229

[그림26] 성시도 작 (정조) 229

[그림27] (제목없음) 229

[그림28] (제목없음) 229

[그림29] (제목없음) 230

[그림30] (제목없음) 232

[그림31] 부옹 풍속도 232

[그림32] (제목없음) 232

[그림33] (제목없음) 232

[그림33-1] (제목없음) 232

[그림34] (제목없음) 232

[그림34-1] (제목없음) 232

[그림35] 김홍도 작 233

[그림36] 김홍도 작 233

[그림37] 김홍도 작 233

[그림38] 김홍도작 234

[그림39] 신윤복작 234

[그림40] 신윤복작 234

[그림41]〈기산풍속도첩〉중 235

[그림42] 김홍도 작 236

[그림43] 유숙 작, 대쾌도(1849년, 서울대박물관 소장) 236

[그림44] 김홍도 작 236

[그림45] 김홍도 작 236

[그림46] 김득신 작 236

[그림47] (제목없음) 238

[그림48] (제목없음) 238

[그림49] (제목없음) 238

[그림50] (제목없음) 239

[그림51] (제목없음) 239

[그림52] 김득신 작 239

[그림53] (제목없음) 239

[그림54] (제목없음) 239

[그림1] (제목없음) 253

[그림1] 양화당(養和堂). 왕비의 생활공간. 305

[그림2] 통명전(通明殿) 터의 좌측. 왕비의 침전이자 시어소. 305

[그림3] 보경당(寶慶堂). 후궁의 처소. 305

[그림4] 명종조궁중숭불도 (明宗朝宮중崇佛圖) : 16세기 중엽에 궁중에서 행해지는 불교행사를 그린 그림 306

[그림5] 돌잔치(국립박물관) 306

[그림6] 서당(중앙박물관소장) 306

[그림7] 돌잔치(고려대 박물관 소장) 306

[그림8] (제목없음) 307

[그림9] (제목없음) 307

[그림10] (제목없음) 307

[그림11] (제목없음) 307

[그림12] (제목없음) 307

[그림13] (제목없음) 307

[그림14] (제목없음) 307

[그림15] 이북(화가) 장독대 308

[그림16] 이북(화가) 장독대 308

[그림1] (제목없음) 337

[그림2] (제목없음) 337

[그림3] (제목없음) 337

[그림4] (제목없음) 337

[그림5] (제목없음) 337

[그림6] (제목없음) 337

[그림7] (제목없음) 339

[그림8] (제목없음) 339

[그림9] (제목없음) 339

[그림1] 김준근 작 385

사진목차

[사진1] ‘관옹’ 명 15

[사진2] ‘경자’ 명 15

[사진3] ‘경자’ 명 15

[사진1]‘가정임자(嘉靖壬子)1552년’ 묘지명 24

[사진2] 백자묘지명과 함께 출토.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24

[사진1-1] 토기 바닥의 나뭇잎 흔적 47

[사진1-2] 진주 대평 어은2지구 출토 47

[사진1-3] 진주 대평 옥방 1지구 출토 47

[사진1-4] 부산 동삼동 패총 출토 47

[사진1] 경주 손곡동 A지구 공방지 회전대 축혈(軸穴) 48

[사진2] 강진 월하리 옹기 공방지 물레 회전대(回轉臺) 48

[사진3] 안시성 200년 물레 가마터 48

[사진1] (제목없음) 49

[사진2] (제목없음) 49

[사진2-1] (제목없음) 49

[사진2-2] (제목없음) 49

[사진2-3] (제목없음) 49

[사진2-4] (제목없음) 49

[사진1] 원삼국시대 51

[사진2] 원삼국시대 51

[사진3] 서울 영등포 51

[사진4] 고창 출토 51

[사진5] 강원도 51

[사진6] 고창 51

[사진7] 경상도 51

[사진8] 제주도 51

[사진1] 원삼국시대 53

[사진2] 원삼국시대 53

[사진3] 원삼국시대 53

[사진1] 원삼국시대, 3세기 후반, 전남 해남군 송지면 군곡리 출토74) 55

[사진2] 춘천박물관 소장, 영동지역의 원삼국시대(선사)높이 9.4 55

[사진3] (제목없음) 55

[사진4] 현대 도예가들이 사용하는 도구 55

[사진1] 경기도 강화 선두리 출토 57

[사진2] 대구 계명대학교 출토 57

[사진3] 용도미상 도기편, 높이 10.6cm, 경기도 강화 선두리 출토78) 57

[사진4] (제목없음) 57

[사진5] (제목없음) 57

[사진6] (제목없음) 57

[사진7] (제목없음) 58

[사진8] 흙가치(타래미,떡국대) 58

[사진9] (제목없음) 59

[사진10]이강효 59

[사진11] (제목없음) 59

[사진12] 정학봉 장인, 경북 상주시 59

[사진13] (제목없음) 59

[사진14] 홍성일(쳇바퀴타렴) 59

[사진15] 체(걸름망) 59

[사진16] 제주함경 옹기점 59

[사진17] 오향종 59

[사진1] 고려 11세기, 강진 삼흥리 출토, 국립광주 박물관 소장 61

[사진2] 함안 도항리 5호묘 출토81) 61

[사진3] 경남 진주 안간 출토, 경남 문화재 연구원 소장 61

[사진4] (제목없음) 62

[사진5] (제목없음) 62

[사진6] (제목없음) 62

[사진1] (제목없음) 63

[사진2] (제목없음) 63

[사진3] (제목없음) 63

[사진4] (제목없음) 63

[사진5] 동해 송정동 6호 주거지 출토 63

[사진6] 하남 아차산 출토83) 63

[사진7] 옹기 밑바닥의 양각문양 63

[사진8] 영암구림리,10세기전반 64

[사진9] 영암 구림리 64

[사진10] 이천 사기점 64

[사진11] 순화3년(992) 64

[사진12] 순화4년(993) 64

[사진13] 12세기 고려 64

[사진13-1] (제목없음) 64

[사진14] 고려 11세기, 강진출토 65

[사진15] 10세기, 미륵사 출토 65

[사진16] 대중 12년, 미륵사 65

[사진17] 강진출토 65

[사진18] 고려 11세기, 강진출토 65

[사진1] 김해 화정 1지구 자호묘 출토 68

[사진2] 대전 괴정동 출토 높이 15.1cm 68

[사진3] 부산 동삼동패총 출토 68

[사진4] 부산 동삼동패총 출토 68

[사진1] 네 귀 달린 나팔입항아리, 고구려, 몽촌토성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69

[사진2] 긴목 항아리, 백제, 화성 마하리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69

[사진3] 긴 항아리, 고구려, 구의동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69

[사진 4] 연통, 고구려, 아차산 출토,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 69

[사진1] 질그릇 큰합, 고려 1097~1105년,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70

[사진2] 질그릇 돋은선무늬 큰항아리, 고려 12세기,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70

[사진3] 질그릇 ‘도안상구(道安上具)’ 글씨단지, 고려12세기,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70

