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지도방안 연구 : 클레이 애니메이션 창작 교수 학습 중심으로 / 홍태호 인기도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2
청구기호
TM 707 -9-161
형태사항
iii, 5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3139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2009.2. 지도교수: 김호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2. 연구 방법 및 연구의 범위 9

1) 연구 방법 9

2) 연구의 범위 9

II. 시각문화의 개념과 성격 10

1. 시각문화의 개념 10

1) 문화(Culture)와 시각(Visual) 10

2) 시각문화(Visual Culture)의 개념 13

2. 시각문화(Visual Culture)의 특성과 영역 17

1) 시각문화의 특성 17

2) 시각문화의 영역 22

III. 시각문화교육 24

1. 시각문화교육의 필요성 24

2. 시각문화 교육과정 28

1) 연계적 교육과정 29

2) 상호작용적 교육과정 30

3) 현장 체험 교육과정 30

4) 간학문적인 교육과정 31

3. 시각문화교육의 함의 31

IV. 클레이 애니메이션을 통한 창의적인 지도방안 34

1. 클레이 애니메이션의 교육적 특징 34

2. 시각문화교육과 연계된 창의적인 지도의 실제 35

1) 클레이 애니메이션학습 지도방향 35

2) 클레이 애니메이션 학습 프로그램 37

3) 교수-학습 단계별 세안 39

4) 평가방법 53

V. 결론 59

참고문헌 62

Abstract 64

〈표1〉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비교 14

〈표2〉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비교 15

〈표3〉 영상미디어교육의 교수-학습 설계의 주안점 37

〈표4〉 이해와 감상학습 과정 40

〈표5〉 기획 및 구상과정 43

〈표6〉 표현 및 제작과정 45

〈표7〉 제작 및 감상과정 46

〈표8〉 표현과 제작과정 49

〈표9〉 편집 51

〈표10〉 감상 및 발표 53

〈표11〉 2005학년도 미술 수행평가 척도안 55

〈표12〉 입체조형 : 영상미술 수행평가 척도안 55

〈표13〉 자기 평가표 56

〈표14〉 평가기준안 57

〈표15〉 상호 평가표 58

〈그림1〉 시각문화 연구와 관계하는 학문 21

〈그림2〉 시각문화의 영역 22

〈그림3〉 또 하나의 가족 41

〈그림4〉 강아지 똥 41

〈그림5〉 고무찰흙 펴 붙이기 47

〈그림6〉 영상 편집 51

〈그림7〉 음악 편집 51

초록보기 더보기

A great number of media materials can get it in daily lives, changes visually on society of people and sometimes even affect the economy of a nation. The youth than the information which is transmitted in a traditional way-in letters. Sensitive, and the image to decrease actively various acts and characteristics that former young people look are compared in the media.

Therefore, the media is belonging to it to parts of currently our daily life, and it is fact to be obvious that I was affecting it to formation of a sensitivity and the self from individuals.

In the modern art, the term expression is defined as something to be communicated within the daily lives and cultural coherence. The development of new means of media such as computer and its diffusion around the globe turned the individual expressions to things that are to be used in daily lives. It also encourages the individuals to use visual images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education of art is discussed under the large category of cultural education.

When seen through such perspective, the education of art cannot be considered separately from the mass media. By providing the education on art, the students should be taught of how to decipher the visual images of mass media and understand the mutual connection between the mass media art. Not only that, the students should be taught of the skills which will enable them to consciously choose and reform the images accordingly to their intention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difficult to be studied with tactual sense, due to the artificiality of its materials. Since the model production in clay animation provides the tactual experience, the chance to develop ability to criticize the visual images of mass media, and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creatively and actively mold clay models, it is essential for the students to take clay animation lessons.

This treatise concentrates on the development of clay animation curriculum for high school students. Hence, it is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are stated in the following:

Firstly, to discover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visual culture art, which form the environment for the learners, and to justify the necessity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such fact.

Secondly, to set up a new recognition system for the current art curriculums in schools based on the proper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irdly, to contribute to a new curriculum by developing a program for studies of clay animation based on the current art curriculum.

Therefore, this research, which intended to develop a model of clay animation curriculum appropriate high school art curriculums, was to seek for a practical method for a more constructive guidance for cultural visual art in schools based on the proper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art.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