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퍼블리시티권의 법리와 입법방안에 관한 연구 / 김성환 인기도
발행사항
대전 :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9.8
청구기호
TD 340 -9-367
형태사항
xii, 25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53424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남대학교 대학원, 법학, 2009.8. 지도교수: 김관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ACKNOWLEDGMENTS

목차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방법·범위 및 표기 20

I. 연구방법 20

II. 연구범위 및 내용 21

III. 용어의 표기 22

1. 퍼블리시티(publicity) 23

2. 퍼블리시티권의 객체 -"persona" 23

3. 영문자료의 표기 24

제2장 퍼블리시티권의 개념 및 연혁 25

제1절 퍼블리시티권의 개념 25

제2절 미국에서의 퍼블리시티권의 발달 27

I. 프라이버시권의 형성과 발전 28

1. Warren & Brandeis 28

2. Roberson case 29

3. Pavesich case 29

II. Publicity권의 형성과 발전 31

1. Haelan case 32

2. Melville B.Nimmer 33

3. William L.Prosser 34

4. 1970년대 이후 퍼블리시티권의 발전 35

가. Zacchini case 및 Presley case 35

나. Zacchini 사건 및 Presley 사건에 대한 평가 38

다. 퍼블리시티권 법률의 제정 40

제3절 구미 및 아시아에서의 퍼블리시티권 41

I. 구미 각국 41

1. 캐나다 41

2. 독일 42

3. 영국 44

4. 프랑스 45

5. 이탈리아 46

6. 오스트레일리아 46

II. 아시아 47

1. 일본 47

2. 중국 48

제4절 한국에서의 퍼블리시티권 발전 49

I. 퍼블리시티권 성립기 : 1980년대-1990년대 중반기 50

1. 한혜숙 사건 50

2. 최애숙 사건 51

3. Newsweek 사건 52

II. 퍼블리시티권 정착기 : 1990년대 중반기 -2000년대 초반기 53

1. 이휘소 사건 54

2. 제임스 딘 사건 55

가. 제임스 딘 사건 1 56

나. 제임스 딘 사건 2 57

다. 제임스 딘 사건 3 59

라. 제임스 딘 사건 4 60

3. Vidal Sassoon 사건 61

4. 장 정 사건 63

5. 허브좌훈 사건 63

6. 김민희 사건·은지원 사건 64

III. 퍼블리시티권 발달기 : 2005년 이후 65

1. 이영애 사건 66

2. 프로야구 선수 사건 67

3. 이효석 사건 69

4. 웃찾사 따라와 사건 71

5. 류시원 사건·김석훈 등 5인 사건·배용준 등 3인 사건 72

6. 심형래 사건 74

7. 배드민턴 선수 사건 75

8. 연예인 66인 사건 76

제5절 퍼블리시티권의 향후 전망 79

제3장 퍼블리시티권의 본질 82

제1절 퍼블리시티권의 이론적 근거 82

I. 이론적 근거 모색의 필요성 82

II. 도덕적 당위론 (Moral Arguments) 84

1. 노동이론 (Claims of Labor) 85

가. 검토의 전제 - 노동의 개념 85

나. 노동이론에 대한 검토 86

2. 부당이득방지론 (Prevention of Unjust Enrichment) 96

가. 의의 및 연혁 96

나. 부당이득방지론의 적용 97

다. 부당이득방지론의 검토 100

III. 경제적동기부여론 (Economic Arguments) 101

1. 인센티브 이론 (Incentive Arguments) 101

가. 의의 101

나. 인센티브의 효과성 103

다. 인센티브의 비용 108

2. 배분적효율성이론 (Allocation Efficiency) 111

가. 의의 111

나. 공유지의 비극 이론의 검토 112

다. 배분적 효율성 이론의 적용 114

IV. 소비자보호이론 (Consumer Protection) 116

1. 허위광고의 예방 116

2. 광고책임의 강화 118

V. 소결 120

제2절 퍼블리시티권의 법적 성격 122

I. 미국에서의 논의 122

1. 재산권설 123

가. 의의 123

나. 재산권설의 이론적 근거 124

2. 프라이버시권설 126

가. 의의 및 연혁 126

나. 검토 및 평가 127

3. Work product 설 129

가. 의의 및 연혁 129

나. 검토 및 평가 130

4. 저작권설 131

가. 의의 및 연혁 131

나. 평가 132

II. 일본에서의 논의 132

1. 재산권론 133

2. 인격요소를 가미한 재산권 133

3. 대가청구권 134

제3절 퍼블리시티권과 인접권리와의 비교 134

I. 인격권과의 관계 134

1. 인격권설 134

2. 인격과 결합된 재산권설 135

3. 인격권과 재산권의 결합설 136

4. 재산권설 136

5. 소결 137

II. 저작권과의 관계 137

III. 상표권과의 관계 140

제4절 퍼블리시티권의 주체와 객체 143

I. 퍼블리시티권의 주체 144

1. 자연인 144

2. 고인 146

3. 법인 또는 단체 148

4. 동물 150

II. 퍼블리시티권의 객체 150

1. Persona의 보호 151

가. 성명 151

나. 사진·초상 153

다. 음성·서명 153

라. 연기·캐릭터 154

마. 특정인을 연상시키는 image·catch phrase 156

바. 주소(住所)·조상(彫像) 158

2. 동물·물건 159

제4장 퍼블리시티권의 한계 161

제1절 서언 161

제2절 퍼블리시티권과 언론의 자유 162

I. Persona의 상업적 이용 162

II. 전기(傳記) 또는 서적의 발간 166

III. 소결 168

제3절 퍼블리시티권과 예술표현의 자유 168

I. 실질적 악의 기준 (Actual Malice test) 170

II. 실질적 변형기준 (Transformativeness test) 171

III. 예술영역기준 (Cultural Niche Theory of Art) 173

IV. 공정이용의 원칙 (Fair Use Doctrine) 174

1. 공정이용원칙(Fair Use Doctrine) 도입의 검토필요성 175

2. 저작권법의 공정이용원칙 176

가. 저작물 이용의 목적과 성격 (purpose and character of the use) 177

나. 저작권이 부여된 저작물의 성질 (nature of the copyrighted work) 178

다. 이용된 부분이 저작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양적·질적 비율 (amount and substantiality of the portion used) 178

라. 당해 저작물의 잠재적 시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use upon the potential market) 179