[사진4] 질그릇 납작단지, 고려 13세기,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70

[사진1] (제목없음) 75

[사진2] (제목없음) 75

[사진3] (제목없음) 75

[사진1] 질그릇 귀단지, 조선, 동산도기 박물관 소장 75

[사진2] 질그릇 손잡이단지, 조선 18세기, 동산도기 박물관 소장 75

[사진3] 질그릇 단지, 조선 18세기, 동산도기 박물관 소장 75

[사진4] 질그릇 단지, 조선, 동산도기 박물관 소장 75

[사진1] 전라남도 강진 월하리 87

[사진2] 전라남도 강진 월하리 87

[사진3] 함안 87

[사진4] 함안 87

[사진5] 전라남도 강진 월하리 87

[사진6] (제목없음) 87

[사진1] (제목없음) 90

[사진2] (제목없음) 90

[사진3] (제목없음) 90

[사진4] 전잡기 90

[사진5] 전잡기 90

[사진6] 전잡기 90

[사진7] 젓조쟁이, 왼편 구경21.3cm, 오른편 구경16cm 90

[사진8] 소래기, 구경90cm, 저경42cm, 높이33.7cm 90

[사진9] 장영필 작 90

[사진10] 족전 91

[사진11] 통전 91

[사진12] 곽경태 작, 통전 91

[사진13] 넙전 91

[사진14] 장영필 작 91

[사진15] (제목없음) 91

[사진16] 선전 91

[사진17] 장영필 작 91

[사진18] (제목없음) 91

[사진19] 무전 91

[사진20] 장영필 작 91

[사진21] 안시성 작 91

[사진1] 구멍무늬 빗살무늬토기, 인천 용유도출토, 구경31cm 93

[사진2] 귀때토기, 화순 대곡리, 높이 15.3cm 93

[사진3] 경상남도 함안 출토 93

[사진4] 파수부 평저호편, 통일신라시대, 울산 울주군 두둥면 천전리 출토 93

[사진1] 미송리형 토기, 청동기시대 BC5~6세기, 평북 의주군 미송리 출토 96

[사진2] 네 귀 항아리, 고구려5세기, 높이 59cm, 서울 몽촌토성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96

[사진3] 직구옹, 고구려, 높이70.6cm, 시루봉 보루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96

[사진4] 연통, 고구려, 높이81cm, 아차산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96

[사진5] 네 귀 달린 동이, 고구려, 높이25cm, 서울 아차산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소장 96

[사진6] 대형동이, 고구려, 구경60.7cm, 시루봉 보루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96

[사진7] 철솥과 시루, 고구려, 철솥 높이30cm, 서울 구의동 출토, 서울대학교박물관소장 96

[사진8] 백제7세기, 부여 관북리 출토,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96

[사진9] 백제7세기, 부여 관북리 출토,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96

[사진10] 변기, 부여 군수리 출토 96

[사진11] 자배기, 밑변21cm, 높이18cm, 구경34cm, 백제6세기중엽, 부여 정암리 출토 96

[사진12] 부여 구아리 출토 96

[사진13] 귀잔, 고구려, 용마산 출토 97

[사진14] 전 달린 도기, 백제, 부여 관북리 출토 97

[사진15] 솥, 조선 초기, 함안 출토 97

[사진1] (제목없음) 99

[사진2] 영암 구림리 출토 99

[사진3] 영암 구림리 출토 99

[사진1] (제목없음) 101

[사진2] (제목없음) 101

[사진3] (제목없음) 101

[사진3] 의 바닥 101

[사진4] (제목없음) 101

[사진1] (제목없음) 101

[사진2] (제목없음) 101

[사진3] (제목없음) 101

[사진4] (제목없음) 101

[사진1] 19세기(잠정적), 포곡면 신원 3리 범박골 출토122), 두께 1.3cm, 위 6.6cm, 아래 9cm, 폭 5.5cm 104

[사진1] (제목없음) 104

[사진2] (제목없음) 104

[사진3] (제목없음) 104

[사진4] 넓적꼭지, 통꼭지 104

[사진5] 멍청이꼭지 104

[사진6] (제목없음) 104

[사진7] (제목없음) 105

[사진8] (제목없음) 105

[사진9] 넓적꼭지 105

[사진10] (제목없음) 105

[사진11] (제목없음) 105

[사진12] (제목없음) 105

[사진13]조댕이꼭지 [사진14] 장영필작 105

[사진15] (제목없음) 105

[사진16] (제목없음) 105

[사진17] 분청사기, 조선15세기후반∼16세기전반, 높이 28.1cm, 호림미술관 소장 105

[사진18] 백자호, 54.38×34(지름)cm 105

[사진1] (제목없음) 106

[사진2] (제목없음) 106

[사진3] (제목없음) 106

[사진4] (제목없음) 106

[사진5] (제목없음) 106

[사진6] (제목없음) 106

[사진1] (제목없음) 107

[사진2] (제목없음) 107

[사진3] (제목없음) 107

[사진4] (제목없음) 107

[사진5] (제목없음) 107

[사진1,2] 함안 출토 107

[사진2_1] (제목없음) 107

[사진3] 함안출토(분청사기) 107

[사진4] 곡성 당동리 사지 출토 107

[사진5] (제목없음) 107

[사진6] 안시성 작 107

[사진7] (제목없음) 107

[사진8] (제목없음) 107

[사진1] 경주박물관 소장 108

[사진2] 경주박물관 소장 108

[사진3]안압지출토 108

[사진4] (제목없음) 109

[사진5] (제목없음) 109

[사진6] (제목없음) 109

[사진7] (제목없음) 109

[사진8] (제목없음) 109

[사진9] (제목없음) 109

[사진10] 김석환작 109

[사진11] 김석환작 109

[사진12] (제목없음) 109

[사진13] (제목없음) 109

[사진14] (제목없음) 109

[사진15] 시루, 조선후기, 가로 45cm, 세로 45cm, 높이 41cm 110

[사진16] 배꼽 110

[사진17] 제비턱 110

[사진18] 제비턱 110

[사진1] 3∼4세기, 순천 대곡리 도롱마을 출토 112

[사진2] 3세기 후반, 전남 해남 군곡리 패총 출토 112

[사진3] 4세기 후반, 경남 함안군 가야읍 묘사리 출토 113

[사진4] (제목없음) 113

[사진1] 충청남도 아산 초사동 출토 114

[사진2] 연봉뚜껑의 안면 바닥 115

[사진3] 손바닥문양, 경기도 이포 오부자 항아리 밑판 115

[사진4] 이인진 작 115

[사진1] (제목없음) 116

[사진2] (제목없음) 116

[사진3] (제목없음) 116

[사진4] (제목없음) 116

[사진5] 토관, 박순관 소장 116

[사진1] 밑지름10cm, 아산 초사동 출토 118

[사진2] 밑지름14cm, 아산 초사동 출토 118

[사진3] 강화 선두리 출토 118

[사진4] 강화 선두리 출토 118

[사진5] 강화 선두리 출토 118

[사진6] 강화 선두리 출토 118

[사진7] 새발자국 토기 119

[사진8]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119

[사진9] 평행타날, 진천 산수리 출토 119

[사진10] 조속문타날, 영암 시종 만수리 출토 119

[사진11] 평행타날과 격자타날, 순천 대곡리 119

[사진12] 보령 교성리 출토 119

[사진13] 격자타날, 동래 복천동 출토 119

[사진14] 승석타날, 함안 도항리 출토127) 119

[사진15] 박순관 작 120

[사진16] 박순관 작 120

[사진17] 녹청자잡이부리 단지, 조선16세기, 22.3×11.3×15cm, 연세대학교박물관 소장 120

[사진18] 질그릇 옹배기, 고려14세기, 12.6×22×14.7cm,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120

