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9

I. 서론 10

1. 연구배경 및 목적 10

2. 연구범위 및 방법 12

II. 이론적 배경 16

1. 퍼놀로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 16

1.1. 퍼놀로지의 일반적 개념 16

1.2. 퍼놀로지의 생성배경 21

1.3. 퍼놀로지의 디자인 분야별 표현과 응용 26

1.4. 퍼놀로지 제품개발의 필요성 31

2. 로우테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 34

2.1. 로우테크의 정의 및 제품의 특징 34

2.2. 로우테크 제품 개발의 방향 36

III. 퍼놀로지 제품 디자인 특징 분석 37

1. 퍼놀로지 제품 수집 38

2. 퍼놀로지 제품 샘플 선정 39

3. 인터뷰를 통한 퍼놀로지 제품 디자인 특징 조사 40

4. KJ법을 통한 언어적과 비쥬얼(visual)적 분류와 분석 41

(1) 언어적인 분류와 분석 41

(2) 비쥬얼(Visual)적인 분류와 분석 44

(3)소결 46

5. 퍼놀로지 제품 디자인 특징의 정의(Definition) 48

(1) Having Characters (캐릭터 갖는다) 48

(2) Obvious Differences (뚜렷한 다름) 52

(3) Humor (유머) 56

(4) Additional Function (부가 기능) 60

6. 퍼놀로지 제품 디자인 가이드 맵(Guide-Map) 66

IV. 퍼놀로지 데스크탑 문구 디자인 개발 68

1. 퍼놀로지 제품 컨셉 정의 69

2. 퍼놀로지 캔셉별 아이디어 스케치(Sketch) 전개 70

3. 최종 디자인 방안 결정 74

1, 형태나 장식도안적인 재미있는 캐릭터(Characters)의 적용 74

2, 기존 제품들과 재질, 색체이나 행태적인 뚜렷한 다름의 적용 74

3, 형태나 기능적인 각종 유머(Humor) 수법의 적용 75

4, 데스크 탑 문구에 관련한 기능, 변형과 게임의 가입 75

4. 세부 디자인과 치수도 78

4.1. 해초 필통 디자인 78

4.2. 카드 키퍼 디자인 80

5. 모형 제작 83

V. 결론 85

참고문헌 88

Abstract 90

표목차

〈표I-1〉 퍼놀로지 제품 디자인 특징 연구 방법론 13

〈표II-1〉 퍼놀로지의 기본 개념 21

〈표II-2〉 디자인 사에서 퍼놀로지에 관한 역사 21

〈표II-3〉 제품의 가치 32

〈표II-4〉 하이테크(High-tech)와 로우테크 제품 비교 35

〈표III-1〉 퍼놀로지 제품의 디자인 특징 연구 방법론 37

〈표III-2〉 퍼놀로지 제품 수집 범위 38

〈표III-3〉 퍼놀로지 제품 샘플 선정과정도 39

〈표III-4〉 언어적인 분류와 분석 결과 42

〈표III-5〉 KJ법을 통하여 퍼놀로지 (Funology) 제품 디자인 특징의 언어적인 분류 42

〈표III-6〉 비쥬얼(Visual)적인 분류 결과 45

〈표III-7〉 제품의 펀 (Fun) 의 특징 구성 46

〈표III-8〉 사물외형 모방수법을 따라 분류 51

〈표III-9〉 문제 해결 프로세스의 두 계단 66

〈표III-10〉 퍼놀로지 제품 디자인 가이드 맵(Guide-Map) 67

〈표IV-1〉 퍼놀로지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68

〈표IV-2〉 익명 투표결과 통계표 76

그림목차

〈그림II-1〉 소니(Sony) 미니티비(miniTV), 소인 커프(Cup), 목거리, T셔츠 18

〈그림II-2〉 제품디자인의 감성미학 22

〈그림II-3〉 멤피스 그룹의 작품 (Carlton Bookcase/Ellore Sottsass/1981 Toaster Horse Model/Marcus Botsch/1986 Wassily Armchair/Alessandro Mendini/1927) 24

〈그림II-4〉 포스트모더니즘의 작품 (Vanna Venturi House/Robert Venturi/1963-1965 Republic Bank/Phlip Johnson/1981-1984) 25