3. 퍼블리시티권에 대한 공정이용 원칙의 적용 180

가. 공정이용원칙의 적용사례 181

나. 공정이용원칙의 수정 적용 181

V. 소결 182

제4절 패러디와 퍼블리시티권 184

제5장 퍼블리시티권의 이전성 186

제1절 퍼블리시티권의 이전 186

I. 최초판매의 원칙 (First sale doctrine) 186

II. 퍼블리시티권의 사용허락 (Licensing) 187

1. 전용사용의 허락 (Exclusive license) 187

2. 통상사용의 허락 (Non-exclusive license) 189

3. 강제실시권 (Compulsory(Compulsary) License) 190

제2절 퍼블리시티권의 양도 및 상속 191

I. 미국의 판례 및 규정 192

1. 퍼블리시티권의 상속성 인정여부 192

가. 부정설 192

나. 긍정설 193

다. 법원의 판례 195

2. 퍼블리시티권의 생존중 이용 196

가. 의의 및 적용 196

나. 생존중 이용 요건의 검토 199

3. 퍼블리시티권의 등록 200

II. 각국의 퍼블리시티권 양도 및 상속제도 201

1. 독일 201

2. 영국 202

3. 프랑스 203

4. 이탈리아 204

5. 아르헨티나 205

6. 일본 205

III. 우리나라에서의 퍼블리시티권 양도 및 상속성 논의 206

가. 부정설 206

나. 긍정설 207

IV. 소결 209

제3절 퍼블리시티권의 존속기간 210

I. 미국에서의 논의 210

II. 우리나라에서의 논의 211

III. 소결 212

제6장 퍼블리시티권의 침해와 구제 214

제1절 퍼블리시티권의 침해유형 214

I. 광고 또는 제품보증 목적의 이용 214

II. Persona제품의 무단 제작 판매 217

III. 개인의 독특한 스타일 또는 개성의 무단 이용 218

제2절 퍼블리시티권 침해의 구제 220

I. 민법에 의한 구제 221

1. 재산상 손해에 대한 배상 221

2. 위자료 222

3. 부당이득반환 223

4. 침해금지 및 제거청구 224

5. 침해회복에 적당한 처분 226

6. 징벌적 손해배상의 검토 226

II. 반론보도청구 228

III. 부정경쟁행위금지에 의한 구제 228

제7장 퍼블리시티권의 입법 230

제1절 미국에서의 퍼블리시티권 입법현황 230

제2절 우리나라의 퍼블리시티권 관련법률 현황 231

I. 민법 232

II. 상표법 233

1. 저명한 고인의 persona의 상표등록 제한 233

2. 생존하는 인물의 persona의 상표등록 제한 235

III. 부정경쟁방지법 236

IV. 저작권법 237

제3절 입법에 의한 퍼블리시티권 도입방안 238

I. 기존 법률을 통한 입법적 수용 238

1. 상표법에 의한 퍼블리시티권 법제화 238

2. 저작권법에 의한 퍼블리시티권 법제화 238

II. 민법에 의한 잠정적 운용 240

III. 물권법정주의와의 관계 241

IV. 퍼블리시티권 용어의 수용방안 242

제8장 결론 246

참고문헌 250

ABSTRACT 264

부록 : 미국 각 주의 퍼블리시티권 보호제도 267

초록보기 더보기

The right of publicity was first known to the Korean legal society in 1995 when damages were sought with a totally new cause of action in the name of 'an infringement of the right of publicity' by the descendants of a late Korean-American atomic physicist whose name and portraits were alleged to have been appropriated in two novels published in Korea without plaintiff's prior consent. Though the plaintiff lost the case for failing to satisfy the requirements for damages, the court made a memorable holding in which the concept of the publicity right was first recognized in Korea's legal history. From this case on, an increasing number of famous entertainers have begun to exploit the publicity right to gain economic profit from their persona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ntertainment and professional sports business in Korea, the image of a famous person has acquired an ever growing potential for significant economic value.

Historically, the concept of the right of publicity was conceived in the 1950's in the common law of America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legal protection to the natural persons, whether famous or not, who have commercial value in their personae. The publicity right has its root in the privacy right. Yet, it has been moving forward constantly in the direction of getting recognition as a kind of property right having the nature of intellectual property. However, publicity right has been under unstable recognition in United States common law, mainly because of the lack of uniformity in its application. For this reason, some 19 U.S. states have incorporated the right of publicity in their codes, and U.S. legal society are making efforts for a uniform code of publicity right to preempt various state laws. Under this historical background, Korea is advised to take the following discussions in its approach to the right of publicity for its incorporation into her laws.

(1) Publicity right has its root in the right of privacy. Yet it is not the right direction to apply the privacy doctrines to the publicity right cases, because privacy rules are negative to the property nature of 'the rights arising from human personality, one of which is the right of publicity.

