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연구배경 및 목적 13
제2장 연구의 이론적 고찰 15
제1절 훼손된 생태계복원 연구 15
제2절 도로 건설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17
제3절 도로내 생물이동통로 조성 연구 22
제4절 로드킬로 인한 사회적인 영향 26
제3장 연구내용 및 체계 29
제4장 연구방법 33
제1절 연구대상지 33
제2절 조사분석 방법 34
1. 국내 로드킬 현황 34
2. 국내 로드킬 방지를 위한 시설물 설치 현황 34
3.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효과 34
제5장 결과 및 고찰 37
제1절 국내 로드킬 현황 37
1. 국내 로드킬 증감 현황 37
2. 연도별 고속도로 로드킬 발생 현황 38
제2절 국내 로드킬 방지를 위한 시설물 설치 현황 42
제3절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효과 43
1. 연구대상지 개요 43
2. 연구구간 로드킬 현황 47
3. 유도울타리 설치에 따른 로드킬 변화 50
4. 로드킬 변화 원인 102
제4절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설치 개선방안 105
1. 목표종선정 및 로드킬예방 정책방향 105
2. 설치유형 및 기준개선 106
3. 유지관리방안 110
제6장 결론 111
인용문헌 114
Summary 122
표 3-1. 연구항목 및 세부연구내용 30
표 5-1. 국내 도로 현황(2007년 12월 31일 기준) 37
표 5-2. 국내 로드킬 현황 38
표 5-3. 연도별 전체 고속도로 로드킬 및 관리연장 현황 39
표 5-4. 고속도로 로드킬 연도별, 동물별 총 발생 현황 41
표 5-5.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공사추진 일정표 45
표 5-6. 연도별, 월별 로드킬 증감 현황 48
표 5-7. 연구구간 연도별 동물별 로드킬 발생 현황 50
표 5-8. 연구구간 내 로드킬 종별 증감 현황 51
표 5-9. 유도울타리 분석구간 10개 구간 현황 51
표 5-10. 중앙고속도로 319.3~320.6㎞(춘천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52
표 5-11. 중앙고속도로 319.3~320.6㎞(춘천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52
표 5-12. 중앙고속도로 322.1~324.2㎞(부산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56
표 5-13. 중앙고속도로 322.1~324.2㎞(부산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56
표 5-14. 중앙고속도로 345.6~347.6㎞(춘천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60
표 5-15. 중앙고속도로 345.6~347.6㎞(춘천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60
표 5-16. 중앙고속도로 352.0~353.8㎞(춘천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64
표 5-17. 중앙고속도로 352.0~353.8㎞(춘천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64
표 5-18. 중앙고속도로 355.0~356.5㎞(춘천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68
표 5-19. 중앙고속도로 355.0~356.5㎞(춘천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68
표 5-20. 중앙고속도로 319.0~321.0㎞(부산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71
표 5-21. 중앙고속도로 319.0~321.0㎞(부산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72
표 5-22. 중앙고속도로 321.1~322.0㎞(부산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76
표 5-23. 중앙고속도로 321.1~322.0㎞(부산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76
표 5-24. 중앙고속도로 328.9~330.1㎞(부산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79
표 5-25. 중앙고속도로 328.9~330.1㎞(부산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79
표 5-26. 중앙고속도로 328.9~329.9㎞(춘천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83
표 5-27. 중앙고속도로 328.9~329.9㎞(춘천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83
표 5-28. 중앙고속도로 330.1~331.6㎞(부산방향) 로드킬 증감현황 86
표 5-29. 중앙고속도로 330.1~331.6㎞(부산방향) 도로시설물 현황 86
표 5-30. 유도울타리 분석구간 구간별 종합분석표 90
표 5-31. 연구구간 출입문 설치에 따른 로드킬 증감현황 92
표 5-32. 연구구간 울타리 높이에 따른 로드킬 증감 현황 94
표 5-33. 연구구간 울타리 설치연장에 따른 로드킬 증감 현황 96
표 5-34. 연구구간 유도울타리 기능의 도로시설물 현황 98
표 5-35. 연구구간 겸용생물이동통로에 대한 영향 비교 100
표 5-36. 연구구간 교량, 통로박스(겸용생물이동통로)에 대한 영향 비교(고라니) 101
그림 2-1. 도로 개설에 의한 생태계 영향 개념도 18
그림 3-1. 연구수행 체계도 31
그림 4-1. 연구대상지 위치도 33
그림 4-2. 2단 가드레일, 방호벽 모식도 35
그림 4-3. 생물이동통로 역할의 도로시설물 모식도 36
그림 5-1. 고속도로 로드킬 총 발생 현황 39
그림 5-2. 고속도로 로드킬 노선별 총 발생 현황 40
그림 5-3. 고속도로 로드킬 월별 총 발생 현황 41
그림 5-4. 중앙고속도로 노선주변 현황도 44
그림 5-5.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설치 단면도 46
그림 5-6. 연구구간 연도별 발생 현황 47
그림 5-7. 2004~2005년 연구구간 월별 로드킬 발생 현황 49
그림 5-8. 2006~2007년 연구구간 4개년 월별 로드킬 발생 현황 49
