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진경산수화의 정신 표현 : 겸재 정선을 중심으로 / 황재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2
청구기호
TM 759.951 -9-9
형태사항
vi, 6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1498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 2009.2. 지도교수: 한진만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1

제2장 진경문화의 발생 13

2.1. 진경시대 이전의 화풍 13

2.2. 진경의 의미 15

2.3. 진경산수화의 발생 배경 16

제3장 겸재 정선의 등장 25

3.1. 생애 26

3.2. 진경산수화의 특징 34

3.2.1. 초기 화풍(1711~1721) 35

3.2.2. 중기 화풍(1721~1737) 46

3.2.3. 말기 화풍(1737~1759) 51

제4장 결론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3

(도1) 이병연,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 발문〉, 22.4×32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8

(도2) 정선, 〈단발령망금강산(斷髮嶺望金剛山)〉, 견본담채, 37.5×35.9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6

(도3) 정선, 〈금강내산총도(金剛內山總圖)〉, 견본담채, 37.5×36.6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6

(도4) 정선, 〈불정대(佛頂臺)〉, 견본담채, 34.5×37.4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8

(도5) 정선, 〈옹천(瓮遷)〉, 견본담채, 37.6×26.5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9

(도6) 정선, 〈장안사(長安寺)〉, 견본담채, 37.5×36.6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9

(도7) 정선, 〈보덕굴(普德窟)〉, 견본담채, 26.1×36.1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9

(도8) 정선, 〈해산정(海山亭)〉, 견본담채, 37.6×26.8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9

(도9) 〈태극(太極)의 구도(構圖)〉 40

(도10) 정선, 〈백천교(百川橋)〉, 견본담채, 33.2×37.7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1

(도11) 정선, 〈삼일포(三日浦)〉, 견본담채, 37.3×36.2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1

(도12) 정선, 〈시중대(侍中臺)〉, 견본담채, 26.5×36.8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1

(도13) 〈원형(圓形)의 구도(構圖)〉 42

(도14) 정선, 〈고성문암관일출(高城門岩觀日出)〉, 견본담채, 37.9×36.0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3

(도15) 정선, 〈총석정(叢石亭)〉, 견본담채, 37.5×38.3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3

(도16) 정선, 〈피금정(披襟亭)〉, 견본담채, 33.6×35.8cm, 1711,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4

(도17) 정선, 『기해년화첩(己亥年畵帖)』 중 〈추경산수도(秋景山水圖)〉(좌), 〈설경산수도(雪景山水圖)〉(우) 견본담채, 각 29.8×35.5cm, 1719, 호림미술관 소장 45

(도18) 정선, 〈쌍도정도(雙島亭圖)〉와 발문 견본담채, 34.7×26.3cm, 40대 후반 작, 개인 소장 46

(도19) 정선, 〈달성원조도(達成遠眺圖)〉와 발문 크기·소장처 미상 문헌상의 흑백사진으로만 전해짐 46

(도20) 정선, 〈청풍계(淸風溪)〉, 지본담채, 96.2×36.0cm, 1730, 고려대학교박물관소장 47

(도21) 정선, 〈금강전도(金剛全圖)〉, 지본담채, 130.7×94.1cm, 1734, 호암미술관 소장 48

(도22) 〈금강전도(金剛全圖)의 구조(構造)〉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에서 빌려옴) 50

(도23) 〈금강전도(金剛全圖)의 제시(題詩) 세부(細部)〉 50

(도24) 정선, 〈청풍계(淸風溪)〉, 견본담채, 133.0×58.8cm, 1739, 간송미술관 소장 52

(도25) 〈청풍계, 태극구도(太極構圖)와 음양대비(陰陽對比)〉 53

(도26) 정선, 〈박생연(朴生淵)〉, 견본담채, 98.2×35.8cm, 1742년경, 간송미술관 소장 54

(도27) 정선, 〈박연폭(朴淵瀑)〉 지본담채, 119.5×52.2cm, 70대 중반 작, 개인 소장 54

(도28) 정선, 〈삼부연(三釜淵)〉, 견본담채, 31.4×24.2cm, 1747, 간송미술관 소장 55

(도29) 정선, 〈구룡연(九龍淵)〉, 견본담채, 25.0×19.2cm, 1747년경, 개인 소장 55

(도30) 〈폭포도(瀑布圖)에서 낙관(落款), 명제(命題)의 역할(役割)〉 56

(도31) 〈낙관(落款), 명제(命題)의 역할(役割)〉 57

(도32) 〈'박연폭(朴淵瀑)' 에서 낙관(落款)이 있을 때(좌)와 없을 때(우)의 차이(差異)〉 58

(도33) 정선,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지본수묵, 79.2×138.2cm, 1751, 호암미술관 소장 59

(도34)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작품관지〉 60

(도35) 정선, 〈금강대(金剛臺)〉 지본담채, 28.8×22.1cm, 1757년경, 간송미술관 소장 62

(도36) 정선, 〈정양사(正陽寺)〉 지본담채, 22.8×21.9cm, 1757년경, 간송미술관 소장 62

(도37) 〈겸재 작품에 나타나는 점경인물(點景人物)〉 63

(도38) 〈겸재 작품에 나타나는 정(丁)자형 소나무〉 64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