〈그림II-5〉 팝 아트의 작품 (Ginger Group/Mary Quant/ 60년대 Baseball Glove Sofa/70년대 Andy Warhol / Marilyn Monroe/1967) 26

〈그림II-6〉 Man' Health 잡지의 광고 포스터 27

〈그림II-7〉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이탈리아의 주얼리(Jewellery)-깔가로 금실체인 28

〈그림II-8〉 네덜란드(Holland) 로테르담(Rotterdam)에 위치한 Cactus House 29

〈그림II-9〉 Wooden Mirror, 디자이너: Daniel Rozin 30

〈그림II-10〉 알레시사의 와인 오프너(안나시리즈와 알렉산드로 시리즈) 30

〈그림II-11〉 New Beetle┃2006년 (VOLK SWAGEN) 31

〈그림III-1〉 평면적인 캐릭터(Character)의 다양한 응용수법 49

〈그림III-2〉 필립 스탁의 제품-파리채 50

〈그림III-3〉 Narcisse_Mirrors, Designers: Ich&Kar 50

〈그림III-4〉 사물외형 모방을 통하여 디자인한 ASELLE 사의 제품들 52

〈그림III-5〉 Cool Shooters, 원산지: 미국 53

〈그림III-6〉 다용도 주방용 용기 디자인 54

〈그림III-7〉 Tear down your walls, Designer: Billy May 54

〈그림III-8〉 시계 디자인: 시계A 55

〈그림III-9〉 시계B: Time for a Raise Designer: Alvin Aronson 55

〈그림III-10〉 비유의 수법을 이용한 필립 스탁(Philippe Starck)의 제품-변기 소제용 솔 57

〈그림III-11〉 벽에 있는 의자, 디자이너: Lila Jang 57

〈그림III-12〉 과장과 대비의 수법을 이용한 제품-'램프(Lamp)' 58

〈그림III-13〉 다 다리 벤치 59

〈그림III-14〉 모순과 풍자의 수법을 이용한 담뱃재-'The Last One' 59

〈그림III-15〉 돌 소파 60

〈그림III-16〉 책꽂이의 기능을 의자에 가입하고 디자인한 제품-BIBLIOCHAISE HOME 61

〈그림III-17〉 Roly-poly pot, 디자이너: Samgmin Bae 62

〈그림III-18〉 변형우산 Inside out umbrella, 디자이너: Seung Hee Son 62

〈그림III-19〉 가구 디자인, 디자이너: Frank Ligthart 63

〈그림III-20〉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Schiphol 공항의 남성화장실의 소변기 64

〈그림III-21〉 쓰레기통 64

〈그림IV-1〉 컨셉1을 따라 작성한 스케치 70

〈그림IV-2〉 컨셉2을 따라 작성한 스케치 71

〈그림IV-3〉 컨셉3을 따라 작성한 스케치 72

〈그림IV-4〉 컨셉4를 따라 작성한 스케치 73

〈그림IV-5〉 디자인 컨셉 안 1번~3번 74

〈그림IV-6〉 디자인 컨셉 안 4번~6번 75

〈그림IV-7〉 디자인 컨셉 안 7번~9번 75

〈그림IV-8〉 디자인 컨셉 안 10번~13번 76

〈그림IV-9〉 방안2 디자인 치수도 78

〈그림IV-10〉 해초 필통 가공 평면 치수도 79

〈그림IV-11〉 해초 필통 3D 모형과 렌더링 80

〈그림IV-12〉 방안13 디자인 치수도 81

〈그림IV-13〉 자석 메모지 키퍼 3D 모형과 렌더링 82

사진목차

〈사진III-1〉 퍼놀로지 개념의 제품 샘플 200여 개 39

〈사진III-2〉 퍼놀로지 제품 디자인 특징 인터뷰 조사 40

〈사진III-3〉 언어적인 분류와 분석 작업 과정 41

〈사진III-4〉 비쥬얼(Visual)적인 분류와 분석 작업 과정 44

〈사진IV-1〉 해초 필통 실물 모형 83

〈사진IV-2〉 해초 필통 세부도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