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1. 서론 1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2. 원근법 공간의 시대적 변화 15

2.1. 원근법에 의한 환영 공간 15

2.2. 수직적 공간으로서 '창'의 변화과정 20

2.3. 수평적 층위의 모더니즘 평면성 31

2.4. 해체주의와 공간의 재해석 36

3. 해체된 원근법 공간 분석 39

3.1. 다중원근법 공간 41

3.1.1.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 42

3.2. 역설로 구성된 공간 69

3.2.1. 아델버트 에임스(Adelbert Ames Jr.) 70

3.2.2. 에셔(M. C. Escher) 73

4. 디지털 공간의 재구조화된 원근법 92

4.1. 사진, 영화, 디지털 미디어의 원근법 93

4.2. 회화의 '창', 평면성, 해체 공간과 디지털 공간 비교 98

4.2.1. '창'개념과 디지털 공간 98

4.2.2. 평면성과 디지털레이어의 프레임 105

4.2.3. 디지털 공간의 해체적 성향 109

4.3. 디지털레이어의 구조적 합성 111

4.4. 역설적 구조의 다층 공간 116

5. 결론 122

작품 124

1. Painting 124

1.1. The Flat Space Left, Right 시리즈 125

1.2. The Ceiling of Cube, The Floor of Cube, Numbers of One Cube 시리즈 129

2. Interactive installation Max/Jitter 134

2.1. Bigger than 135

2.2. Front and Back 137

참고문헌 140

ABSTRACT 143

그림목차

〈그림 2-1〉 마사초, 〈성 삼위 일체, 성모 성 요한과 헌납자들〉1425~8 21

〈그림 2-2〉 티치아노, 〈성모와 성인들과 피사로 일가〉1519~26 21

〈그림 2-3〉 피터 파울 루밴스, 〈성인들의 경배를 받고 있는 성모와 아기 예수〉1627-8 23

〈그림 2-4〉 월리엄 터너, 〈국회의사당의 화재〉1934-35 24

〈그림 2-5〉 모네, 〈루앵성당〉1894년경 26

〈그림 2-6〉 모네, 〈루앵성당〉1894년경 26

〈그림 2-7〉 세잔느, 〈Still Life with Curtain and Flowered Pitcher〉1899 28

〈그림 2-8〉 세잔느, 〈생뜨빅투아르 산〉1902-1906 28

〈그림 2-9〉 피카소, 〈아비뇽의 처녀들〉1907 29

〈그림 2-10〉 Jackson Pollock, 〈Number one〉1948 33

〈그림 2-11〉 Frank Stella, 〈Empress of India〉1965 34

〈그림 3-1〉 David Hockney, kerby (After Hogarth),〈Useful Knowledge〉1975 43

〈그림 3-2〉 William hogarth, 〈frontispiece to Dr Brook Taylor's Methods of Perspective〉published by Joshua Kirby, 1754 46

〈그림 3-3〉 David Hockney, 〈David Graves, Pembroke Studios, London, Tuesday 27th April 1982〉 49

〈그림 3-4〉 David Hockney, 〈Artist and Model〉1974 50

〈그림 3-5〉 David Hockney, 〈Grand Canyon Looking North, sept. 1982〉 51

〈그림 3-6〉 David Hockney, 〈The Scrabble Game, JAN. 1, 1983〉 54

〈그림 3-7〉 David Hockney, 〈Walking in the Zen Garden at the Ryoanji Temple, Kyoto, Feb. 21, 1983〉 55

〈그림 3-8〉 David Hockney's design for painted opera backdrop 57

〈그림 3-9〉 David Hockney, 〈The finale of the Magic Flute, showing the union of the Pamina and Tamino, 1977〉 58

〈그림 3-10〉 David Hockney, 〈The Triumph of Light, model for the Magic Flute, 1977〉 58

