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초록 10
제I장 여는말 13
1. 연구 동기와 의의 및 목적 19
2. 연구 주제 31
3. 연구 방법론 34
1)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 35
2) 현상학적 관점과 해석학적 관점 41
3) 전기 연구 46
4) Denzin의 해석적 전기interpretive biography 연구방법론 47
4. 연구 설계와 절차 53
5. 연구 타당성 확보를 위한 방안 56
제II장 무아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의 생애 58
1. 역사적 배경과 시대 상황 59
2. 어린 시절과 가족들(1900~1916) 68
3. 신학교 생활(1917~1930) 102
4. 회심과 대 전환(1918) 119
5. 자유인, 사제로서의 삶(1930~1954) 140
6. 본당 사목자로서의 삶 (1930년~ 1955년) 180
7.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창설(1946) 193
8.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창설(1953)과 수도 사제로서의 삶 228
9. 신비(神秘) 체험: 하느님과의 합일 250
10. 인생의 맛과 멋을 즐기는 수도자 259
11. 무아 방유룡 신부가 좋아한 성인(聖人)들 304
12. 무아 방유룡 신부의 성격과 상징 312
13. 영성 지도를 위한 담화 모임과 만남의 은총 324
14. 아름다운 노년 ‘면형무아’의 삶(1980~1986) 359
15. 통합의 천재, 대 신비 영성가 375
제III장 무아 방유룡 신부의 ‘통합 신비’ 영성의 빛깔과 특징 378
1. ‘통합 신비’ 영성 392
2. 인간의 몸에 대한 방유룡 신부의 관점 404
3. 점성(點性) 정신 406
4. 침묵(沈默) 수련 415
1) 육신 내(內)적 침묵 420
2) 육신 외(外)적 침묵 (동작 침묵) 420
3) 영적(靈的) 침묵 421
5. 대월 관상(對越觀想) 425
6. 면형무아(麵形無我) 436
7. 면형 사제와 면형 제사 442
8. 무아 방유룡 신부의 신비 세계와 신비 체험 446
9. 순교 정신과 면형무아(麵形無我) 영성 452
10. 무아 방유룡 신부 영성의 특징 456
11. Wilber의 AQAL, IOS 통합모형으로 조명한 무아의 통합 신비 영성모형 480
제IV장 통합 신비 영성의 심리학적 함의 496
1. 무아 방유룡 신부 인간관의 자아초월 심리학적 함의 497
자아초월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인간 정체성 497
무아 방유룡 신부의 인간관 504
‘피조물’이라는 인간 정체성의 심리학적 함의 510
불신감과 의존성의 심리적 문제와 믿음 514
2. 통합 신비 영성의 심리학적 인성 발달론 520
3. 점성정신의 심리학적 조명 535
4. 침묵수련의 심리학적 조명 552
5. 고통의 신비의 심리학적 의미 587
6. 대월 관상과 사랑의 심리학 602
7. 면형무아 심리학 629
제V장 맺음말: 동방의 빛 645
참고문헌 665
논문을 마치며 686
부록 694
1. 무아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 사진 694
2. 방유룡 신부 생애 연표 694
3. 방유룡 신부가 작사 작곡한 노래 1편 694
4. 한국순교복자수녀회와 성직수도회의 창설자 무아 방유룡 694
5. 인터뷰 평정서 12장 694
ABSTRACT 701
〈그림 1〉 Wilber AQAL 483
이 연구의 목적은 무아(無我)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의 실제 인물됨과 생애사적 삶 그리고 영성을 이해하고 발견하며, 새로운 해석적 시각을 제시하는 데 있다. 무아 방유룡 신부의 실제적인 삶의 자취들을 발굴하고 그의 평범한 일상들 안에서 풍기는 인간적 면모와 성품 그리고 그의 의식 세계와 영성 세계를 심층 탐구하였다.
