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 에너지 분야 국가기술자격을 중심으로 / 이재근 인기도
발행사항
시흥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09.2
청구기호
TD 333.79 -9-1
형태사항
xii, 19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10355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에너지정책, 2009.2. 지도교수: 강승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감사의 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8

제1절 연구의 배경 18

제2절 선행연구와 한계점 19

제3절 연구목적과 범위설정 20

II. 에너지 산업의 개요 23

제1절 에너지 산업의 이론적 배경 23

1-1. 경제성장을 위한 인적자본과 기술진보 23

1-2. 에너지 인력수급 불균형 원인과 해결 34

제2절 에너지 산업 개념과 특징 37

2-1. 에너지의 개념 37

2-2. 에너지의 특징 39

제3절 에너지 산업 현황과 전망 41

3-1. 에너지 수급 부문 41

3-2. 에너지 산업 전망 49

III. 에너지 산업의 인력양성 55

제1절 주요국의 에너지 산업정책 55

1-1. 일본의 에너지 정책 55

1-2. 미국의 에너지 정책 58

1-3. 프랑스의 에너지 정책 59

제2절 국내 과학기술분야 인적자원 개발정책 63

2-1. 과학기술인력정책 현황 63

2-2. 과학기술인력정책 특징 68

제3절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 정책 71

제4절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의 문제점 77

4-1. 제도적 문제점 78

4-2. 시스템적 문제점 85

IV.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방안 89

제1절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제도개선 89

1-1.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에 의한 제도개선 89

1-2.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 활성화 94

제2절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 통합관리체계 구축 97

2-1. 국가차원의 에너지 인력양성기관 통합화 97

제3절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을 위한 전문 프로그램 도입 101

3-1. 산·학 연계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101

3-2. 전문인력 역량강화 105

3-3. 교과목 및 교재 개발 106

제4절 에너지 산업의 인력활용 증대 방안 111

4-1. 산·학 협력 시스템 강화 111

4-2. 전문인력 DB 구축 120

V. 국가기술자격 도입을 통한 인력양성 고도화 124

제1절 국가기술자격 도입을 위한 인력환경 분석 124

제2절 국가기술자격 도입과 활용 127

2-1. 국가기술자격의 개념 127

2-2. 에너지 산업 기술자격 136

2-3. 국가기술자격 도입시 효용성 분석 142

제3절 에너지 분야 국가기술자격 도입을 위한 설문조사 151

3-1. 설문조사의 목적과 내용 151

3-2. 설문조사 결과분석 152

제4절 에너지 분야 국가기술자격 신설 및 양성 167

4-1.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방안 167

4-2. 국가기술자격 도입방향 설정 176

4-3. 에너지 효율화 분야 188

4-4. 해외자원개발을 위한 전문 분야 190

4-5. 신에너지 개발 분야 193

제5절 에너지 분야 국가기술자격 도입 활용성 제고방안 194

VI. 결론 197

참고문헌 201

ABSTRACT 206

부록 209

〈표 2-1〉 한국의 경제성장과 성장요인별 증가율 33

〈표 2-2〉 신에너지 및 재생 에너지 구분 39

〈표 2-3〉 총에너지 소비 관련 주요지표 변화 42

〈표 2-4〉 1차 에너지 원별 소비추이 44

〈표 2-5〉 부문별 최종에너지 소비추이 45

〈표 2-6〉 에너지원별 소비추이 46

〈표 2-7〉 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부문별 기본방향 51

〈표 2-8〉 신에너지 산업 구분 52

〈표 3-1〉 이공계 인력지원 사업 및 예산 66

〈표 3-2〉 부처별 주요 과학기술인력 정책사업 67

〈표 3-3〉 에너지 인력양성 신규 지원분야 73

〈표 3-4〉 에너지 인력별 지원예산 규모(2008년) 74

〈표 3-5〉 세부사업별 지원현황 75

〈표 4-1〉 자원개발 주요 육성 분야(안) 93

〈표 4-2〉 인재육성을 위한 현상분석(안) 96

〈표 4-3〉 에너지 인력양성 시스템 주요과업(안) 97

〈표 4-4〉 정부의 에너지 인력양성 사업 통합운영 98

〈표 4-5〉 기초인력 양성 추가(안) 99