〈그림 3-11〉 David Hockney, 〈The Desk, July 1st, 1984〉 63

〈그림 3-12〉 David Hockney, 〈Pearblossom Hwy. 11-18th April 1986, #2〉 64

〈그림 3-13〉 Van Gogh, 〈Chair with Pipe〉1888 66

〈그림 3-14〉 David Hockney, 〈The perspective lesson〉1985 66

〈그림 3-15〉 David Hockney, 〈Van Gogh Chair〉1988 66

〈그림 3-16〉 David Hockney, 〈Large Interior, Los Angeles〉1988 67

〈그림 3-17〉 의자실험 71

〈그림 3-18〉 네카 큐브 74

〈그림 3-19〉 슈레더 계단 74

〈그림 3-20〉 에셔, 〈공모양의 나선〉1958 76

〈그림 3-21〉 에셔, 〈뫼비우스의 띠(1)〉1961 76

〈그림 3-22〉 에셔, 〈도리아식 원주〉1945 78

〈그림 3-23〉 에셔, 〈발코니〉1945 79

〈그림 3-24〉 에셔, 〈Three worlds〉1955 80

〈그림 3-25〉 에셔, 〈판화 갤러리〉1956 81

〈그림 3-26〉 에셔, 〈Convex and Concave〉1955 84

〈그림 3-27〉 에셔,〈Another World〉1947 85

〈그림 3-28〉 에셔, 〈High and Low〉1947 87

〈그림 3-29〉 펜로즈 삼각형 88

〈그림 3-30〉 에셔, 〈폭포〉1961 89

〈그림 4-1〉 뒤러, 〈누드를 그리는 도안기〉1527 99

〈그림 4-2〉 Jeffrey Shaw, 〈The Virtual Museum〉1991 101

〈그림 4-3〉 Asymptote, 〈Flux space〉 중에서(1) 103

〈그림 4-4〉 Asymptote, 〈Flux space〉 중에서(2) 103

〈그림 4-5〉 Asymptote, 〈Flux space〉 중에서(3) 103

〈그림 4-6〉 아그네스 헤게뒤스, 〈기억의 극장〉1997 104

〈그림 4-7〉 Erwin redl, 〈matrix 시리즈〉1998-1999 108

〈그림 4-8〉 베라 몰나르, 〈중심이 다른 서른 개의 사각형〉1974 112

〈그림 4-9〉 레이어의 구조적 합성 관련 스케치 114

〈그림 4-10〉 Erwin redl, 〈matrix 시리즈〉1998-1999 115

〈그림 4-11〉 백남준, 〈다다익선〉1988 115

〈그림 4-12〉 본인작품,〈inconsistent space〉2003 117

The Flat Space Left, Right 시리즈 디지털 스케치 125

〈The Flat space, Left.〉2007~2008 acrylic on canvas. 145 × 112㎝ 127

〈The Flat space, Right.〉2007~2008 acrylic on canvas. 145 × 112㎝ 128

The Ceiling of Cube, The Floor of Cube, Numbers of one Cube 시리즈 사진, 디지털스케치 129

〈The Ceiling of Cube〉2008 acrylic on canvas. 193×130㎝ 131

〈The Floor of Cube〉2008 acrylic on canvas. 193×130㎝ 132

〈Numbers of One Cube〉2008 acrylic on canvas. 193×130㎝ 133

〈Bigger than〉2007 interactive installation Max/Jitter 136

〈Bigger than〉 patch 136

〈Front and Back〉2008 interactive installation Max/Jitter 138

〈Front and Back〉 patch 139

초록보기