연구 방법론은 질적 연구의 틀 안에서 Denzin의 해석적 전기 연구 방법론을 따랐으며, 방유룡 신부의 영성을 현상학적 해석학적 관점으로 심층 탐구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연구자의 해석적 시각과 직관을 중요하게 다루며 동시에 끊임없는 성찰을 통하여 편향에서 벗어나려는 연구자의 성실성과 진실성을 요구한다. 이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몇 가지 장치를 마련하였고 이를 준수하도록 노력하였다. 연구를 위한 1차 자료는 인터뷰와 문헌 자료 그리고 사진 등을 이용하였다.
무아 방유룡 신부는 서양 그리스도교의 영성과 동양의 유불선(儒佛仙) 정신문화를 접목하였으며, 동양 영성의 부족한 면과 서양 영성의 부족한 면을 보완했다. 그의 영성은 지난 세기 그리스도교 영성가들의 한계였던, 심리학적 인성적 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인성의 증진과 통합을 철저하게 다루었으며, 그 도구로서의 수행적 차원과 심리학적 차원 그리고 영적신비 차원을 하나로 묶었다. 그는 통합 신비 영성모형을 제시하여 인성의 발달적 측면뿐만 아니라 신비적 차원에서도 정교한 발달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는 진리를 위해 목숨을 바쳤던 선각자들, 한국 순교자들의 숭고한 얼을 계승하여 그들의 영성을 더욱 풍부하게 발전시킨 영성가로뿐만 아니라 신적 합일로 면형무아의 정점에 도달한, 한국 그리스도 교회의 최초의 신비가로서, 토착화의 선구자로서, 전례 개혁자로서, 다섯 종류의 수도회인 한국순교복자 대 가족 공동체의 창설자로서, 세계 영성사에 우뚝 선 존재다. 무아 방유룡 신부의 통합 신비 영성은 앞으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인에게도 영적 생명을 풍부하게 나누어 줄 수 있는 영성이라고 당당하게 주장할 수 있다. 방유룡 신부의 영성은 동방의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밝아 오는 여명의 빛이 될 것이다. 그의 영성은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탁월함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영성은 동양과 서양을 통합하고 심리학과 영성을 통합하며, 일상과 신비를 통합하고, 영성과 예술을 통합한 통합 신비 영성이다. 그의 영성은 영적 갈증을 가진 사람이면 누구나 마실 수 있는 샘물이며, 동양 사람이든 서양 사람이든 모두가 먹을 수 있는 생명나무의 열매이며, ‘면형무아’ 빵이다.
무아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는 유불선 문화가 낳은 대 영성가이다. 우리는 하루빨리 서양 신학에 의존하는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방유룡 신부의 영성은 숨겨진 대 광맥과도 같다. 그가 살아 있을 때, 그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으며, 아직도 그는 알려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영성을 널리 알려서, 영성을 갈망하는 이들의 영적 갈증을 풀어 주고, 훌륭한 우리 민족의 얼을 다시금 고양시키고자 하는 데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무아 방유룡 신부의 해석적 전기 연구와 그의 영성을 심리학적 시각으로 조명한 것은 이 연구가 처음이며, 이 연구의 의의라고 생각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가톨릭 통합사목연구소(2007). 미래 한국사회와 가톨릭교회. 제 7차연구발표회 논문집. | 미소장 |
2 | (1992). 기독교 신비주의 철학. 서울: 철학과 현실사. | 미소장 |
3 | (2000).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신비 사상연구. 한신대학교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 | 게슈탈트 심리치료와 위빠사나 선(禪)의 상보성(相補性) | 소장 |
5 | (2000). 동방 그리스도교 영성 안에서 본 무아영성. 면형무아제 1회 영성 학술회의 기념 논문집, 27-49, 서울: 가톨릭 출판사. | 미소장 |
6 | (2007). 신비주의. 파주: 살림출판. | 미소장 |
7 | (2003). 마이스터 엑카르트의 영성 사상. 왜관: 분도출판사. | 미소장 |
8 | (1997). 만해시의 해석학적 고찰. 현대문학의 연구, 제 9집, 387-420. | 미소장 |
9 | (2000). 무아 방유룡 신부의 영가 안에 나타난 양심 불에 관한 고찰. 면형무아 제1회 영성학술회의 기념 논문집, 51-83,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10 | 불교 유식설(唯識說)과 대상관계(對象關係) 이론과의 비교연구 | 소장 |
11 | (2000). HTP와 KHTP 심리 진단법. 대구: 도서출판 동아문화사. | 미소장 |
12 | (2004). 자기에 관한 연구: 선학과 Jung 심리학의 비교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철학과 석사학위 청구 논문. | 미소장 |
13 | (2003). 켄 Wilber의 초인격심리학과 한국무속. 한국무속학제6집, 233-252. | 미소장 |
14 | (1998). 함석헌 생애와 사상연구. 영국 쉐필드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5 | (1999). 세계 교회사 1. 서울: 바오로딸 출판사. | 미소장 |
