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남·북한 음악교과서 비교분석 연구 / 이지연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8
청구기호
TM 780.7 -9-295
형태사항
vi, 9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5369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2009.8. 지도교수: 이윤정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0

2. 연구 내용 및 방법 12

3. 선행연구 고찰 13

Ⅱ. 남·북한의 음악교육관 비교 17

1. 남한의 음악교육관 17

2. 북한의 음악교육관 19

3. 남·북한 음악교육관 비교 22

Ⅲ. 남·북한 음악교육 비교 24

1. 남·북한 학제 비교 24

2. 남·북한 음악교육 체계 비교 26

3. 남한의 음악교육 30

1) 가창 34

2) 기악 39

3) 감상 41

4) 창작 43

4. 북한의 음악교육 44

1) 가창 49

2) 기악 61

3) 감상 64

4) 창작 66

5. 남·북한 음악교육의 비교 67

1) 가창 영역 68

2) 기악영역 69

3) 감상영역 70

4) 창작영역 70

Ⅳ. 설문조사를 통한 통일교육 제재곡 선정 72

1. 제재곡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 72

2. 제재곡의 실제 수업적용방안 77

1) 실제 수업적용방안의 방향 및 내용 77

2) 제재곡의 실제 수업적용방안 78

Ⅴ. 결론 96

참고문헌 99

Abstract 101

(표 1) 북한의 일반교육체계 25

(표 2) 남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연간 시간 배당 27

(표 3) 북한 인민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연간 시간 배당 29

(표 4) 남·북한 음악교과 이수 시간 비교 30

(표 5) 남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목차 31

(표 6) 남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활동영역 비율 33

(표 7) 남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영역별 전통음악 비율 34

(표 8) 남한 음악교과서 가창곡 분류 35

(표 9) 남한 음악교과서 가창곡 가사 내용 분류 36

(표 10) 남한 음악교과서 가창곡 조성 분석 37

(표 11) 남한 음악교과서 가창곡 박자 분석 38

(표 12) 남한 음악교과서 기악곡 분석 40

(표 13) 남한 음악교과서 감상곡 분석 42

(표 14) 북한 인민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목차 46

(표 15) 북한 인민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영역별 비율 49

(표 16) 북한 인민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가창곡 가사 내용 분석 51

(표 17) 북한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시창곡 가사 내용 분석 53

(표 18)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시창곡 (가사有) 54

(표 19)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가창곡 조성 분석 55

(표 20)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시창곡 조성 분석 56

(표 21)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가창곡 박자 분석 56

(표 22)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시창곡 박자 분석 57

(표 23)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기악영역 분석 62

(표 24)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감상곡 분석 65

(표 25) 남·북한 초등(인민)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영역 비율 68

(표 26) 남·북한 초등(인민)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가창곡 가사 분석 69

(표 27) 통일 의식 설문조사 결과 75

(표 28) 북한 인민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 동요 분석 79

(표 29) 통일 단원 1차시 지도안 83

(표 30) 통일 단원 2차시 지도안 85

(표 31) 전통음악 단원 3차시 지도안 90

(표 32) 전통음악 단원 4차시 지도안 92

(그림 1)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3학년 중 삽화 1 45

(그림 2)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3학년 중 삽화 2 45

(그림 3)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4학년 중 삽화 1 45

(그림 4)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4학년 중 삽화 2 45

(그림 5)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3학년 28쪽 제12과 〈시창곡 (6, 7, 8)〉 60

(그림 6)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4학년 20쪽 제8과 〈시창곡 (5, 6)〉 60

(그림 7)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4학년 55쪽 〈선률 만들기〉 66

(그림 8) 통일 단원의 예시 〈첫째가 학습〉 82

(그림 9) 남한 초등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 10~11쪽 제4단원 〈도라지 타령〉 87

(그림 10) 전통음악 단원의 예시 〈황금산의 벽도라지〉 88

(악보 1) 인민학교 3학년 음악교과서 10쪽 51

(악보 2)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3학년 51쪽 제23과 〈시창곡 (16)〉 52

(악보 3) 인민학교 3학년 35쪽 〈시창 련습곡〉 58

(악보 4)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4학년 50쪽 59

(악보 5) 인민학교 음악교과서 4학년 16~17쪽 62

(악보 6) 북한 인민학교 4학년 음악교과서 32쪽 제14과 〈첫째가 학습〉 기악과 노래 80

초록보기 더보기

남한과 북한은 6.25전쟁 이후 서로 다른 체제 아래 분단국가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60년 가까운 세월동안 남·북한간의 갈등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한민족으로서 언젠가는 이루어야 할 통일에 대비하여 통일교육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음악교육을 비교분석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제재곡을 선정하여 통일교육의 실제 수업적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통일교육의 실제 수업적용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먼저 음악 교육관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음악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통일교육으로서의 실제 수업적용방안을 구성하였다.

남·북한 음악교육관을 비교·분석한 결과, 남한은 음악을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계발분야로 다루고 있는 반면, 북한은 사회주의의 유지를 위한 강력한 이념통제의 수단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남한과 북한이 확연히 다른 음악 교육관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남·북한 음악교과서 비교·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창영역의 경우 남한 초등학교는 활동영역 중 가창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북한 인민학교는 가창단원 외에 시창단원까지 더하여 남한의 2배 가까운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 남한에 비하여 가창영역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창영역의 또 다른 특징으로 남한에서는 가창곡의 가사가 동·식물과 자연에 대한 내용 등 서정적인 가사 위주로 구성되어있는 반면, 북한에서는 김일성·김정숙·김정일을 찬양하는 내용이 2/3에 달하고 있었다. 따라서 감수성을 키워주는 남한과는 달리 북한 가창곡의 가사는 이념적 표현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악영역의 경우 남한에서는 기악 활동이 합주 외에도 장단의 변화주기 등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지만, 북한 인민학교 음악교과서에서는 가창을 위한 기악합주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북한 인민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기악활동이 남한에 비하여 다양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감상영역의 경우 남한에서는 시대와 문화가 다른 곡을 감상하게 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다양한 간접경험을 할 수 있게 교육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모든 감상곡은 북한 작곡자들이 근래에 작곡한 곡이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북한이 사회주의의 존속과 김정일 체제에 장애가 되는 타 문화를 철저히 차단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창작영역의 경우 남한에서는 리듬 만들기·즉흥연주 등 여러 활동을 제시하고 있지만, 북한에서는 '선률 만들기'의 단 한 가지 내용을 창작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북한 인민학교 음악교과서에 나오는 창작활동은 사회주의적 사고 발달을 위하여 최소한으로 제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음악교과를 통한 통일교육의 실제 수업적용 방안을 제시한 것은 통일 교육을 위한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 미래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통일에 대비하여 남한과 북한의 이질성과 동질성을 단계적으로 접하게 해줌으로써, 스스로 통일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하는 올바른 통일교육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함께보면 좋은 자료 Close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