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6
II. 실험 8
1. 재료 8
1) 실험동물 및 사육환경 8
2) 재료 및 시료준비 9
2. 방법 11
1) 지방세포분화 및 측정 11
2) 고지방식으로 인한 비만 및 고지혈증의 유발 12
3) Poloxamer-407과 Triton WR-1339 투여로 인한 급성 고지혈증 유발 13
4) 혈청 및 효소원의 조제 13
5) Total cholesterol 함량 측정 14
6) Triglyceride 함량 측정 14
7) Phospholipid 함량 측정 15
8)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HDL-C) 함량 측정 15
9) LDL-cholesterol 함량 측정 15
10) 혈중 Lipid peroxide 함량 측정 16
11) 혈증 hydroxyl radical 함량 측정 16
12) 혈중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 측정 17
13) 간조직의 지질 및 단백질 산화정도 측정 17
14) 간장 효소 활성 측정 17
(1) SOD 활성도 측정 17
(2) Catalase 활성도 측정 18
(3) Glutathione peroxidase(GSH Px) 활성도 측정 18
15) 단백질 정량 및 통계처리 18
III. 실험결과 19
1. 지방세포분화에 대한 효과 19
2. Poloxamer-407 처리 고지혈증 모델의 혈청지질에 대한 효과 21
3. Triton WR-1339 처리 고지혈증 모델의 혈청지질에 대한 효과 22
4. 체중 변화 23
5. 지방 조직의 무게 변동 24
6. 혈청 지질 성분의 변화 25
7. 혈청 cholesterol 함량 변화 및 동맥경화지수 변화 26
8. 간장 조직중의 지질 및 cholesterol 함량 변화 27
9. 혈중 과산화지질 생성 변화 28
10. 혈중 hydroxyl radical 생성 및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 29
11. 간 조직의 지질 및 단백질 산화 정도 30
12. 간 조직 내 항산화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31
IV. 고찰 32
V. 결론 39
참고문헌 40
Abstract 5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Obesity as a problem. Nature. 04(6778). 2000. pp, 635-643. | 미소장 |
2 | Childhood Obesity: Susceptibility, cause, and management, J. Ped 103(5). 1983. pp. 676-686. | 미소장 |
3 | Serum Leptin Levels in Obese Korean Adults with Varying Glucose Tolerance ![]() |
미소장 |
4 | Harrison's 내과학. 서울: 도서출판 정담. 1997. p, 480. | 미소장 |
5 | Clinical Obesity. Blackwell Oxford. 1998. | 미소장 |
6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한방재활의학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3. pp, 349-362. | 미소장 |
7 | 黃帝內經素問靈樞. 臺北, 臺聯國風出版社. 1981. pp, 218, 260-261, 324, 344. | 미소장 |
8 | 黃帝內經靈樞譯解. 서울:成輔社. 1980. pp, 243-259, 304-416. | 미소장 |
9 | 傅靑註女科發揮. 서울. 醫聖堂. 1998. p, 216. | 미소장 |
10 | 全國韓醫科大學 再活醫學科學 敎室. 東醫 再活醫學科學. 서울. 醫苑堂. 1995. pp, 570-575. | 미소장 |
11 | 肥滿的中醫治療. 北京中醫學院報. 8(2). 1985. | 미소장 |
12 | 東醫腎系學. 서울. 東洋醫學硏究院. 1993. pp, 1267-1270. | 미소장 |
13 | 東醫方劑와 處方解說. 서울. 의성당. 1998. p, 216. | 미소장 |
14 | 醫學正傳.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1. p, 133. | 미소장 |
15 | 東醫寶鑑. 南山堂. 1983. p, 134. | 미소장 |
16 | 醫方集解. 서울. 杏林出版社. 1977. pp, 228-30. | 미소장 |
17 | 經岳全書(上). 서울. 大星文化社. 1997. pp, 211-212. | 미소장 |
18 | 六君子湯이 肥滿마우스의 體重 및 血淸含量變化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19 | 加味六君子湯이 白鼠의 肥滿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0. | 미소장 |
20 | 四君子湯, 二陳湯 및 六君子湯이 高脂血症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21 | 仲景全書. 서울. 大星文化社. pp, 156-158. | 미소장 |
22 | 備急千金要方. 서울. 大星文化社. 1984. pp, 178, 195. | 미소장 |
23 | 東醫方劑學. 서울. 고문사. 1971. pp, 48. 51. 57. | 미소장 |
24 | 方藥合編. 서울. 南山堂. 1987. pp, 129-131. 168-169. | 미소장 |
25 | 方劑學. 서울. 癸丑文化社. 1989. pp, 166-167. | 미소장 |
26 | 中醫內科辨證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4. pp, 84-90. | 미소장 |
27 | 中醫方劑的藥理及臨床應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2. pp, 50-57. | 미소장 |
28 | 上海中醫學院 主編. 方劑學. 上海. 商務印書館香港分館. 1981. pp, 98-99, | 미소장 |
29 | 五苓散의 肥滿誘導 白鼠의 肝과 副睾丸周圍의 脂肪組織, 血淸脂質 및 尿中 Hormone의 變化에 관한 硏究. 경희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8. | 미소장 |