16 | The Analysis on New Dance in the viewpoint of Song-Bum`s Life History | 소장 |
17 | (2003). 무아의 향기. 서울: 도서출판 형제애. | 미소장 |
18 | Methodic Issues in Qualitatitive / Postpositivist Research | 소장 |
19 | 질적 연구에 있어서의 글쓰기 | 소장 |
20 | (2006). 식민시대 재일조선인운동 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 미소장 |
21 | Gestalt Therapy approach to anxiety disorders integrating Mindfulness medita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소장 |
22 | (2000). 게슈탈트 심리치료.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23 | Comparison between Structuralistic Psychology and Vipassan? Meditation of Buddhism ![]() |
미소장 |
24 | (1987). 성경이해의 길잡이 1(구약편). 서울: 계성출판사. | 미소장 |
25 | (2004). 심층심리와 기독교 영성.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 미소장 |
26 | A comparative analysis of validity issues in qualitative research | 소장 |
27 | (1969). 나의 회상록.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28 | (1988). 가톨릭과 조선후기 사회변동. 서울: 고대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 미소장 |
29 | 면형무아 (2001). 무아 방유룡 레오 안드레아 신부 탄생 100주년 기념 화보집. 왜관: 분도출판사. | 미소장 |
30 | 무아 방유룡 안드레아 신부 영성연구소 (2000). 제 1회 무아 방유룡 신부의 영성 학술회의 기념 논문. | 미소장 |
31 | (1994). 민족과 함께 쓰는 한국천주교회사 1. 서울: 도서출판 빛두레. | 미소장 |
32 | (1994). 한국천주교회사 1. 서울: 도서출판 빛두레. | 미소장 |
33 | (1989). 구약성서 입문. 서울: 샬뜨르 성 바오로수녀회 교육관. | 미소장 |
34 | 진·선·미 : 켄 윌버의 통합적 진리관에 대한 소고 | 소장 |
35 | (2006). 영성의 샘 인터뷰 기사. 2006. 10. 17. 김귀춘 기자취재. | 미소장 |
36 | (1975). 경향잡지 통권 1290호(8), 서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 미소장 |
37 | (1980). 영혼의 빛. (김옥희 편) 서울: 도서 출판 순교의 맥. | 미소장 |
38 | (2003). 영혼의 빛; A song by the soul who accepted 영문판. (김달영 역). 서울: 도서출판 형제애. | 미소장 |
39 | (2003). 사랑이 사랑을 위하여. 서울: 도서출판 형제애. | 미소장 |
40 | (2007). 영성사. 서울: 바오로딸 출판사. | 미소장 |
41 | (1977). 공동번역 신약성서. 서울: 대한 성서공회 발행. | 미소장 |
42 | (2007). 황홀한 초록빛. 서울: 프란치스코 출판사. | 미소장 |
43 | (2000). 제삼천년기의 한국교회와 신학. 서울: 바오로딸 출판 | 미소장 |
44 | 토마스 베리의 생태신학 소고 | 소장 |
45 | (2001). 한국천주교 사회복지사.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46 | (2005). T. S. 엘리엇 시의 Jung 심리학적 분석-동시성 이론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대학원 영어영문학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47 | (2005). 질적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48 | 자기실현과 자기비움 ![]() |
미소장 |
49 | (1993). 신비주의자들과 그 사상. 서울: 은성 | 미소장 |
50 | (1996). 불교의 空에 대한 케노시스 신학의 조명. 한신대학교신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 미소장 |
51 | The Experience of Spirituality | 소장 |
52 | (1987). 한국천주교회사 상 · 하.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53 | 초개인심리학과 유식학의 비교연구 | 소장 |
54 | (2004).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르케. | 미소장 |
55 | (1954). 6. 25 동란의 체험담. 경향잡지 제 46권 1월~10월, (제 10회분), 서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 미소장 |
56 | (1972). 복자수녀원과 순교자 현양회와 나. 서울: 한국복자수녀회. | 미소장 |
57 | 金春洙 詩의 現象學的 연구 | 소장 |
58 | 리지외의 성녀 데레사를 통해 살펴본 신비주의의 일상성 | 소장 |
