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6
제1절 연구의 목적 6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8
1. 연구의 범위 8
2. 연구의 방법 10
제2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 11
제1절 가정폭력의 개관 11
1. 가정폭력의 의의 11
2. 가정폭력의 발생역학구조 12
3. 가정폭력의 특성 17
제2절 외국경찰의 가정폭력 대응실태 20
1. 미국 20
2. 영국 24
3. 독일 27
4. 호주 및 뉴질랜드 28
5. 일본 40
제3장 경찰의 가정폭력 대응실태 및 문제점 44
제1절 가정폭력의 실태 44
1. 공식통계상 가정폭력의 실태 44
제2절 경찰의 가정폭력사건 처리현황 49
제3절 경찰의 대응실태에서 드러난 문제점 52
1. 신고·출동 단계 52
2. 현장개입단계 57
3. 사후관리단계 60
제4장 경찰의 효과적인 가정폭력 대응방안 63
제1절 가정폭력 대응 입법구조의 개선 63
1. 임시조치 및 보호명령의 개선 63
2. 경찰의 위험예방조치를 위한 실무권한 강화 67
제2절 경찰의 위기개입 개선 70
1. 경찰의 현장개입 개선 70
2. 가정폭력 수사시의 개선 73
3. 체포 및 구금에 대한 개선 75
4. 경찰의 인식 전환 77
제3절 경찰의 가정폭력 사후관리 개선 79
1. 유관기관들과 협력체계 구축 79
2. 지역사회와의 공동 대응능력 제고 80
제5장 결론 82
참고문헌 84
ABSTRACT 88
Domestic violence, especially female spouse assault, goes beyond just an individual's pain and sorrow and has become serious social problem. Domestic violence has been related to problems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and female assault. Furthermore, it can result in murder of attacker. In addition, domestic violence can ruin the victim's life irreplaceable and rest of the family members, too. We have concerned, however, about violence while we had little focus and concern about domestic violence.
We can suggest the reasons for prevailing of domestic violence in Korea: we still have sex discrimination and patriarchal thoughts, and police intervention at the crime scene hasn't served its role properly. It is very important for police to intervene at the right time and in a proper way to prevent and response the domestic violence. Still, police hasn't taken proper actions and the interventions hasn't taken place at the right time, either.
Therefore, it is needed to improve the intervention strategies of police, who takes charge of the affair, to response more effectively. Unlike other violent crimes, domestic violence has a special characteristic that offender and victims share the life environment together and have intimate relationship. So all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has to be connected closely and mutually to protect the victims and remove the possibility of recidivism.
This study incorporates the realities on response of police on domestic violence and problems in doing so and suggests the counterplan for it. It is needed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domestic violence to understand exact realities and to respond more effectively. So this study suggests the definition, dynamic structure and characteristic of domestic violence, and then, grasp the situation of domestic violence and realities of police respons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rgues the problems at hand and the changes for the better.*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