[사진19] 빗금무늬, 고려,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120

[사진20] 백자 태항아리 외항, 조선15세기 121

[사진20-1] 백자 태항아리 수레문양, 1446년 121

[사진21] 분청자 인화문 태항(외항), 조선15세기, 국보 177호 121

[사진21-1] 분청사기 태항아리, 국보177호 121

[사진22] 점판암제 태지석(粘板岩製胎誌石), 1476년, 가로22cm ,세로28cm,두께5cm 121

[사진23] (제목없음) 122

[사진24] (제목없음) 122

[사진25] 2007 김해 분청자기 축제 시연 122

[사진1] 제주도예원 124

[사진2] 제주도 한경면 124

[사진3] 제주도 한경면 124

[사진4] (제목없음) 124

[사진5] (제목없음) 124

[사진6] (제목없음) 124

[사진7] (제목없음) 124

[사진8] (제목없음) 124

[사진9] 제주도 124

[사진1] (제목없음) 125

[사진2] (제목없음) 125

[사진3] (제목없음) 125

[사진4] (제목없음) 125

[사진5] 연통, 고구려,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125

[사진6] 근개띠 시연장면과 근개 125

[사진7] 매병모양 토기, 9~10세기, 지름 80.5cm, 높이 87.7cm(오른쪽), 안압지 출토 126

[사진8] 강화 선두리 출토 126

[사진1] 가는 흙가치를 검지와 중지 사이에 끼워 시계 반대방향으로 뒤로 당기듯이 줄띠를 긋는 모습이다. 126

[사진2] 그어진 줄띠를 다시 엄지와 중지로 매끈히 다듬기도 하며 물가죽을 집게손가락에 끼어 매끈하게 정면하기도 한다. 왼손은 엄지와 검지 사이의 손 등으로 안벽을 받쳐준다. 126

[사진3] 집게손가락 사이에 접은 물가죽을 끼고 단선을 긋기도 하고([사진9, 12]) 검지손가락의 끝으로 점을 찍듯 ([탁본2,사진23])누르기도 한다. 126

[사진4] 덧무늬토기, 신석기, 양양 오산리 출토, 높이 왼쪽26.1cm, 오른쪽27cm,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130) 127