(2) Publicity right should provide protection to the persona of natural persons, not to that of things or animals, because the right is based on the personality of natural persons. Protection should be offended to 'all persons', not only to the famous ones. For publicity right purpose, it would be fair to treat all persons equally but in proportion to the commercial value carried in his persona.

(3) Since publicity right is a private property owned by a person, it may well be subject to the legitimate public interest including the freedom of press. America is a good example where various tests were used in case laws for harmonizing the private interest of publicity right and the public interest of the society. Out of these tests applied in America, the 'transformativeness test' and the 'doctrine of fair use' could be the two most appropriate tests applicable in Korea.

(4) The right of publicity should be allowed to be transferred or decscended. Otherwise, it would be meaningless to take the right as a 'property right'. However, the right is transferable or descendible with the restraint in its exercise arising from its nature as a personal right. For, example, a law could regulate the publicity right to last only for limited period after death of the right holder, so that the right would come to an end with the gradual diminution of the value of the right. Since publicity right is a sort of property right, all remedies in civil actions should be recognized, including damages, unfair profit, or injunctive relief.

(5) Publicity right is a kind of property right having the nature of intellectual rights. Hence, publicity right could be enacted in the civil laws or intellectual property laws like copyright law. A record is confirmed that Korean parliament has proposed in 2005 an amendment to the Copyrighr Law for the purpose of incorporating the publicity right in its ambit, but failed in its enactment. However, it is not the right idea to resort to the copyright law for providing legal ground to the publicity right, because copyright differs from the publicity right in that copyright protects the creation from human efforts (e.g.,the book, the artistic performance), while publicity right protects the by-product from the human efforts (e.g., the image of a famous baseball player). America is a significant example in that most states have enacted the publicity right law in the civil code, not in the copyright code.

Up to now, not a single publicity right case was tried in Korea's Supreme Court. Korean courts in general seem to be neutral for any concrete step either in the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regarding the right of publicity. Courts just watch the Parliament exerting to enact a law of publicity right. There seems to be some negative stances in the law schools against the hasty enactment of the right of publicity, and there also seems to be wary voices over the inconsistent holdings and decisions from the courts over many legal issues of the right of publicity including its descendibility and period of its existence after death of the right holder.

From the past experiences in both the United States and Korea, publicity right will get growing importance as a legal tool to gain commercial profit for the persons having commercially valuable fame. Publicity right is sure to take its place somewhere in the legal system in the near future. Intellectual property laws including copyright law is not a plausible alterative. The answer should be the sphere of civil laws under which publicity right would have its home either in the code or in the common law.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