59 | A Study on Wholistic Spiritual Education and Spirituality of Pierre Teilhard de Chardin | 소장 |
60 | Empirical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life story | 소장 |
61 | (1999). 그림자. 서울: 한길사. | 미소장 |
62 | (2006). 자기와 자기실현. 서울: 한길사. | 미소장 |
63 | (2006). 아니마와 아니무스. 서울: 한길사. | 미소장 |
64 | (2007).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 미소장 |
65 | (2006). 면형무아의 길. 서울: 도서출판 순교의 맥. | 미소장 |
66 | (1994, 1995). 면형무아의 삶: 한국순교복자수도회 창설자 무아 방유룡 신부의 영성. 영성생활, 제 9호, 61-70. | 미소장 |
67 | (2004). 성서의 인물을 통해서 본 C. G. Jung의 개성화 과정.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목회와 상담 전공 석사학위 청구 논문. | 미소장 |
68 | (2002). 한국인의 종교심성과 면형무아.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69 | (2002). 무아(無我) 방유룡 신부. 들숨날숨 34(2), 12-15. | 미소장 |
70 | Christo-therapy: A Spiritual-Psychological Synthesis ![]() |
미소장 |
71 | 명상이 신경증 환자들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72 | (2005). Jung심리학과 동양사상. 서울: 하나의학사. | 미소장 |
73 | (2005). 고대신화와 신비주의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74 | (1999). 무아 방유룡 신부의 토착화 영성 사상. 서강대학교수도자대학원 신학과 석사학위 청구 논문. | 미소장 |
75 | (1999)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생활에 관한 현상학적 이해. 한국초등교육학회, 1-54. | 미소장 |
76 | (1995). 신비주의의 인간 이해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철학교육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77 | 심리치료에서의 종교와 하나님표상에의 접근 :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 소장 |
78 | 자식을 잃은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연구 :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 적용 | 소장 |
79 | (2002). 노사제가 만화로 남기는 신학교 이야기들.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80 | (1986). 6. 25동란 피난기.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81 | (1986). 일제공산치하의 사목생활.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82 | (2000). 이상심리학. 서울: 법문사. | 미소장 |
83 | 이용도의 꿈과 환상체험에 대한 융 심리학적 분석 | 소장 |
84 | (2000.) 명상을 통한 자기 치유. 인문연구집 (39), 255-283. | 미소장 |
85 | (2005). 그리스도 영성역사 1권, 2권.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86 | 상담과 설교의 통합 방안 | 소장 |
87 | 노숙자를 위한 만다라 미술치료 체험연구 | 소장 |
88 | 완덕의 길에서 복자회 창설자 무아 방유룡(안드레아)신부의 침묵대월과 십자가의 성 요한의 밤의 비교 | 소장 |
89 | (2003). 역경의 심리학. 서울: 나노미디어. | 미소장 |
90 | (2003).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서울: 대왕사. | 미소장 |
91 | (2000). 성 이냐시오의 영신수련과 무아 방 신부님의 영성에관한 비교. 면형무아: 제1회 영성 학술회의 기념 논문집, 85-119. | 미소장 |
92 | (2000). 불교의 무아설과 Jung의 자기실현 비교고찰. 종교교육학연구 15집, 321-337. | 미소장 |
93 | (1988). 조선후기 천주교회사 연구. 서울: 고대민족문화연구소 출판부. | 미소장 |
94 | (2000). 원죄론. 서울: 가톨릭 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95 | (2007). 원효의 일미관행과 트랜스퍼스널. 철학연구제102, 343-369. | 미소장 |
96 | (1997). 서양 중세철학의 신비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철학과 석사학위 청구 논문. | 미소장 |
97 |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 소장 |
98 | (2005). 영성과 심리상담.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99 | 기독교 영성과 윤동주의 시 ![]() |
미소장 |