[사진5] 덧무늬토기, 신석기, 양양 오산리 출토, 국립춘천 박물관 소장131) 127

[사진6] (제목없음) 127

[사진7] (제목없음) 127

[사진8] 병, 통일신라, 높이 15.6cm, 출토지 미상132) 127

[사진9] 영암 구림리 출토 128

[사진10] 13~14세기, 경기도 화성군 매곡리 출토133) 128

[사진11] 항아리, 신라 6세기, 높이25.5cm, 경주 월성로 출토 128

[사진12] 호남 문화재 연구소 소장 128

[사진13] 질그릇 대호, 조선15~16세기, 높이66cm, 연세대학교 소장134) 128

[사진15] (제목없음) 129

[사진16] (제목없음) 129

[사진17] (제목없음) 129

[사진18] (제목없음) 129

[사진19] (제목없음) 129

[사진20] (제목없음) 129

[사진21] 강화 선두리 출토 130

[사진22] (제목없음) 130

[사진23] 안동 출처 130

[사진24] 15~16세기, 김천 교동 출토 130

[사진25] (제목없음) 130

[사진26] 조선 19세기, 높이 33.5cm, 가천박물관 소장 130

[사진27] 조정현 작 131

[사진28] 조경석 작(전국장애인 도예공모 입선) 131

[사진29] 김상만 작(아름다운 우리도자기 대상) 131

[사진1] 국립박물관소장 132

[사진2] (제목없음) 132

[사진3] 질그릇 톱니무늬 병, 고려10세기, 7.5×3.4×4.5cm, 연세대학교박물관 소장 133

[사진3-1] (제목없음) 133

[사진4] 질그릇 톱니무늬 병, 고려10세기, 12×4.3×5cm, 연세대학교박물관 소장 133

[사진5] (제목없음) 133

[사진6] (제목없음) 133

[사진7] (제목없음) 133

[사진8] 오향종 작 133

[사진9] 장영필 작 133

[사진10] 안시성작 133

[사진1] (제목없음) 139

[사진2] (제목없음) 139

[사진3] 전남 강진 월하리 출토 139

[사진4] (제목없음) 139

[사진5] 오향종 작 139

[사진1] 심당길작, 높이18.0, 구경4.4, 동경(胴徑)10.2cm, 심수관 소장 140

[사진2] 접시, 야나기 무네요시 소장품, 북규수에서 출토 140

[사진3] (제목없음) 140

[자료1] 나에시로가와(苗代川), 지두문과권작은술병(指頭文過卷德利) 140

[사진4] 최홍선135)작 140

[사진5] 장영필 작 140

[사진1] (제목없음) 145

[사진2] (제목없음) 145

[사진3] (제목없음) 145

[사진4] (제목없음) 145

[사진5] (제목없음) 145

[사진6] (제목없음) 145

[사진7] (제목없음) 145

[사료1] (제목없음) 148

[사진1] (제목없음) 149

[사진2] (제목없음) 149

[사진3] (제목없음) 149

[사진4] (제목없음) 149

[사진5] (제목없음) 149

[사진6] (제목없음) 149

[사진7] (제목없음) 149

[사진8] (제목없음) 149

[사진9] (제목없음) 149

[사진10] (제목없음) 149

[사진11] (제목없음) 149

[사진12] (제목없음) 149

[사진1] (제목없음) 152

[사진2] (제목없음) 152

[사진3] (제목없음) 152

[사진4] (제목없음) 152

[사진5] 12×9×5cm 152

[사진6] (제목없음) 152

[사진1] (제목없음) 153

[사진2] (제목없음) 153

[사진3] (제목없음) 153

[사진1] (제목없음) 154

[사진2] (제목없음) 154

[사진3] (제목없음) 154

[사진1] (제목없음) 155

[사진2] (제목없음) 155

[사진3] (제목없음) 155

[사진4] (제목없음) 156

[사진5] (제목없음) 156

[사진6] (제목없음) 156

[사진7] (제목없음) 156

[사진8] (제목없음) 156

[사진9] (제목없음) 156

[사진10] (제목없음) 156

[사진1] (제목없음) 157

[사진2] (제목없음) 157

[사진3] (제목없음) 157

[사진4] (제목없음) 157

[사진5] (제목없음) 157

[사진6] (제목없음) 157

[사진7] 상, 하 157

[사진1] 미륵사 158

[사진2] 성주사 나말여초 158

[사진3] 선두리, 고려 158

[사진4] 미륵사 158

[사진5] 미륵사 158

[사진6] 실상사 158

[사진7] 웅천도요지 158

[사진8] 웅천도요지 158

[사진9] 번천 자배기 158

[사진10] 백제 5~6세기 159

[사진11] 조선시대 159

[사진12] 제주도 159

[사진13] (제목없음) 159

[사진14] (제목없음) 159

[사진15] (제목없음) 159

[사진16] (제목없음) 159

[사진17] (제목없음) 159

[사진18] (제목없음) 159

[사진19] (제목없음) 159

[사진20] (제목없음) 159

[사진21] (제목없음) 159

[사진22] (제목없음) 159

[사진23] (제목없음) 159

[사진1] (제목없음) 161

[사진2] (제목없음) 161

[사진3] (제목없음) 161

[사진4] (제목없음) 161

[사진5] (제목없음) 161

[사진6] (제목없음) 161

[사진7] (제목없음) 161

[사진8] (제목없음) 161

[사진9] (제목없음) 161

[사진10] (제목없음) 161

[사진11] (제목없음) 162

[사진12] (제목없음) 162

[사진13] 102×102×125 162

[사진14] 박순관 작 162

[사진15] 김석환 작 162

[사진16] 김진우 작 162

[사진1] (제목없음) 163

[사진2] (제목없음) 163

[사진3] (제목없음) 163

[사진1] (제목없음) 163

[사진2] (제목없음) 163

[사진3] (제목없음) 163

[사진4] (제목없음) 164

[사진5] (제목없음) 164

[사진6] (제목없음) 164

[사진1] (제목없음) 164

[사진2] (제목없음) 164

[사진3] (제목없음) 164

[사진4] (제목없음) 164

[사진1] (제목없음) 165

[사진2] (제목없음) 165

[사진1] (제목없음) 165

[사진2] (제목없음) 165

[사진3] (제목없음) 165

[사진4] (제목없음) 165

[사진5] (제목없음) 165

[사진6] 이부웅작 165

[사진7] 조정현작 165

[사진8] 박순관작 165

[사진1] (제목없음) 166

[사진2] (제목없음) 166

[사진3] (제목없음) 166

[사진4] 고도사출품 166

[사진5] (제목없음) 166

[사진6] (제목없음) 166

[사진7] (제목없음) 167

[사진7] 홍순탁 작 167

[사진9] (제목없음) 167

[사진10] (제목없음) 167

[사진11] 김석환 작 167

[사진12] 김석환 작 167

[사진1] (제목없음) 168

[사진2] ‘태미륵사'명 168

[사진3] 명문토기8~9세기입지름 14.5cm 169

[사진4] 입지름 19.4 높이(왼쪽)4.1cm 169

[사진5] (제목없음) 169

[사진6] (제목없음) 169

[사진7] (제목없음) 169

[사진8] (제목없음) 169

[사진9] (제목없음) 170

[사진10] (제목없음) 170

[사진11] (제목없음) 170

[사진12] (제목없음) 170

[사진13] (제목없음) 170

[사진14] (제목없음) 170

[사진15] (제목없음) 170

[사진16] (제목없음) 170

[사진1] (제목없음) 172

[사진2] (제목없음) 172

[사진3] (제목없음) 172

[사진4] (제목없음) 172

[사진5] (제목없음) 172

[사진6] (제목없음) 172

[사진7] 귀산명문 172

[사진1] (제목없음) 174

[사진2] (제목없음) 174

[사진3] (제목없음) 174

[사진4] (제목없음) 175

[사진5] (제목없음) 175

[사진6] (제목없음) 175

[사진7] (제목없음) 175

[사진8] (제목없음) 175

[사진9] (제목없음) 175

[사진10] (제목없음) 175

[사진11] (제목없음) 175

[사진12] (제목없음) 175

[사진13] (제목없음) 175

[사진14] (제목없음) 175

[사진15] (제목없음) 175

[사진16] (제목없음) 175

[사진17] (제목없음) 175

[사진18] (제목없음) 176

[사진19] (제목없음) 176

[사진20] (제목없음) 176

[사진21] (제목없음) 176

[사진22] 78.1×49.6×39.2 177

[사진23] (제목없음) 177

[사진24] (제목없음) 177

[사진25] (제목없음) 177

[사진26] (제목없음) 177

[사진27] (제목없음) 177

[사진28] (제목없음) 179

[사진29] (제목없음) 179

[사진30] (제목없음) 179

[사진31] (제목없음) 179

[사진1]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옹기 외부와 내부 180

[사진2] 태극무늬항아리·‘대한’이라 쓰여진 재떨이·항아리에 새겨진 태극문양 180

[사진1] (제목없음) 184

[사진2] (제목없음) 184

[사진3] (제목없음) 184

[사진4] (제목없음) 184

[사진5] (제목없음) 185

[사진6] (제목없음) 185

[사진7] (제목없음) 185

[사진8] (제목없음) 185

[사진9] 삼국시대 185

[사진10] 외고산 옹기축제 185

[사진11] 김석환 작 185

[사진12] 임성호 작 185

[그림1] (제목없음) 186

[그림2] (제목없음) 186

[그림3] (제목없음) 186

[그림4] (제목없음) 186

[사진1] (제목없음) 187

[사진2] (제목없음) 187

[사진3] (제목없음) 187

[사진4]역사박물관소장 187

[사진5] (제목없음) 187

[사진6] (제목없음) 187

[사진7] (제목없음) 187

[사진8] (제목없음) 188

[사진9] (제목없음) 188

[사진10] (제목없음) 188

[사진1] (제목없음) 189

[사진2] (제목없음) 189

[사진3] (제목없음) 189

[사진4] (제목없음) 189

[사진5] (제목없음) 189

[사진6] (제목없음) 189

[사진7] (제목없음) 189

[사진8] (제목없음) 189

[사진9] (제목없음) 190

[사진10] 고도사 소장 190

[사진11] (제목없음) 190

[사진12] (제목없음) 191

[사진1] (제목없음) 192

[사진2] (제목없음) 192

[사진3] (제목없음) 192

[사진4] (제목없음) 192

[사진5] (제목없음) 192

[사진5-1] (제목없음) 192

[사진6] (제목없음) 192

[사진6-1] (제목없음) 192

[사진7] (제목없음) 193

[사진8] (제목없음) 193

[사진9] (제목없음) 193

[사진10] (제목없음) 193

[사진11] (제목없음) 193

[사진12] (제목없음) 193

[사진13] 오향종 작 194

[사진14] (제목없음) 194

[사진1] (제목없음) 195

[사진2] (제목없음) 195

[사진3] (제목없음) 195

[사진4] (제목없음) 195

[사진1] (제목없음) 197

[사진2] (제목없음) 197

[사진1] (제목없음) 198

[사진2] (제목없음) 198

[사진3] (제목없음) 198

[사진4] (제목없음) 198

[사진1~4] 오향종 작 199

[사진5] 유성종작 199

[사진1] 옹기박물관 199

[사진2] 동산도기박물관 199

[사진1] (제목없음) 200

[사진2] (제목없음) 200

[사진3] (제목없음) 200

[사진4] (제목없음) 200

[사진5] (제목없음) 200

[사진6] 도장무늬단지 201

[사진7] 도장무늬단지 201

[사진8] (제목없음) 201

[사진9] 대부호, 강북대학교박물관소장 201

[사진10] (제목없음) 201

[사진 11]백제 6세기, 공주 송산리 출토, 높이6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1