〈표 4-6〉 고급인력 양성 추가(안) 100

〈표 4-7〉 산업인력 양성 추가(안) 101

〈표 4-8〉 기간별·분야별 교육 프로그램 사례(안) 104

〈표 4-9〉 직급별 교육 프로그램 사례(안) 104

〈표 4-10〉 에너지 관련 DB 연계·통합의 대상 범위 123

〈표 5-1〉 에너지 관련 전공자 실업구조 (공학계열) 126

〈표 5-2〉 에너지 관련 전공자 직무 만족도 및 학력 일치도 (공학계열) 126

〈표 5-3〉 우리나라 자격의 운영 주체별 분류현황 130

〈표 5-4〉 자격의 유형별 분포 132

〈표 5-5〉 국가기술자격 등급 및 종목체계 135

〈표 5-6〉 에너지 및 관련 분야 국가기술자격 분류 137

〈표 5-7〉 에너지 분야 국가기술자격 세부현황 139

〈표 5-8〉 에너지 효율화 관련 에너지 진단 분야 자격종목 140

〈표 5-9〉 에너지 효율 분야 에너지 진단관련 자격종목별 학과 현황 예시 141

〈표 5-10〉 국가기술자격 소지자의 생산성 향상 기여 정도 143

〈표 5-11〉 국가기술자격의 기술 발전 대응 용이성 및 인력양성 지표 효과 145

〈표 5-12〉 국가기술자격 준비 과정이 교육훈련에 미치는 영향 146

〈표 5-13〉 국가기술자격이 미치는 효과 예시 147

〈표 5-14〉 전기 분야 국가기술자격 종목별 평가점수 149

〈표 5-15〉 주요 선진국별 국가주도 자격제도 개선 사례 150

〈표 5-16〉 자격제도 전반의 개선방향과 추진과제 168

〈표 5-17〉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방향과 추진과제 173

〈표 5-18〉 기술 분야 이외의 국가자격제도의 개선방향과 추진과제 175

〈표 5-19〉 에너지 부문 '녹색성장'의 5대 비전 180

〈표 5-20〉 에너지 비전을 통한 에너지 인력양성 방향설정 181

〈표 5-21〉 성별·학위별 인력양성 현황 183

〈표 5-22〉 에너지 분야별 사업비 지원 현황 184

〈표 5-23〉 에너지 분야 양성인력별 현황 185

〈표 5-24〉 에너지 자원 전문인력 수급차(2007년~2015년) 185

〈표 5-25〉 해외자원개발 분야 기존 전문기술인력 보유현황(2005년 기준) 186

〈표 5-26〉 석유개발 관련 인력추이 187

〈표 5-27〉 '에너지 진단사' 자격종목 예시 190

〈표 5-28〉 해외자원개발 분야 예상 신규소요 인력 산정(2006~2016년) 192

〈표 5-29〉 가칭 '해외자원개발 기술사' 자격종목(안) 193

〈표 5-30〉 가칭 '태양광 에너지 기사', '지열발전 기사' 자격종목(안) 194

〈그림 2-1〉 에너지원별 소비구성(2006년) 43

〈그림 2-2〉 1차 에너지 믹스 국제비교(2006년) 47

〈그림 2-3〉 1인당 GDP와 석유의존도 추이 48

〈그림 2-4〉 주요국가의 석유의존도 48

〈그림 2-5〉 선진국의 그린 에너지 산업 시장 점유율(2007년) 53

〈그림 3-1〉 이공계 인력 육성지원사업 예산의 부처별 비율 65

〈그림 3-2〉 참여정부 차세대성장동력과 신성장동력 비교 75

〈그림 3-3〉 이명박 정부 청년리더 10만 명 양성계획 76

〈그림 4-1〉 에너지 인력양성 관련 규정 및 전담기관 통합화 90

〈그림 4-2〉 에너지 인력양성 시스템(안) 95

〈그림 4-3〉 분야별·학위별 인력양성 현황(2002~2007년) 106

〈그림 4-4〉 교육기획 과정단계 108

〈그림 4-5〉 역량(competency)의 개념 정의 108

〈그림 4-6〉 직무역량 샘플[원문불량;p.93] 110

〈그림 4-7〉 리더십 역량 샘플[원문불량;p.93] 110

〈그림 4-8〉 에너지 분야 인적자원개발기구 자체 구성(안) 113

〈그림 4-9〉 정부 정보화 예산 편성안 121

〈그림 5-1〉 국가기술자격 운영체계 134

〈그림 5-2〉 설문조사 기초사항 결과 153

〈그림 5-3〉 에너지 산업 인력양성 관련 질문(1, 2, 3번 문항) 조사결과 155

〈그림 5-4〉 에너지 산업 전문인력 활용도 높이기 위한 우선 필요 방법 156

〈그림 5-5〉 에너지 효율 분야 개인 필요능력 157

〈그림 5-6〉 신재생에너지 분야 개인 필요능력 157

〈그림 5-7〉 해외자원개발 분야 개인 필요능력 158

〈그림 5-8〉 세 분야 전문교육기관 설립 및 연수교육 필요여부 158

〈그림 5-9〉 현재 에너지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인지여부 159

〈그림 5-10〉 에너지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이 에너지 인력 양성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 160

〈그림 5-11〉 에너지 관련 국가기술자격증 신설시 본인의 취득 용의 여부 160

〈그림 5-12〉 에너지 분야 국가기술자격증 도입시 효용성 관련 질문(10~13번 문항) 161

〈그림 5-13〉 자격 취득시 사후 교육 프로그램 참가여부 162

〈그림 5-14〉 자격증 취득자에게 부여될 수 있는 우대사항 선호종목 163

〈그림 5-15〉 신규 에너지 관련 자격증 신설시 우선적인 고려사항 163

〈그림 5-16〉 현재 에너지 관련 전문교육 실행방식 164

〈그림 5-17〉 향후 에너지 산업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교육 부문 우선 고려사항 여부 165