100 | (2006). Wilber의 AQAL 매트릭스 메타이론에 의한 氣스펙트럼적 통합기론의 기초. 한국정신과학학회지 10(2), 1-32. | 미소장 |
101 | 相補的 통합적 生命 인식 | 소장 |
102 | (2008). 의식. 영성. 자아초월 그리고 상보적 통합. 서울: 도서출판 학수림. | 미소장 |
103 | 보나벤투라의 신비주의의 삼중적 구조와 신비주의로의 이성의 통합 | 소장 |
104 | (2003). 현대 사회 윤리 연구. 서울: 도서출판 울력. | 미소장 |
105 | (2005). 21세기 종교 환경. 서울: 미래사목연구소 발행. | 미소장 |
106 | (2000). 창설 신부님 영성연구와 동양사상. 면형무아 제 1회 영성 학술회의 기념논문집, 17-49. 서울: 가톨릭출판사. | 미소장 |
107 | (2003).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생애와 사상. 영남신학대학교신학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108 | (2007). 챠크라, 데레사의 기도 7단계 및 Jung의 개별화 과정에서의 영적 발달 비교. 창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청구 논문. | 미소장 |
109 | 질적 연구의 철학적 배경 | 소장 |
110 | 종교 수행 과정에 나타난 마음의 발달과 그 교육학적 해석 : 원불교 수행자에 관한 생애사적 사례 연구 | 소장 |
111 | (2004). 무아 방유룡 신부의 영성과 점성정신. 종교교육학연구, 1(19), 223-246. | 미소장 |
112 | The Education of Man and Norm in Fr. Andrew Yoo-ryong Bang | 소장 |
113 | 자아(Self)의 영적 여정 : 토마스 머튼과 융을 중심으로 | 소장 |
114 | (1994). 창설자 방유룡 신부의 영가(靈歌)에 나타난 면형무아(聖體神秘)에 대한 고찰. 가톨릭대학교 신학부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15 | (2003). 삶과 거룩함. (남재의 역) 서울: 생활성서사. | 미소장 |
116 | (1968). 묵상의 능력. (윤종석 역) 서울: 두란노 출판. | 미소장 |
117 |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00). 제삼천년기와 한국교회 복음화 진로 II. 제 15차 학술회의 자료집. | 미소장 |
118 |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08). 생태위기와 종교적 대안: 그리스도교와 불교와의 대화. 제 30차 학술회의 자료집. 새천년복음화 사도회 발간. | 미소장 |
119 |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50년사 (2003). 서울: 도서출판 형제애. | 미소장 |
120 | 한국순교복자수녀회 50년사를 위한 미발표 원고들 (옥잠화를 포함한) 과 중요기록부. | 미소장 |
121 | 한국순교복자수녀회 회헌 (2001)과 기타 문서들. | 미소장 |
122 | 한국순교복자수녀원 (1985~2007). 순교의 맥. (총 32권) 서울: 도서출판 교의 맥. | 미소장 |
123 | 한국신학연구소 성서교재위원회 (1992). 함께 읽는 구약성서.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 미소장 |
124 | 한국 종교문화와 그리스도 (1996). 한국문화신학회 편 1집. 서울: 도서출판 한들. | 미소장 |
125 | (2008). 가톨릭교회와 생태복음화 패러다임과 모델연구. 하남: 두물머리미디어. | 미소장 |
126 | 자존감, 대인관계능력, 적응유연성, 생활만족도와 하나님 이미지간의 관계 : H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 소장 |
127 | (2003). 정신통합[Psychosynthesis] (김민예숙 역). 울산: 춘해대학 출판부. (원전 1965). | 미소장 |
128 | (2007). 가톨릭 전통과 그리스도교 영성[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Catholic tradition] (이홍근 · 이영희 역). 왜관: 분도출판사 (원전 1985). | 미소장 |
129 | (2006). 만족[Satisfaction]. (권준수 역). 서울: 북섬.(원전 2005). | 미소장 |
130 | (1994).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1. 2[Meister Eckhart]. (이민재 역). 서울: 다산글방. (원전 1941). | 미소장 |
131 | (2006). 자아초월 정신치료[Transpersonal psychotherapy]. (정성덕 역 외 10). 서울: 중앙문화사. (원전 1997). | 미소장 |
132 | (2005). 자아초월적 정신치료 사례분석집[Clinical studies in transpersonal psychotherapy]. (정성덕 · 김익창 역). 서울: 하나 의학사. (원전 1997). | 미소장 |
133 | (1999). 초월적 세계를 향한 관념의 역사[Mysticism] (강주헌 역). 서울: 예문 출판사. (원전 1999). | 미소장 |
134 | Experiencing tears of wonder-joy: Seeing with the heart's eye ![]() |
미소장 |
135 | (2006). Buddha 수행법. 김해: 무량수. | 미소장 |
136 | (2006). 십자가의 성 요한의 영성. (서울 가르멜 여자 수도원 옮김). 서울: 가톨릭출판 (원전 1981). | 미소장 |