 시각매체의 다양화와 시각 환경의 다변화 현상 이면에는 일관된 시각논리가 전제된다. 원근법은 이러한 현상을 대표하는 조형양식이고 시각경험을 체계적으로 구조화시킨다. 원근법은 수학적 논리에 근거하여 3차원의 공간을 창출한다. 이 때 생성되는 3차원 공간은 2차원 평면에 대한 부정에서 출발한다. 원근법은 캔버스 평면의 물질성을 지우고 '창'으로 변모시켜 평면을 투과하는 수직적 깊이의 위계 공간을 형성한다. 즉 '창'은 3차원 환영 공간을 보여주는 비물질적 투명한 면을 뜻한다. 원근법 공간의 사실성이 내포하고 있는 허구성은 회화의 3차원 공간 과 2차원 평면 이원화 현상을 가져왔다. 원근법 논리의 핵심인 소실점은 공간구조의 기준이 되며 공간을 해석하는 시선을 사전에 한 가지 논리로 규정한다. 르네상스 시대에 정립된 원근법은 후기 인상주의, 입체파 경향이 나타나면서 서서히 와해되었다. 원근법의 한계인 일점 소실점을 극복한 형태인 다시점구조의 등장은 3차원 공간의 성격을 변화시켰다. 그 결과 이제까지 3차원 공간을 구성하는 형식의 일부였던 2차원성이 시각 공간 구성요소의 영역 안에 편입되게 된다. 상하 위계적 질서에 의한 수직적 내부 공간과 구분되는 2차원 평면의 균일한 수평적 질서의 등장은 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더욱 활발해진다. 평면성은 불투명한 물질성을 앞세워 비물질적 투명한 공간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원근법은 더 이상 회화 공간을 구성하는 필수조건이 아니게 된 것이다. 2차원 평면(two dimensional flat-surface)을 부정한 3차원 공간과, 3차원 공간의 허구성을 드러낸 2차원 평면회화는 이렇게 서로 양자택일적 관계로 이원화되어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디지털 공간에서는 이러한 상반된 공간성이 공존한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에서는 원근법이 재등장하였지만 작품의 의미에 따른 선택적 요소가 되었다. 또한 이원화된 공간의 엄밀성은 약화되고 혼재되기에 이른다. 이러한 포스트 모더니즘의 해체적 양상과 원근법에 대한 재해석은 디지털 공간과 유사점을 갖는다. 디지털 공간에서는 원근법이 그 자체의 논리를 지키면서도 원근법 공간에 위배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3차원 공간과 2차원 평면성이 혼재됨으로 인한 결과이다. 호크니, 에임스, 에셔의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성은 이러한 현상을 시각적으로 뒷받침한다. 호크니는 다양한 시점으로 공간과 사물의 형상을 재조합하면서 수직, 수평성을 동시에 배치시킨다. 에임스는 원근법의 논리에 대한 의문을 제기, 허구성을 드러낸다. 에셔의 작품에는 사실적인 공간자체가 변형된 불가능한 공간이 나타난다. 원근법이 내재된, 이율배반에 의한 순환구조의 형태와 의미는 공간을 다층화 시킨다. 이러한 특징이 디지털에서 나타나는 공간성과 연결된다. 디지털 공간은 레이어의 중층적 구조로 형성된다. 즉 3차원적 공간이 다수의 2차원 평면성으로 구축된다. 모니터로 귀결되는 환영공간 내부에 개입된 평면성은 수평적 배열을 유지하면서 그 자체로 원근법 공간을 포함한다. 각각의 레이어에 해당하는 수직 공간은 복수화되고 수평적 위계로 재구조화되면서 다시 한 번 원근법적 공간으로 통합된다. 몰입과 분산은 동시에 진행되고 투명성과 불투명성은 혼합되는 과정 위에 단일한 구성이 덧입혀지는 것이다. 회화의 역사에서 나타난 이분화된 공간성이 포스트모더니즘 시기에 해체적 성향을 띠게 된 것처럼 디지털 공간은 원근법 공간을 다층적으로 재조합한다. 수직적 공간에 대한 수평적 배열이라는 이중적 성질이 수직 공간으로 통합되는 변증법적인 구성은 역설적 순환 형태와 의미를 가져오게 된다.

작품은 이러한 탈원근법적 특성이 은유적으로 표현된 결과물이다. 임의로 설정된 공간과 소재간의 관계를 역설적 특성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해석이 충돌과 순환을 거듭하게 되도록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