〈그림 5-18〉 에너지 분야 전문가 집단 국가기술자격 도입 관련주요 설문결과(1·2·3·8번 문항) 166

〈그림 5-19〉 정부 에너지 분야 중·장기 계획(안) 179

참고문헌 (6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에너지산업의 도전과 기회”, 에너지 위크 2005, 세미나 中 주제발표, 지식경제부, 2005. 미소장
2 “우리나라 자격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 매월노동경향, 02-10, 2002. 미소장
3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자격제도 발전방안 연구 소장
4 “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정책의 배경과 기본방향”, e-KIET 산업경제정보, 제389호, 2008. 미소장
5 “국가기술자격제도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현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미소장
6 기후정책이 온실가스 배출저감과 에너지효율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장
7 교육인적자원부,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2006~2010)”, 2006. 미소장
8 교육인적자원부, “과학기술인력 양성기본계회”, 2007. 미소장
9 “국가인적자원정책 과제개발을 위한 주요 국가 인적자원정책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4. 미소장
10 국가에너지위원회,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8~2030)”, 2008. 미소장
11 국회신재생에너지정책연구회, 2005 신⋅재생 에너지 백서, 2006. 미소장
12 “R&D 교육기획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 평가원, 2008. 미소장
13 “주요 선진국의 혁신정책 분석 및 기술혁신의 경제성장 효과 관련 이슈 정책발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7. 미소장
14 “창조적 과학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연구 시스템 혁신방안”, 정책연구, 2007-14, 2007. 미소장
15 일본의 자원·에너지 확보전략과 시사점 소장
16 산업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에너지비전, 에너지정책방향과 발전전략”, 용역 보고서, 산업자원부, 2002. 미소장
17 산업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국가 에너지⋅자원기술개발기본계획(2006~2015)”, 보도자료, 2006년 5월 18일자. 미소장
18 산업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제2차 신재생기술개발기본계획(2003~2012)”, 2003. 미소장
19 산업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자원 R&D 주요통계”, 2007. 미소장
20 산업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 “동북아 에너지 협력 연구 -해외자원개발 전략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정책연구용역 보고서, 2006. 미소장
21 “국가기술자격의 효과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미소장
22 “우리나라 자격제도의 개편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미소장
23 “에너지 부문 전문인력의 효율적인 확보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98-09, 에너지경제연구원, 1998. 미소장
24 “국가기술자격 효용성 평가체계 구축”, 위탁연구 보고서, 한국산업인력공단, 2007. 미소장
25 국가기술자격검정의 개선방안 연구 소장
26 “산업연관모형의 적용사례”, 기술과 정책, 2008-5, 한국산업기술재단, 2008. 미소장
27 Korea energy industry outlook and future strategy 소장
28 “자격증 임금효과인가? 근속효과인가? -재직중 자격취득자를 중심으로-”, Issue paper, 2008-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미소장
29 “주요국의 직업교육훈련과 자격제도의 연계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미소장
30 석유의존도 감축을 위한 미국의 에너지정책 소장
31 修正된 Jones模型을 利用한 韓國의 成長要因 分解 소장
32 전력산업인력양성의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소장