그림 5-9. 2004~2005년 연구구간 동물별 발생 현황 50
그림 5-10. 중앙고속도로 319.3~320.6㎞(춘천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53
그림 5-11. 중앙고속도로 322.1~324.2㎞(부산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57
그림 5-12. 중앙고속도로 345.6~347.6㎞(춘천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61
그림 5-13. 중앙고속도로 352.0~353.8㎞(춘천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65
그림 5-14. 중앙고속도로 355.0~356.5㎞(춘천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69
그림 5-15. 중앙고속도로 319.0~321.0㎞(부산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73
그림 5-16. 중앙고속도로 321.1~322.0(부산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77
그림 5-17. 중앙고속도로 328.9~330.1㎞(부산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80
그림 5-18. 중앙고속도로 328.9~329.9㎞(춘천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84
그림 5-19. 중앙고속도로 330.1~331.6㎞(부산방향) 유도울타리 설치전·후 로드킬 발생현황도 87
그림 5-20.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출입문 설치형태 92
그림 5-21. 울타리 설치연장에 따른 증감율 96
그림 5-22. 겸용생물이동통로 전체 비교 100
그림 5-23. 교량, 통로박스(겸용생물이동통로)에 대한 영향 비교(고라니) 101
그림 5-24. 절토부지역에서의 유도울타리 설치개선 구상도 107
그림 5-25. 유도울타리와 겸용생물이동통로와의 연결설치개선 구상도 109
본 연구는 도로건설에 따른 생태계영향 저감과 로드킬 방지를 위하여 설치되고 있는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설치효과를 분석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적정한 유도울타리 설치 방안을 제시하고자 중앙고속도로 만종분기점~홍천나들목구간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 고라니, 너구리, 멧토끼를 목적으로 설치된 망목 50mm × 50mm, 높이 1.0~1.5m 능형의 유도울타리는 야생동물의 도로침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로시설물인 방음벽, 낙석방지울타리 뿐만 아니라 유도울타리보다 낮은 높이 90cm의 2단 가드레일과 분리방호벽도 야생동물이 뛰어넘지 않아 로드킬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시설로 분석되었다.
유도울타리 설치 후 로드킬 저감효과가 높은 구간은 울타리 높이 1.5m 지역보다 출입문이 설치되지 않은 높이 1.0m의 유도울타리와 도로시설물의 연결지점에서 효과가 컸으며 출입문이 있더라도 관리가 잘되는 지역도 로드킬 감소효과가 높았다. 유도울타리 설치연장은 900~1,300m구간에서 0~77.7%, 1,500m~2,100m구간에서는 28.6~100%의 감소효과가 있어 울타리 설치연장이 증가함에 따라 로드킬 감소율이 높았다. 울타리 설치 전 특정지역에 집중되었던 로드킬이 울타리 설치후 유도울타리 끝 주변에서 집중 발생되어 유도울타리 끝은 로드킬 발생에 취약했으며 특히 유제류인 고라니 로드킬 발생빈도가 높았다. 유도울타리가 절토부 시·종점에서 끝나 고절토부에서 로드킬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절토부 주변 역시 일반지역과 마찬가지로 로드킬이 발생하여 울타리 설치연장과 절토부 설치유형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유지관리용으로 설치된 출입문은 설치간격이 가까울수록 로드킬 발생량이 높았으며 분석구간 평균감소율 61.2% 보다 낮은 지역의 출입문 평균설치간격은 183m로 로드킬 평균감소율보다 낮은 31.9%의 감소율로 조사되었다. 출입문이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100%의 로드킬 저감효과가 있어 출입문 관리가 로드킬저감에 효과가 많음이 분석되었다. 울타리 설치후 야생동물이 도로로 침입하지 않고 교량, 통로박스, 횡배수관 등의 겸용생물이동통로로 이용하였는지는 겸용생물이동통로 간격이 105~118m 구간에서는 로드킬이 28.5~100%이 저감되었으며 설치간격이 더 긴 130~166m에서 오히려 감소율이 높아 로드킬 저감과 생물이동통로 간격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분석할 수 없었다.
연구구간 분석결과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설치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개선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되었다. 10m 이상의 고절토부지역은 현재 유도울타리가 절토부 높이 5m까지 설치토록 되어 있으나 암반의 급경사 지역외에 모두 설치되어야 한다. 도로상에 설치된 유도울타리효과를 갖고 있는 낙석방지책, 2단 가드레일, 방호벽 등은 적정 시설개선을 통해 유도울타리로 연결 설치되어야 한다.
출입문은 가급적 설치되지 않아야 하나 부득이한 경우 자동개폐식 또는 중력개폐식으로 설치하여 출입문이 열린상태가 방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울타리 끝으로 들어온 야생동물이 도로밖으로 신속한 탈출을 위해 탈출로가 조성이 되어야 한다. 생물이동통로는 추가 조성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겸용생물이동통로의 토양층복원이나 식생공간을 조성하여 생물이동통로화 하여야 한다. 또한 로드킬로 포식자에 의한 2차 로드킬을 막기 위해 사고난 사체는 즉시 도로외부로 처리가 되어야 한다. 울타리는 최소 사고예방 목표지점으로부터 양방향 500m 이상 즉 1,000m 이상 설치되어야 하며 가급적 다음 도로시설인 교량, 통로박스 등까지 연결하여 야생동물을 생물이동통로로 안전하게 유도하여야 한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