137 | (1996) The treatment techniqes of Harry Stack Sullivan. New York: Brunner/Mazel, Publishers. | 미소장 |
138 | (1984). Jung의 심리학과 기독교[Jung and Christianity]. (이기춘. 김성민 역). 서울: 대한 기독교출판사. (원전 1982). | 미소장 |
139 | (2001).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merica: Brooks/ Cole. | 미소장 |
140 | (1998).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조현춘· 조현재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 1991). | 미소장 |
141 | (2005). 질적 연구 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조흥식 외 4인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 1998). | 미소장 |
142 | (1989). 울타리와 공간[Boundary and space] (이재훈 역). 서울:한국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1981). | 미소장 |
143 | (1989). Interpretive biography. London: SAGE Publications. | 미소장 |
144 | (2004). 예술심리학[Invented worlds the psychology of the arts]. (이모영, 이재준 역) 서울: 학지사 (원전 1982). | 미소장 |
145 | (1995). Thoughts without a thinker. New York: Basic Books. | 미소장 |
146 | (1982). The life cycle competed. New York: W.W. Norton. | 미소장 |
147 | (1996). Harry Stack Sulliv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148 | (2006). 마이스터 엑카르트는 이렇게 말했다[Passion for creation]. (김순헌 역). 왜관: 분도출판사. (원전 1991). | 미소장 |
149 | (2001). 떼이야르 드 샤르댕의 신학사상 [Teihard de Chardin's Theology of the christian in the world] (이홍근 역) 왜관: 분도출판사 (원전 1967). | 미소장 |
150 | (2002). 죽음의 수용소에서[Man's search for meaning]. 서울: 청아출판사. (원전 1978). | 미소장 |
151 | (1986). Focusing-oriented psychotherapy. New York, London: The Guilford Press. | 미소장 |
152 | 구약성서입문1 [성염 역].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원전 1978). | 미소장 |
153 | (1988). 근대교회사[The story of Christianity]. (서영일 역). 서울: 은성. | 미소장 |
154 | (1999).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Object relations psychoanalytic theory]. (이재훈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 1983). | 미소장 |
155 | (1999). 심리학과 영성[Spiritual passages: The psychology of spiritual development] (김동철 역) 서울. 성바오로 출판. (원전 1983). | 미소장 |
156 | (2008). 심리치료에서 대상관계와 자아기능[The self and ego in psychotherapy]. (김진숙· 김창대· 이지연· 윤숙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전 1996). | 미소장 |
157 | (1990). City of discontent: An interpretive biography of Vachel Lindsay. New York: Second Chance Press. | 미소장 |
158 | (2005). Charlie Siringo's West: An interpretive biography.Albuquerqu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 미소장 |
159 | (2008). 셀프 심리학[Whose life are you living]. (이한기 역). 서울: 다산초당. (원전 2006). | 미소장 |
160 | (1996). 신비의 지식, 그노시즘[Les Gnostiques]. (황준성 역). 서울: 문학동네. | 미소장 |
161 | (1973). The living Buddha: An interpretive biography. New york: Weatherhill. | 미소장 |
162 | (2008). 욕망의 발견[On desire]. (윤희기 역). 서울: 까치글방. (원전 2006). | 미소장 |
163 | (2006). 마음을 해방하기-Jung 심리학과 영성 [Liberating the heart: Spirutuality and Jungian psychology] (심상영 역). 서울: 한국심층심리연구소. (원전 1990). | 미소장 |