33 과학기술인력정책의 방향과 과제 소장
34 “과학기술분야 인적자원개발사업의 성과평가체제 구축”, 정책연구, 2007-16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7. 미소장
35 에너지경제연구원, “미국 에너지 정책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연구보고서, 1-16호, 2005. 미소장
36 에듀스 인재개발원, 대기업 직무검사 완벽 가이드 북, 에듀스, 2005. 미소장
37 세계 주요 국가의 에너지 및 원자력 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소장
38 기초직업능력표준 자격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소장
39 “국가자격시험 통합관리 체계 개선방안 연구”, 2006 연차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미소장
40 지식경제부, “2008년 에너지⋅자원 인력양성사업” 공고, 2008월 6월 13일자. 미소장
41 지식경제부, “신성장동력 비전과 발전전략”, 브리핑 자료, 2008년 9월 22일자. 미소장
42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네이버 미소장
43 “국가과학기술인력정책의 현황과 주요과제”, 직업과 인력개발, 봄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미소장
44 “새로운 직업군 발굴을 통한 일자리 창출 역량강화방안 -제조업 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수탁연구, 2007-16, 2007. 미소장
45 우리나라 자격제도의 현안과 외국의 개선 동향 소장
46 한국산업기술평가원, “연구개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개념과 측정 방법론”, Discussion Paper 2002-10, 2002. 미소장
47 한국산업인력공단, 2007 국가기술자격검정통계연보, 한국산업인력공단, 2008. 미소장
48 한국수력원자력(주), “Nuclear Power Note 2008”, 2008. 미소장
4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의 인적자원개발 지표”, 2007-28호, 2007. 미소장
50 “항만전문인력 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2004. 미소장
51 현대경제연구원, “일본의 에너지 혁명”, VIP 레포트, 2008-8호, 2008. 미소장
52 “과학기술인력정책”, The HRD Review, 2008년 봄호, 2008. 미소장
53 교토의정서와 한국의 대응체제에 관한 연구 :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 소장
54 업무성과향상의 비결; 컴피턴시, 이동배刊, 엑스퍼트컨설팅, 2000. 미소장
55 “Using Evaluation: Dose Evaluation Make a Difference?”, Beverly Hills, CA: Sage, 1979. 미소장
56 “Research and Innovation Governance in Eight Contries: A Meta-Analysis of Work Funded by EZ(Netherland) and RCN(Norway)”,... 미소장
57 Effects of Human Resource Systems on Manufacturing Performance and Turnover 네이버 미소장
58 On the mechanics of economic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59 OECD, “Assessing and Cerifying Occupational Skills and Competence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1996. 미소장
60 OMB, “Performance Measurement Challenges and Strategies”, 2003. 미소장
61 “Dynamic Competitive Equilibria with Externalities, Increasing Returns and Unbounded Growth”, Chicago University, 1983. 미소장
62 Increasing Returns and Long-Run Growth 네이버 미소장
63 “The Human Resources Program-Evaluation Handbook”, 3-26, Sage Publications, 2003. 미소장
64 Technical Chang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네이버 미소장
65 U.S Department of Energy,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2005.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