30 | 五苓散이 肥滿誘導 흰쥐의 體重 및 血淸脂質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7. | 미소장 |
31 | 오령산과 오령산가창술이 비만 백서의 체중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32 | 양파의 섭취가 고지혈증 환자의 혈중지질과 항산화 효소체계에 미치는 영향硏究. 창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33 | 양파가 흰쥐의 식이성 고콜레스테롤 혈중 및 CCI₄독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1. | 미소장 |
34 | 양파가 흰쥐의 혈청성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1. | 미소장 |
35 | 양파,마늘,석이,영지가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사육한 토끼의 동맥경화성 병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89. | 미소장 |
36 | Study on Dietary Habit and Effect of Onion Powder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 Levels in Early Diagnosed Hyperlipidemic Patients | 소장 |
37 |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Onion on the Lipid Profiles in Patients with Hypercholesterolemia | 소장 |
38 | 다이어트 샐러드와 소스만들기. 예신. 2003. | 미소장 |
39 | 醫學入門. 서울. 成輔社. 1983. pp, 126. 382. 394. 400. 423. 452.465. 497. 505. | 미소장 |
40 | 金匱要略方論. 서울. 成輔社. 1985. pp, 21. 35. 70. | 미소장 |
41 | 中醫硏究完主編. 中醫症狀鑑別診斷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7. p, 43. | 미소장 |
42 | 張氏醫通.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0. pp, 975-977. | 미소장 |
43 | Overweight is risking fate. Definition, classification, prevalence, and risks. ![]() |
미소장 |
44 | Folia Pharmacol. Jpn., 92. 1988. pp, 175-180. | 미소장 |
45 |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by continuous-flow analysis. ![]() |
미소장 |
46 | A peroxidasecoupled method for the colorirnetric determination of serurn trig]ycerides. clbr. Gtern. 29. 1983. p, 538. | 미소장 |
47 |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serum cholesterol in high- and low-density lipoproteins with use of heparin, Ca2+, and an anion-exchange resin. ![]() |
미소장 |
48 |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 |
미소장 |
49 | Lipid peroxidation in & medicine. Aca-demic Press New York 3. 1982. p, 223. | 미소장 |
50 | 1988: How well will the alliance cope? ![]() |
미소장 |
51 | Superoxide dismutase and the oxygen enhancement of radiation lethality ![]() |
미소장 |
52 |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 |
미소장 |
53 | Age-related changes in oxidized proteins. ![]() |
미소장 |
54 | Reevaluation of assay methods and establishment of kit for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 |
미소장 |
55 | (Ed), method in enzymology, Academic pres, Orlando, 105: 1984. pp, 121-126. | 미소장 |
56 |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 |
미소장 |
57 | J. Biol. Chem. 193. 1951. pp, 265–275. | 미소장 |
58 | Effects of spice added natto supplementation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1995. pp, 121-126. | 미소장 |
59 | Effect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extracts on the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997. pp, 327-333. | 미소장 |
60 | Role of oxidative stress in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diabetes. ![]() |
미소장 |
61 |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 1995. pp, 357-363. | 미소장 |
62 | A Remarkable Antioxidation Effect of Natural Phenol Derivatives on the Autoxidation of γ-Irradiated Methyl Linoleate ![]() |