[사진12] 백제, 부여 금성산 출토 201

[사진13] 가야 5세기 초, 높이52.3cm, 호림박물관 소장 201

[사진14] 5~6세기, 고령 출토, 右15.4cm 202

[사진15] 가야5세기,높이10.6cm,호림박물관소장 202

[사진16] (제목없음) 202

[사진17] 뿔잔(각배), 김해 양동리 출토, 동의대학교 박물관 소장 202

[사진18] 컵 모양 토기(把手附鉢), 가야, 높이 21.7cm, 입지름 20.8cm 202

[사진19] (제목없음) 202

[사진20] (제목없음) 202

[사진21] 수레바퀴 모양 토기, 의령 대의면 출토 202

[사진22] (제목없음) 202

[사진23] (제목없음) 203

[사진24] (제목없음) 203

[사진25] 신라5~6세기, 높이 17.2cm, 국립중앙 박물관 소장 203

[사진26] 원형향갑 노리개, 덕성여대 박물관 소장 204

[사진27] (제목없음) 204

[사진28] 삼계연결장구, 고려, 상명대학교 박물관 소장 204

[사진29] 판갑옷, 국립김해 박물관 소장 205

[사진30] (제목없음) 205

[사진31] 가야 5세기, 경주 구정동 출토 205

[사진32] 녹유 항아리 205

[사진33] 양념단지, 높이9.2cm, 태영 박물관 소장 205

[사진34] (제목없음) 205

[사진35] 부여 토기 공방 소장 205

[사진36] 조정현 작 206

[사진37] 홍성일 작 206

[사진38]홍성일작 206

[사진39] 조정현 작 206

[사진40] 김진우 작13.5x9.5 206

[사진1] (제목없음) 207

[사진2] (제목없음) 207

[사진3] (제목없음) 207

[사진4] 삼국시대 207

[사진5,6] 김석환 작 207

[사진1]토성동제45호분, 2세기 209

[사진2,3] 고려시대 겹오가리 209

[사진4,5]고려12세기 정병 209

[사진6]고려 13세기 209

[사진7] 미륵사 210

[사진8] 실상사 210

[사진9, 10, 11, 12] 삼겹오가리 210

[사진13] (제목없음) 210

[사진14] (제목없음) 210

[사진15] (제목없음) 210

[사진16] 이학수 작 210

[사진17] 고도사출품 211

[사진18] 고도사풀품 211

[사진19] 박순관 소장 211

[사진1] (제목없음) 212

[사진2] (제목없음) 212

[사진3] (제목없음) 212

[사진4] (제목없음) 212

[사진5] (제목없음) 212

[사진6] (제목없음) 212

[사진7] (제목없음) 212

[사진8] (제목없음) 212

[사진9] (제목없음) 212

[사진10] (제목없음) 212

[사진11] (제목없음) 212

[사진12] (제목없음) 212

[사진1] (제목없음) 213

[사진2] 서울 석촌동 유적.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213

[사진3] (제목없음) 214

[사진4] (제목없음) 214

[사진5] (제목없음) 214

[사진6] (제목없음) 214

[사진7] (제목없음) 214

[사진8] (제목없음) 214

[사진9] (제목없음) 214

[사진10] 이북,직경10.5 214

[사진11] 태영박물관소장 214

[사진12] (제목없음) 214

[사진13] (제목없음) 214

[사진14] (제목없음) 214

[사진15] (제목없음) 214

[사진1] (제목없음) 215

[사진2] (제목없음) 215

[사진3] (제목없음) 215

[사진4] (제목없음) 215

[사진4_1] (제목없음) 215

[사진5] (제목없음) 215

[사진5_1] (제목없음) 215

[사진6] (제목없음) 215

[사진6_1] (제목없음) 215

[사진7] (제목없음) 215

[사진7_1] (제목없음) 215

[사진8] (제목없음) 215

[사진8_1] (제목없음) 215

[사진9] (제목없음) 215

[사진9_1] (제목없음) 215

[사진10] (제목없음) 216

[사진10_1] (제목없음) 216

[사진11] (제목없음) 216

[사진11_1] (제목없음) 216

[사진12] (제목없음) 216

[사진12_1] (제목없음) 216

[사진13] (제목없음) 216

[사진14] (제목없음) 216

[사진15] (제목없음) 216

[사진16] (제목없음) 216

[사진17] (제목없음) 216

[사진18] (제목없음) 216

[사진19] (제목없음) 216

[사진20] (제목없음) 216

[사진21] (제목없음) 216

[사진22] (제목없음) 216

[사진23] (제목없음) 217

[사진24] (제목없음) 217

[사진25] 김석환 작 217

[사진26] 오향종 작 217

[사진1] (제목없음) 219

[사진2] (제목없음) 219

[사진3] (제목없음) 219

[사진4] (제목없음) 219

[사진5] (제목없음) 219

[사진6] (제목없음) 219

[사진7] (제목없음) 219

[사진8] 등잔 219

[사진9] 청자 219

[사진10] 오지 219

[11사진] 오지 219

[사진12] 오향종작 219

[사진1] (제목없음) 220

[사진2] (제목없음) 220

[사진3] (제목없음) 220

[사진4] (제목없음) 220

[사진5] (제목없음) 220

[사진6] (제목없음) 220

[사진7] 장군 220

[사진8] 울산외고산 220

[사진9] 울산외고산 똥독간 220

[사진10] 울산외고산 목욕탕 220

[사진11] 장독 221

[사진12] 퇴주기,울산외고산 221

[사진13] (제목없음) 221

[사진14] (제목없음) 221

[사진15] (제목없음) 221

[사진16] 목옹/독 221

[사진17] 지옹/독 221

[사진18] 싸리옹/독 221

[사진19] 나무독, 222

[사진20] 종이독,조선,높이109 222

[사진21] 채독,조선,높이82 222

[사진1] (제목없음) 222

[사진2] (제목없음) 223

[사진5] 김준근 작 226

[사진1] (제목없음) 227

[사진2] (제목없음) 227

[사진3] (제목없음) 229

[사진4] 上, 下 229

[사진5] 토성동 45호분 출토 230

[사진6] 울릉도 출토 230

[사진7] 박순관 소장 230

[사진8] 울산 외고산 소장 230

[사진9] (제목없음) 231

[사진32-1] (제목없음) 232

[사진10] (제목없음) 233

[사진11] (제목없음) 233

[사진12] (제목없음) 233

[사진13] (제목없음) 233

[사진14] (제목없음) 234

[사진15] (제목없음) 234

[사진16] (제목없음) 234

[사진17] (제목없음) 234

[사진18] 30.3×16.7 237

[사진19] (제목없음) 237

[사진20] 박순관 소장 237

[사진21] (제목없음) 237

[사진22] 문경 김종옥 소장 237

[사진23] (제목없음) 237

[사진24] (제목없음) 238

[사진25] (제목없음) 239

[사진26] (제목없음) 239

[사진1] (제목없음) 240

[사진2] (제목없음) 240

[사진3] (제목없음) 240

[사진4] (제목없음) 241

[사진5] (제목없음) 241

[사진6] (제목없음) 241

[사진7] (제목없음) 241

[사진8] (제목없음) 241

[사진9] (제목없음) 241

[사진10] (제목없음) 241

[사진11] (제목없음) 241

[사진12] 1910년 서울 241

[사진13] (제목없음) 241

[사진14] (제목없음) 241

[사진15] (제목없음) 243

[사진16] (제목없음) 243

[사진17] 1919년 243

[사진18] 대동강 243

[사진19] 上, 下 243

[사진20] 1945년 243

[사진21] (제목없음) 244

[사진22] 평양 대동강 244

[사진23] 칠량리 옹기 범선 244

[사진24] 옹기전 244

[사진25] 옹기전 244

[사진26] (제목없음) 244

[사진27] 용인 옹기전 244

[사진28] (제목없음) 244

[사진1] (제목없음) 245

[사진2] 진주 사천리 245