164 | (2005). 종교체험의 여러 모습들[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s]. (김성민· 정지련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원전 1902). | 미소장 |
165 | (2003). 인간과 무의식의 상징[Man and his symbols] (이부영 외역). 서울: 집문당. (원전 1964). | 미소장 |
166 | (1995). 심리학과 종교[Psychology & religion] (이은봉 역). 서울: 도서출판 창. (원전 1937). | 미소장 |
167 | The analysis of the zero-order and the second derivative spectra of retinol acetate, tocopherol acetate and coenzyme Q10 and estimation of their analytical usefulness for their simultaneous determination in synthetic mixtures and pharmaceuticals ![]() |
미소장 |
168 | (2006)). 마음의 숲을 거닐다[A path with heart]. (이현철 역). 서울: 한언. (원전 1993). | 미소장 |
169 | (2003). Freud와 신(神)의 문제[Freud and the problem of God] (손진욱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1987). | 미소장 |
170 | A Comparative study of the experience of the numinous : Che-U Ch'oe, C.G. Jung, and Paul Tillich | 소장 |
171 | (1998). Casebook in family therapy. Washington: An Institutional Thomson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172 | (2003). Interpretive biographies of three indigenous bishops from oceania. Dissertation of Doctor of Philosophy. Gonzaga University. | 미소장 |
173 | (1995). Time-limited dynamic psychotherapy. New York: Basic Books. | 미소장 |
174 | (2003). 내 삶을 변화시키는 치유의 8단계[Healing the eight stages of life] (김종오역). 서울: 생활성서 (1988). | 미소장 |
175 | (2000). Life stories of artist Corita Kent (1918-1986): Her spirit, her art, the woman within. Dissertation of Doctor of Philosophy. Gonzaga University. | 미소장 |
176 | (2000). 서방 기독교 신비주의의 역사. [The foundations of mysticism] (방성규· 엄성옥 역). 서울: 은성 (원전 1990). | 미소장 |
177 | (2002). Koinonia as a development paradigm of siberation : An interpretive biography of Eglantyne Jebb. Regent University College of Communication and the Arts. Doctor of Philosophy in Communication. | 미소장 |
178 | (1987). 몸에 밴 어린 시절[Your inner child of the past] (이종범 · 이석규 역). 서울: 가톨릭교리신학원. | 미소장 |
179 | (2008). 중독의 심리학[The addictive personality] (오혜경 역). 서 : 웅진지식하우스 (원전 1996). | 미소장 |
180 | (2005.) 카발라[Kabbalah](조하선 역). 서울: 물병자리. (원전 1978). | 미소장 |
181 | (1999). A spiritual strategy for counseling and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미소장 |
182 | (1997, 1999). A spiritual strategy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미소장 |
183 | Narrative Analysis ![]() |
미소장 |
184 | (1997) 상담과 심리치료[Counseling and psychology] (김기석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원전 1942). | 미소장 |
185 | (1983). 엔카운터 그룹[Encounter groups, harper and row] (한국인성개발연구원 역). 서울: 도서출판 한국인성 개발. (원전 1970). | 미소장 |
186 | (2007).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 창조적 연결[The creative connection; Expressive arts as healing]. (이정명· 전미향 · 전태옥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 1993). | 미소장 |
187 | St. John of the Cross (1973) 영적찬가[Declaracion]. (박병해 역). 서울: 도서출판 만남. (1570 년경). | 미소장 |
188 | St. John of the Cross. (1971). 가르멜의 산길[Subida del monte carmelo]. (최민순 역). 서울: 성바오로출판사. (원전 1570년 경). | 미소장 |