미소장 |
63 | Constituent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from Galla Rhois (Rhus javanica Linne) | 소장 |
64 |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ull Pharm 18: 1995. pp, 162-166. | 미소장 |
65 | Antioxidant vitamins and disease prevention. Food Technol 48: 1994. p, 80. | 미소장 |
66 | Functional food. Food Sci Industry 30: 1997. pp, 14-21. | 미소장 |
67 | Metabolic syndrome. Korean Diabetes Journal 7: 2006. pp,37-44. | 미소장 |
68 | Lipoproteins and homocysteine in post-menopausal women ![]() |
미소장 |
69 | Effects of aging and dietary restriction on free radical generation and GSH/GSSG level in rat testis. J Gerontol 7: 1997. pp, 92-97. | 미소장 |
70 | 全國韓醫科大學 再活醫學科學敎室. 東醫再活醫學科學. 서울. 書苑堂. 1995. pp, 473-7. 570-6. 581-2. | 미소장 |
71 | 丹溪心法附餘. 서울. 大星文化社. 1982. pp, 66-67. 70. 156. 302. | 미소장 |
72 | 石室秘錄. 서울. 大星文化社. 1993. p, 98. | 미소장 |
73 | 劉河間傷寒三六書. 서울. 成輔社. 1976. p, 282. | 미소장 |
74 | 東垣十種醫學脾胃論. 서울. 大星文化社. 1983. pp, 70-1. | 미소장 |
75 | 醫宗必讀. 臺南. 종합출판사. 1976. p, 10. | 미소장 |
76 | 傷寒論.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1. pp, 155-163. | 미소장 |
77 | 六科準繩(傷寒證治). 臺北. 翰成社. 1982. p,126. | 미소장 |
78 | the origin of lipid accumulated in the liver lysosomes after administration of triton WR-1339. J. Biochem., 92, 1982. pp, 1585-1590. | 미소장 |
79 | Effect of dietary fish oil on the rate of VLDL, triacyglycerol formation and on the metabolism of chylomicrons, Lipid, 27. 1992. pp,326-330. | 미소장 |
80 | Triton WR-1339 induced charges in serum lipids and biliary lipid secretion. Am. J. Physiol., 254. 1988. pp, 346-354. | 미소장 |
81 | A Ca2+-Activated Channel from Xenopus laevis Oocyte Membranes Reconstituted into Planar Bilayers ![]() |
미소장 |
82 | Effect of various isoflavones on lipid levels in Triton-treated rats ![]() |
미소장 |
83 | 태음조위탕 전탕액이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84 | Effects of Taeyeumjowee-tang on Loss in Body Weight, Plasma Lipids and UCP I Revelation of Fated White Rats | 소장 |
85 | Anorexigenic Effect of Taeyeumjowui-tang(Taiyintiaowei-tang) in Obese Zucker Rat | 소장 |
86 | 태음조위탕 및 가감방의 비만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 소장 |
87 | 태음인 가미조위탕의 비만억제활성 및 기전에 관한 연구 | 소장 |
88 | Effects of triton WR-1339 and heparin on the transfer of surface lipids from triglyceride rich emulsions to HDL in rats. Lipid. 25: 1990. pp, 701-705. | 미소장 |
89 |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A genetic regulatory defect in cholesterol metabolism ![]() |
미소장 |
90 | The evidence for the antiatherogenicity of high density lipoprotein in man. Lipid. 13: 1978. p, 914. | 미소장 |
91 | Effect of some free radical scavengers on reperfusion induced arrhythmias in the isolated rat heart ![]() |
미소장 |
92 | Tissue injury by free radicals and other toxic oxygen metabolites. ![]() |
미소장 |
93 | The oxygen free radical system: Potential mediator of myocardial injury ![]() |
미소장 |
94 | Reaction mechanisms in the radiolysis of peptides, polypeptides, and proteins ![]() |
미소장 |
95 | Biochemistry of inflammatory processes and vascular injury. Role of neutrophils: a review.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