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도시 경계의 재해석에 대한 연구 : 선정릉 공원의 경계를 중심으로 / 조인경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9.2
청구기호
TM 692.1 -9-18
형태사항
vi, 4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00626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건축설계학, 2009.2. 지도교수: 김낙중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8

1. 서론 11

1.1. project의 배경 및 목적 11

1.2. project의 대상 및 방법 12

2. 경계 (Edge) 15

2.1. 경계 15

2.1.1. 경계의 의미 15

2.1.2. 경계의 요소 16

2.1.3. 경계의 특성 18

2.2. 공원과 도시의 경계 19

2.2.1. 경계 유연화에 따른 도시와 공원의 관계 변화 20

2.2.2. 도시조직 (urbanfabric)확장 20

2.2.3. 경계의 장소화 21

2.3. 소결 : 경계의 장소화에 따른 도시와 공원의 관계 22

3. 선정릉 공원과 도시의 경계 24

3.1. 녹지공간으로서의 선정릉 24

3.2. 역사공간으로서의 선정릉 25

3.2.1. 선정릉과 철조망 25

3.2.2. 도심의 역사공간으로서의 경계구조 26

3.2.3. 死영역의 유기적 공간화 27

3.3. 소결 28

4.건축계획안 30

4.1. 대지선정 및 대지분석 30

4.1.1. 대지선정 31

4.1.2. 대지분석 32

4.1.3. 대상지 주변현황 및 분석 33

4.2. 기본계획 방향 35

4.2.1. 계획개념 35

4.2.2. 개념 도출을 위한 선릉경계 분석 36

4.2.3. 경계의 재해석 38

4.3. 계획과정 및 프로그램 39

4.3.1. Designprocess 39

4.3.2. Designstudy 40

4.4. Drawing 42

4.4.1. Siteplan& Section 42

4.4.2. 세부평면 45

4.4.3. Bridge입면 47

4.5. Perspective 48

4.6. 전시패널 & 모형 50

참고문헌 54

[그림 1-1] 공원과 도시의 경계 12

[그림 2-1] 마크로드코 -Yellow andBlue 15

[그림 2-2] 자연적 경계 16

[그림 2-3] 인공적인 경계 17

[그림 2-4] 경계의 구성과 모호성 18

[그림 2-5] 도시와 공원의 경계 19

[그림 2-6] 경계의 유연화 20

[그림 2-7] 도시조직의 확장 21

[그림 2-8] 경계의 장소화 21

[그림 3-1] 선정릉공원 24

[그림 3-2] 공원주변의 철조망 25

[그림 3-3] 역사공간의 경계구조 27

[그림 4-1] 테헤란로와 선릉 30

[그림 4-2] 선릉공원 남쪽 사이트 31

[그림 4-3] 선릉공원의 경계구조 Nature vs Urban 32

[그림 4-4] Topography의 Deforming 33

[그림 4-5] 오픈스페이스 -path diagram 34

[그림 4-6] site 위치 36

[그림 4-7] Blocked edge of park 36

[그림 4-8] Portential of access 36

[그림 4-9] Connection of green patch 36

[그림 4-10] 동선의 건축적 통제수단 37

[그림 4-11] 경계의 재해석 38

[그림 4-12] Design process 39

[그림 4-13] Alt 1 Sketch 40

[그림 4-14] Alt 1 Study model 40

[그림 4-15] Alt 2 Drawing 41

[그림 4-16] Alt 2 Model 41

[그림 4-17] Site plan & Section 42

[그림 4-18] Siteplan_A zone 43

[그림 4-19] Siteplan_B zone 44

[그림 4-20] Plan for Community facility 45

[그림 4-21] Community facility Model 45

[그림 4-22] Plan for History museum 46

[그림 4-23] History museum Model 46

[그림 4-24] Plan for Cafe on bridge 46

[그림 4-25] material sketch 47

[그림 4-26] Bridge model 47

[그림 4-27] Bridge Elevation 47

[그림 4-28] Perspective 1 : Community facility area 48

[그림 4-29] Perspective 2 : History museum area 48

[그림 4-30] Perspective 3 : A zone 49

[그림 4-31] Perspective 4 : Deck bridge(B zone) 49

[그림 4.6-1] 전시패널 50

[그림 4.6-2] A zone Model 1 51

[그림 4.6-3] B zone Model 1 51

[그림 4.6-4] A zone Model 2 52

[그림 4.6-5] B zone Model 2 53

초록보기 더보기

대부분의 공원은 도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형성된 격자형의 도로와 주거지로 인해 블록형태의 섬으로 존재한다. 예전에는 자연스럽게 도시와 공존, 연결되던 자연이 도시조직의 형상에 따라 잘려진 공원으로 남겨진 것이다. 그로 인해 도시조직과 공원은 도로라는 뚜렷한 경계를 사이에 두고 각각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공원은 도시라는 모태를 바탕으로 할 때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공원은 발전 초기단계부터 도시와 구별되는 높은 담을 쌓고 도시속의 점이되기를 자처했다. 고립된 피난처로서의 공원, 도시 공간 구조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지만 도시와의 대화를 허용하지 않는 녹색의 초원-마치도시는 악이고 공원은 선이라는 식의 극단적인 구도다.

도시와 공원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기보다는 도시공간에서 중요한 오픈스페이스의 기능을 해내야 한다.

도심 속 거대한 녹지공간인 선정릉 공원은 그 환경적, 사회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공원 전체에 둘러쳐진 철조망에 의해 모든 면이 주변 도시조직과 명확한 경계를 형성하며 존재한다.

장소의 변형과 창조를 통해 역사 공간으로서, 도심공원으로서 선정릉이 가진 잠재력을 이미 우리에게 친숙한 몇 가지의 상상력으로 건축화 영역화 시켜본다.

도시와 공원의 소통을 위한 건축적 산책로를 제시함에 있어 보행자와 녹지의 연계를 통한 공간구성이 가능한 선릉공원의 남쪽 사이트를 선정하고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