[사진3] 함안 245

[사진4] 경남 사천 우천리 246

[사진5] 경기 용인 범박골 246

[사진6] (제목없음) 246

[사진7] 1960년, 경기도 공뚜껑 247

[사진8] 2007년, 청송 공뚜껑 247

[사진9] (제목없음) 247

[사진10] 공뚜껑 새끼흔 247

[사진11] 홍순탁 작 247

[사진12] 제주도 248

[사진13] 제주도 248

[사진14] 공뚜껑 248

[사진15] 곽경태 가마 248

[사진16] 홍성일 가마 248

[사진17] (제목없음) 248

[사진18] 이인직 작 249

[사진19] 이인직 작 249

[사진20] 이인직 작 249

[사진21] 김진우 작 249

[사진22] 김진우 작 249

[사진23] 홍성일 작 249

[사진1] 칠량리 200배 253

[사진2] 울산 200배 253

[사진1] (제목없음) 256

[사진2] (제목없음) 256

[사진3] (제목없음) 256

[사진4] (제목없음) 257

[사진5] (제목없음) 257

[사진6] (제목없음) 257

[사진7] (제목없음) 257

[사진8] (제목없음) 257

[사진9] 움집 다리골똑 257

[사진10] 천공개물 257

[사진11] 박순관 작 257

[사진12] 장영필 작 257

[사진1] (제목없음) 260

[사진2] 도예촌 260

[사진3] (제목없음) 260

[사진4] (제목없음) 260

[사진5] 한경면 261

[사진6] 한경면 261

[사진7] (제목없음) 261

[사진8] (제목없음) 261

[사진9] (제목없음) 261

[사진10] (제목없음) 261

[사진11] 구억리 노랑굴 262

[사진12] 구억리 검은굴 262

[사진13] (제목없음) 262

[사진14] (제목없음) 263

[사진15] 산양리 노랑굴 263

[사진16] (제목없음) 263

[사진1] (제목없음) 268

[사진2] (제목없음) 268

[사진3] (제목없음) 268

[사진1] (제목없음) 270

[사진2] 융용된 유리 270

[사진3] (제목없음) 270

[사진4] 제주도 자연유 271

[사진5] 원광대 자연유 271

[사진6] 원광대 자연유 271

[사진1] 전남 장성군 추암리242) [사진2] 경남 진해시 두동리243) 274

[사진1] 전남 장성군 추암리242) [사진2] 경남 진해시 두동리243) 274

[사진3] 울산광역시 두동면 손띠문양 274

[사진4] 울산광역시 두동면 파도문양 274

[사진5] 〈경기도 포천 길명리〉 275

[사진6] (제목없음) 276

[사진7] 문경출토품, 백토위에 유약 276

[사진8] 천한봉 작 276

[사진9] 천한봉 작 276

[사진10] 천한봉 작 276

[사진11] 김정옥 작 276

[사진12] 천한봉 작 276

[사진13] 천한봉 277

[사진14] 이정하 277

[사진15] 홍재표 277

[사진1] (제목없음) 280

[사진2] (제목없음) 280

[사진3] (제목없음) 280

[사진4] (제목없음) 280

[사진5] (제목없음) 280

[사진6] (제목없음) 280

[사진7] 동산박물관 280

[사진8] 오지단지 280

[사진9] 오지주전자 높이7.5cm 280

[사진10] 오지귀대 직경22cm 280

[사진11] 오지대접 직경18cm 280

[사진12] 오지가마 높이28cm 280

[사진13] 오지합 직경15.8cm 281

[사진14] 오지뚝배기직경19.7cm 281

[사진15] 동이 높이 27.5cm 281

[사진16] (제목없음) 281

[사진17] (제목없음) 281

[사진18] (제목없음) 281

[사진19] (제목없음) 281

[사진1] (제목없음) 283

[사진2] (제목없음) 283

[사진3] (제목없음) 283

[사진4] (제목없음) 283

[사진5] (제목없음) 283

[사진6] (제목없음) 283

[사진7] (제목없음) 283

[사진8] (제목없음) 283

[사진9] (제목없음) 283

[사진10] (제목없음) 283

[사진11] (제목없음) 283

[사진12] 한봉림소장 283

[사진14] (제목없음) 284

[사진15] (제목없음) 284

[사진16] (제목없음) 284

[사진17] (제목없음) 284

[사진1] 경기도 강화도 덕진진 김영훈家장독대. 308

[사진2] 조선후기 양반가장독대 309

[사진3] 심원정사 309

[사진1] 전라남도 나주 310

[사진2] 전라도 310

[사진3] (제목없음) 310

[사진4] (제목없음) 310

[사진5] 경북안동 청송심씨 310

[사진6] 경남밀양 사부북 310

[사진7] 경북안동 청송심씨 310

[사진8] 영양남씨 괴시파 종택 310

[사진9] 경북 안동 수애당 310

[사진10] 충남 논산 윤증고택 311

[사진11] 청원 문양면 문덕리 311

[사진12] (제목없음) 311

[사진13] 경기도 311

[사진14] 경기도 311

[사진15] 경기도 311

[사진16] 경기도 이북 311

[사진17] 경기도 이북 311

[사진18] 황해도 311

[사진19] 강원도 312

[사진20] 강원고성어명기 312

[사진21] 강원도고성건봉사 312

[사진22] 서울영등포 312

[사진23] 경북영덕지품면오천리 312

[사진24] 제주도 312

[사진25] 대동강변 312

[사진26] 해주옹기 도매상 312

[사진27] 평양 선교리 312

[사진28] 경북영덕 운흥사 312

[사진29] (제목없음) 312

[사진30] 경기도 안성 312

[사진31] 전북 부안군 313

[사진32] 전남 무안군 313

[사진33] 황혜성 고사지내기 313

[사진34] 전라남도 담양군 313

[사진1] 풍수원 성당 331

[사진2] 십자가 331

[사진3] 배현국 가마 331

[사진4] 최초의 배론성당 331

[사진5] (제목없음) 331

[사진6] (제목없음) 331

[사진7] 백서 331

[사진8] 토굴 331

[사진9] (제목없음) 331

[사진1] (제목없음) 334

[사진2] (제목없음) 334

[사진3] (제목없음) 334

[사진4] (제목없음) 334

[사진6~사진10] 천주교의 영향을 받은 연가 335

[사진11] 임무근 작 335

[사진12] 권순형 작 335

[사진13] (제목없음) 335

[사진14] (제목없음) 336

[사진15] (제목없음) 336

[사진16] (제목없음) 336

[사진17] (제목없음) 336

[사진1] (제목없음) 337

[사진2] (제목없음) 339

[사진3] (제목없음) 339

[사진4] 김제 340

[사진5] 양평 340

[사진6] (제목없음) 340

[사진7] (제목없음) 340

[사진8] (제목없음) 340

[사진1] (제목없음) 345

[사진2] (제목없음) 345

[사진1] 남평장날 구입 346

[사진2] 민예관 346

[사진3] 민예관 346

[사진1] (제목없음) 349

[사진2] (제목없음) 349

[사진3] (제목없음) 349

[사진4] 박순관 시연 349

[사진5] (제목없음) 349

[사진1] 김석환 작 352

[사진2] 권순형 작 352

[사진3] 김석환 작 352

[사진4] 원대정 작 353

[사진5] 원대정 작 353

[사진6] 정담순 작 353

[사진1] 2005 대한민국 현대도예 공모전 출품작 355

[사진2] 우은주 작 356

[사진3] 우은주 작 356

[사진4] 강화수 작 356

[사진5] 이인수 작 356

[사진6] 허상욱 작 356

[사진7] 박선옥 작 356

[사진8] 류난호 작 356

[사진9] 김도영 작 357

[사진10] 서영기작 357

[사진11] 장영필작 357

[사진12] 김창호작 357

[사진13] 정연균작 357

[사진14] 김창호 작 357

[사진15] 이경희 작 357

[사진16] 제1회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심사장면 357

[사진17] (제목없음) 358

[사진18] (제목없음) 358

[사진19] (제목없음) 358

[사진20] (제목없음) 358

[사진21] (제목없음) 358

