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공모제교장의 직무수행 능력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권혜정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8
청구기호
TM 371.2 -9-136
형태사항
v, 8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5031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2009.8. 지도교수: 장한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7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9

2. 연구 문제 10

3. 용어의 정의 11

가. 공모제 교장 11

나. 승진제 교장 11

다. 직무수행능력 12

4. 연구의 제한점 12

II. 이론적 배경 13

1. 교장 임용제도 13

가. 교장승진제 15

나. 교장공모제 18

2. 교장공모제의 쟁점 27

3. 교장의 역할과 직무 32

가. 교장의 역할 32

나. 교장의 직무 36

4. 교장의 직무수행 능력 42

가. 직무수행 능력 관련이론 42

나. 교장의 직무수행 능력 및 자질 44

다. 직무수행 표준 46

III. 연구 방법 52

1. 연구 대상 52

2. 측정 도구 54

3. 자료 수집 절차 57

4. 자료 분석 방법 58

IV. 결과 분석 및 논의 59

1. 교장 임용 유형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59

2. 공모 유형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64

3. 학교급별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69

4.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인식 75

V. 요약 및 결론 80

1. 연구의 요약 80

2. 결론 및 제언 83

참고문헌 87

부록 91

〈표 II-1〉 교장자격 기준 16

〈표 II-2〉 학교 유형별로 적용되는 교장임용방식 비교 22

〈표 II-3〉 교장공모제 실시 개요 25

〈표 II-4〉 교장공모제 시범 실시 학교 현황 27

〈표 II-5〉 공모 유형별 현황 31

〈표 II-6〉 교장의 과업영역과 구체적인 역할의 비교 35

〈표 II-7〉 교장의 직무영역 분류 41

〈표 II-8〉 미국과 영국의 교장 직무영역 비교 49

〈표 II-9〉 직무수행 기준에 따른 직무영역 50

〈표 II-10〉 직무수행 영역의 구분 51

〈표 III-1〉 임용 방식에 따른 조사 대상 학교 수 53

〈표 III-2〉 본 조사 분석 대상자의 전체적 특성 54

〈표 III-3〉 설문지 영역과 문항 구성 55

〈표 III-4〉 설문지 도구의 신뢰도 56

〈표 III-5〉 설문지 조사 대상 및 회수율 57

〈표 IV-1〉 임용유형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 60

〈표 IV-2〉 공모 유형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 65

〈표 IV-3〉 공모 유형과 승진제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 67

〈표 IV-4〉 공모제 교장에 대한 교사들의 학교급별 인식 차이 70

〈표 IV-5〉 승진제 교장에 대한 교사들의 학교급별 인식 차이 73

〈표 IV-6〉 공모 유형과 학교급별에 따른 기술통계 74

〈표 IV-7〉 공모 유형과 학교급별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 검정 74

〈표 IV-8〉 공모제 교장에 대한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 76

〈표 IV-9〉 승진제 교장에 대한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 79

[그림 II-1] 직무수행에서 역할과 능력의 관계 모형(신상명,1998) 43

[그림 IV-1] 임용 유형에 따른 교사들의 인식 차이 61

[그림 IV-2] 공모 유형과 승진제에 따른 인식 차이 68

[그림 IV-3] 공모제 교장에 대한 학교급별 인식의 차이 71

[그림 IV-4] 공모 유형과 학교급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 75

[그림 IV-5] 공모제 교장에 대한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 77

초록보기 더보기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teachers perceive the school principal's job performance ability in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classified by the type of principal selection system, the type of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of principal, school level, and teacher's sex. In addition, this study is also to present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related to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of school principals. In order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principal's job performance ability, this study employs a questionnaire survey for 774 teachers from 28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As a statistical tool, this study uses Student t-test,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 the job performance ability of principals selected under the seniority-based promotion system more positively than under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with respect to the type of principal selection system. Second, the teachers perceive the job performance ability of principals in the internally recruiting method more positively than in the invitational recruiting method, with respect to the type of public subscription system. Third, the teachers perceive the job performance ability of principals in the elementary schools more positively than in the secondary schools, with respect to the school level. However, there exist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Fourth, with respect to the teacher's sex, the male teachers on average perceive more positively than the female teachers.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perception in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iority-based promotion 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sychological resistance of teachers against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itself, which has been introduced by Korean Government initiatives without consensus among the major stakeholders including school teachers, results in the negative perceptions on the job performance ability of school principals selected under this new selection system. Therefore, in order to successfully establish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as an important selection method of school principals, the broad support from the school teachers to this system should be required. Furthermore, since the preference for the specific type of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is different depending on school levels, it is a more effective approach to its broad enforcement that the allocation ratio of the specific types of the public subscription system should be determined on the basis of school level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