189 | St. John of the Cross. (1973) 어둔밤[The dark night of the soul]. (최민순 역) 서울: 성 바오로출판사. (원전 1570년경). | 미소장 |
190 | St. Theresa of Avila. (1992). 완덕의 길. (최민순 역) 서울: 바오로 딸. (원전 16세기). | 미소장 |
191 | St. Theresa of Avila. (1993). 영혼의 성. (최민순 역) 사울: 바오로 딸 (원전 16세기). | 미소장 |
192 | (1988). 아동기 감정양식[Childhood emotional pattern]. (이근후 · 박영숙 · 문홍세 역). 서울: 하나 의학사. | 미소장 |
193 | (2006). 빠딴잘리의 요가 쑤뜨라[The yoga sturas of patanjali] (김순금 역). 서울: 동문선. | 미소장 |
194 | (2002) 대상관계 개인치료 I, II : 이론[Object relations individual therapy].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 1988). | 미소장 |
195 | (2002). 하인즈 코헛과 자기 심리학[Heinz Kohut and the psychology of the self]. (권명수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 1996). | 미소장 |
196 | (1999).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 (이재훈 역). 서 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 미소장 |
197 | (1996). Textbook of transpersonal psychiatry and psychology. New York: BASIC BOOK. | 미소장 |
198 | (2004). Yoga and psychotherapy. Honesdale, Pennsylvania: USA Himalayan Institute. | 미소장 |
199 | (1999). 수덕신비 신학1권, 2권.[Precis de theologie ascetique et mystique]. (정대식 역). 서울: 가톨릭 크리스챤 출판 (원전 1923, 1924). | 미소장 |
200 | (1999). Shadow culture: Psychology and spirituality in America. Washington, DC: Counterpoint. | 미소장 |
201 | (1997). A psychology of spiritual healing. Wester Chester: Chrysalis. | 미소장 |
202 | (1990). Mysticism. New York: IMAGE BOOK. | 미소장 |
203 | (1994). 실천적 신비주의[Practical Mysticism]. (최대형 역) 서울: 은성. (원전 1915). | 미소장 |
204 | (2001). 유럽의 신비주의[Europaische mystik]. (조원규 역). 고양: 도서출판. (원전1995). | 미소장 |
205 | (1994). 동양의 명상과 서양의 심리학[The meeting of the ways]. (박희준 역). 서울: 범양사출판부. | 미소장 |
206 | (1983). 심리치료와 명상[Awakening the heart]. (최해림 역). 서울: 범양사. | 미소장 |
207 | (2008) 켄 Wilber의 통합 비전[The integral vision]. (정창영 역). 서울: 물병자리. (원전 2007). | 미소장 |
208 | (2008) 통합심리학[Integra psychology]. (조옥경 역). 서울: 학지사 (원전 2000). | 미소장 |
209 | (2006). 의식의 스펙트럼[The spectrum of consciousness] (박정숙 역). 서울: 범양사 (1977). | 미소장 |
210 | (2005). 모든 것의 역사[A theory of everything]. (조효남 역). 서울: 대원출판 (원전 1996). | 미소장 |
211 | (2004). 아이 투 아이[Eye to eye]. (김철수 역). 서울: 대원출판 (원전 1983). | 미소장 |
212 | (2005). 무경계[No boundary]. (김철수 역). 서울: 도서출판 무수. (원전 1979, 2001). | 미소장 |
213 | (2006). Integral spirituality. Boston & London: Integral books. | 미소장 |
214 | (2000). Integral psychology ;Consciousness, spirit, psychology, therapy Boston & London: Shambhala. | 미소장 |
215 | (2000). 감각과 영혼의 만남[The marriage of sense and soul] (조효남 역). 서울: 범양사출판부. (원저 1998). | 미소장 |
216 | (1998). Transpersonal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London: SAGE Publication. | 미소장 |
217 | (1998). 그림 놀이를 통한 어린이 심리치료 [Therapeutic consolation in child psychiatry].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 1971). | 미소장 |
218 | 무지의 구름[The cloud of unknowing] (성찬성 역). 서울: 바오로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