[사진22] (제목없음) 358

[사진23] (제목없음) 358

[사진24] (제목없음) 358

[사진25] (제목없음) 358

[사진26] (제목없음) 358

[사진27] (제목없음) 358

[사진28] (제목없음) 358

[사진1] (제목없음) 359

[사진2] (제목없음) 359

[사진3] (제목없음) 359

[사진4] (제목없음) 359

[사진1] (제목없음) 360

[사진2] (제목없음) 360

[사진3] (제목없음) 360

[사진1] (제목없음) 361

[사진2] (제목없음) 361

[사진3] (제목없음) 361

[사진4] (제목없음) 361

[사진5] (제목없음) 361

[사진6] (제목없음) 361

[사진1] (제목없음) 362

[사진1] (제목없음) 362

[사진2] (제목없음) 362

[사진3] (제목없음) 362

[사진1] 전남칠량리 정윤석 옹장 363

[사진2] 물레경연대회 363

[사진1] (제목없음) 365

[사진2] 서대문장애인 종합복지관 365

[사진3] 혜정원장애인 직업재활시설 문훈 365

[사진4] 영보작 업장 이민구 365

[사진5] 서울농 학교 최가영 365

[사진6] 특선 서울농학교 최가영 365

[사진7] 입선 박현준 365

[사진8] 입선 배상현 365

[사진1] 연가,백제 6,7세기 국립중앙박물관소장 370

[사진2] (제목없음) 370

[사진3] 서울대박물관 소장 370

[사진4] 역사 박물관 소장 370

[사진5] (제목없음) 371

[사진6] (제목없음) 371

[사진7] (제목없음) 371

[사진8] (제목없음) 371

[사진10] (제목없음) 372

[사진11] (제목없음) 372

[사진12] (제목없음) 372

[사진13] (제목없음) 372

[사진14] (제목없음) 372

[사진15] (제목없음) 372

[사진16] 청송심씨연가 372

[사진17] 청송심씨연가 372

[사진9]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 굴뚝(景福宮慈慶殿十長生)의 문양 371

[사진10] (제목없음) 372

[사진11] (제목없음) 372

[사진12] (제목없음) 372

[사진13] (제목없음) 372

[사진14] (제목없음) 372

[사진15] (제목없음) 372

[사진16] 청송심씨연가 372

[사진17] 청송심씨연가 372

[사진18] (제목없음) 373

[사진19] (제목없음) 373

[사진20] (제목없음) 373

[사진21] (제목없음) 373

[사진22] (제목없음) 373

[사진23] (제목없음) 373

[사진24] (제목없음) 373

[사진25] (제목없음) 373

[사진26] (제목없음) 373

[사진27] (제목없음) 373

[사진28] (제목없음) 373

[사진29] (제목없음) 373

[사진30] (제목없음) 374

[사진31] (제목없음) 374

[사진32] (제목없음) 374

[사진33] (제목없음) 374

[사진34] (제목없음) 374

[사진35] (제목없음) 374

[사진36] (제목없음) 374

[사진37] (제목없음) 374

[사진38] (제목없음) 374

[사진39] (제목없음) 374

[사진40] (제목없음) 374

[사진41] (제목없음) 374

[사진42] (제목없음) 374

[사진43] (제목없음) 375

[사진44] (제목없음) 375

[사진45] (제목없음) 375

[사진46] (제목없음) 375

[사진47] (제목없음) 375

[사진48] (제목없음) 375

[사진49] (제목없음) 375

[사진50] (제목없음) 375

[사진51] (제목없음) 375

[사진52] (제목없음) 375

[사진53] (제목없음) 375

[사진54] (제목없음) 375

[사진56] 미력옹기 376

[사진57] 김용문작 376

[사진58] 홍성일 작 376

[사진59] 홍순탁작 376

[사진60] 박순관 작 376

[사진61] 김용문 작 376

[사진62] 김석환 작 376

[사진63] 이형선 작 376

[사진64] 이형선작 376

[사진65] 이형선작 376

[사진66] 이형선작 376

[사진67] 오향종작 377

[사진68] 오향종작 377

[사진69] 김석환작 377

[사진70] 김석환작 377

[사진1] (제목없음) 378

[사진2] (제목없음) 378

[사진3] (제목없음) 378

[사진4] 박종훈 작 378

[사진5] (제목없음) 378

[사진6] (제목없음) 378

[사진7] (제목없음) 378

[사진8] 정영 작 379

[사진9] 정영 작 379

[사진10] 정영 작 379

[사진11] (제목없음) 380

[사진12] 창덕궁 승화루 380

[사진13 김석환 작 380

[사진14] 오향종 작 380

[사진15] 김석환 작 380

[사진16] 김석환 작 380

[사진17~20] 김석환 작 380

[사진21,22,23] 울산 외고산 382

[사진24] 경북 의성. 옹기조형물 382

[사진25] 옹기조형물 382

[사진26] 태영박물관소장 382

[사진27] 외고산 옹기조형물 382

[사진28] (제목없음) 382

[사진29,30] 경인미술관 소장 382

[사진31] 박종훈 작 382

[사진1] (제목없음) 384

[사진2] 물레칸 384

[사진3] 점토광 384

[사진4] 계룡산조대불통가 마 384

[사진5] 조대불통가마 384

[사진6] (제목없음) 384

[사진7] (제목없음) 384

[사진8] (제목없음) 384

[사진9] 1920년대 옹기가마 384

[사진10] 소화12년(1937) 385

[사진11] (제목없음) 385

[사진12] 1960년대 경주 385

[사진13] 유효웅 토기가마 385

[사진14] 한형준 기와가마 385

[사진15] (제목없음) 385

[사진16] (제목없음) 385

[사진17] 물레칸 385

[사진18] 송침막 385

[사진19] 허창간 385

[사진20] (제목없음) 385

[사진1] (제목없음) 387

[사진2] (제목없음) 387

[사진3] (제목없음) 387

[사진4] 신평 옹개샘이 근경 387

[사진5] 무유옹기내면/외면 387

[사진6] 시유옹기내면/외면 387

[사진1] (제목없음) 389

[사진2] (제목없음) 389

[사진3] (제목없음) 389

[사진4] (제목없음) 390

[사진5] (제목없음) 390

[사진6] (제목없음) 390

[사진1] (제목없음) 391

[사진2] (제목없음) 391

[사진3] (제목없음) 391

[사진4] 전통 잿물 통 391

[사진1] (제목없음) 393

[사진2] (제목없음) 393

[사진3] (제목없음) 393

[사진4] (제목없음) 393

[사진5] (제목없음) 393

[사진6] (제목없음) 394

[사진7] (제목없음) 394

[사진8] (제목없음) 394

[사진9] (제목없음) 394

[사진10] (제목없음) 394

[사진11] (제목없음) 394

[사진12] (제목없음) 394

[사진13] (제목없음) 394

[사진14] 배연식 작 394

[사진1] (제목없음) 396

[사진2] (제목없음) 396

[사진3] (제목없음) 396

[사진4] (제목없음) 396

[사진5] (제목없음) 396

[사진5-1] 내부전경 396

[사진5-2] 굴뚝아랫부분 연골 396

[사진5-3] 굴뚝 396

[사진6] (제목없음) 396

[사진7] (제목없음) 396

[사진8] (제목없음) 396

[사진9] (제목없음) 397

[사진10] (제목없음) 397

[사진11] (제목없음) 397

[사진12] (제목없음) 397

[사진13] (제목없음) 397

[사진14] (제목없음) 397

[사진1] (제목없음) 398

[사진2] (제목없음) 398

[사진3] (제목없음) 398

[사진4] (제목없음) 398

[사진5] (제목없음) 398

[사진6] (제목없음) 398

[사진1] (제목없음) 400

[사진2] (제목없음) 400

[사진3] (제목없음) 400

[사진4] (제목없음) 400

[사진5] (제목없음) 400

[사진6] (제목없음) 400

[사진7] (제목없음) 402

[사진8] (제목없음) 402

[사진9] (제목없음) 402

[사진10] (제목없음) 402

[사진11] (제목없음) 402

[사진12] (제목없음) 402

[사진13] (제목없음) 402

[사진14] (제목없음) 402

[사진15] (제목없음) 402

[사진16] (제목없음) 402

[사진1] (제목없음) 403

[사진2] (제목없음) 403

[사진3] (제목없음) 403

[사진4] (제목없음) 404

[사진5] (제목없음) 404

[사진6] (제목없음) 404

[사진1] (제목없음) 404

[사진2] (제목없음) 404

[사진3] (제목없음) 404

[사진4] (제목없음) 405

[사진5] (제목없음) 405

[사진6] (제목없음) 405

[사진7] (제목없음) 405

[사진1] (제목없음) 406

[사진2] (제목없음) 406

[사진3] (제목없음) 406

[사진4] (제목없음) 406

[사진5] (제목없음) 406

[사진6] (제목없음) 406

[사진7] (제목없음) 406

[사진8] 고도사소장, 1.5m 407

[사진1] 이화여자대학교 410

[사진2] 홍익대학교 410

[사진3] 원광대학교 410

[사진4] 원광대학교 410

[사진5] 원광대학교 410

[사진1] (제목없음) 411

[사진2] (제목없음) 411

[사진3] (제목없음) 411

[사진4] (제목없음) 411

[사진5] (제목없음) 411

[사진6] (제목없음) 411

[사진7] 곽경태 작 412

[사진8] 곽경태 작 412

[사진1] (제목없음) 413

[사진2] (제목없음) 413

[사진3] (제목없음) 413

[사진4] (제목없음) 414

[사진5] (제목없음) 414

[사진6] (제목없음) 414

[사진7] (제목없음) 414

[사진8] (제목없음) 414

[사진9] (제목없음) 414

[사진10] (제목없음) 414

[사진11] (제목없음) 414

[사진12] (제목없음) 414

[사진1] 217×216 416

[사진2] 200×193 416

[사진3] 230×183 416

[사진1] (제목없음) 417

[사진2] (제목없음) 417

[사진3] (제목없음) 417

[사진4] (제목없음) 418

[사진5] (제목없음) 418

[사진6] (제목없음) 418

[사진7] (제목없음) 419

[사진8] 25×23cm 419

[사진9] (제목없음) 419

[사진10] (제목없음) 419

[사진11] (제목없음) 419

[사진12] (제목없음) 419

[사진13] (제목없음) 420

[사진14] (제목없음) 420

[사진15] (제목없음) 420

[사진1] (제목없음) 421

[사진2] (제목없음) 421

[사진3] (제목없음) 421

[사진4] (제목없음) 422

[사진5] (제목없음) 422

[사진6] (제목없음) 422

[사진7] (제목없음) 422

[사진8] (제목없음) 422

[사진9] (제목없음) 422

[사진1] (제목없음) 424

[사진2] (제목없음) 424

[사진3] (제목없음) 424

[사진4] (제목없음) 424

[사진5] (제목없음) 424

[사진6] (제목없음) 424

[사진7] (제목없음) 424

[사진8] (제목없음) 424

[사진9] (제목없음) 424

[사진10,11] 〈2007년 개인전〉 426

[사진12] (제목없음) 426

[사진13] (제목없음) 426

[사진14] (제목없음) 426

[사진15] (제목없음) 426

[사진1] (제목없음) 427

[사진2] (제목없음) 427

[사진3] (제목없음) 427

[사진4] (제목없음) 427

[사진5] (제목없음) 427

[사진6] (제목없음) 427

[사진7] (제목없음) 428

[사진8] (제목없음) 428

[사진9] (제목없음) 428

[사진1] (제목없음) 429

[사진2] (제목없음) 429

[사진3] (제목없음) 429

[사진4] 1986작49×82 430

[사진5] 1986작45×74 430

[사진6] 64×30×32 430

[사진7] 1997작15×25 430

[사진8] 2000작 430

[사진9] (제목없음) 430

[사진10] (제목없음) 430

[사진11] (제목없음) 430

[사진12] (제목없음) 430

[사진1] (제목없음) 432

[사진2] (제목없음) 432

[사진3] (제목없음) 432

[사진4] (제목없음) 432

[사진5] (제목없음) 432

[사진6] (제목없음) 432

[사진7] (제목없음) 433

[사진1] (제목없음) 434

[사진2] (제목없음) 434

[사진3] (제목없음) 434

[사진1] (제목없음) 435

[사진2] (제목없음) 435

[사진3] (제목없음) 435

[사진4] (제목없음) 435

[사진5] (제목없음) 435

[사진6] (제목없음) 435

[사진7] (제목없음) 435

[사진1] 명지대학원 436

[사진2] 명지대학원 436

[사진3] 명지대학원 436

[사진4] 원광대학교 436

[사진5] 원광대학교 436

[사진6] 명지대학원,김충환 436

탁본목차

[탁본1] (제목없음) 57

[탁본2] (제목없음) 57

[탁본1] 진주 사천시 우천리 (1:2, 구경:26cm, 전두께: 1.8cm) 87

[탁본1] 진주 사천시 우천리 출토1:2 94

[탁본2] 1:1 94

[탁본1] 1 : 1, 폭 3.5cm, 두께 0.9cm 101

[탁본1] 1 : 1 110

[탁본2] 1 : 1 110

[탁본3] 1 : 1 110

[탁본4] 1 : 2 박순관 소장 110

[탁본5] 1 : 1 사천 우천리 110

[탁본1] 1 : 2, 밑지름 37.6cm, 밑바닥 두께1.3cm, 경기도 용인 서리 출토 114

[탁본2] 1 : 2, 경기도 용인 범박골 출토 114

[탁본3] 1 : 4, 밑지름 31cm, 광주 출토 114

[탁본4] 1 : 2, 두께0.5cm, 경기도 용인 범박골 출토 114

[탁본1] 1 : 2, 박순관 소장 116

[탁본2] 1 : 2 경기도 용인 범박골 출토 117

[탁본3] 1 : 3 두께 0.4cm 경기도 용인 범박골 출토 117

[탁본4] 1 : 2 경기도 용인 범박골 출토 117

[탁본5] 1 : 4 광주 출토 117

[탁본6] 1 : 4 광주 출토 117

[탁본7] 두께 0.5~0.7cm, 만귀정지 출토 117

[탁본8] (제목없음) 118

[탁본9] (제목없음) 118

[탁본1] 20세기, 박순관 소장 126

[탁본1] (제목없음) 129

[탁본2] (제목없음) 129

[탁본3] 1 : 3 129

[탁본4] 1 : 3 130

[탁본5] 1 : 3 130

[탁본6] 1 : 3 130

[탁본1] 옹관, 호남문화재연구원 소장 (1 : 1) 132

[탁본2] (제목없음) 132

[탁본3] 1 : 3(上), [탁본4] 1 : 3(下) 134

[탁본5] 1 : 4 134

[탁본6] 1 : 4 박순관 134

[탁본7] 1 : 3 134

[탁본8] 1 : 3 134

[탁본9] 1 : 3 134

[탁본10] 1 : 3 135

[탁본11] 1 : 3 135

[탁본12] 1 : 3 135

[탁본13] 1 : 3 136

[탁본14] 1 : 3 136

[탁본15] 1 : 3 136

[탁본16] 1 : 3 136

[탁본17] 1 : 3 136

[탁본18] 1 : 2 136

[탁본19] 1 : 3 137

[탁본20] 1 : 3 137

[탁본21] 1 : 3 137

[탁본1] 범박골2호 출토1 : 4 139

[탁본1] 박순관소장 159

[탁본1] ‘대중12년’명(통일신라 858) 168

[탁본1] 강진월하리 172

[탁본1] 1 : 2 ‘소화십팔년도 서산군 액비류 설치’ 173

[탁본2] 1 : 2 174

[탁본3] (제목없음) 174

[탁본1] (제목없음) 193

도면목차

[도면1] 고려10세기경 경북경천 아포 대성리 청소년수련원 토기가마내부 출토 209

[도면2]미륵사 210

[도면3]실상사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