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해외건설 반세기를 통해 본 건설 선진화에 관한 연구 / 전낙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8
청구기호
TD 690 -9-403
형태사항
ix, 61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53774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 2009.8. 지도교수: 김재준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논문 축약(Abstract)

목차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방법 16

제3절 연구의 범위 21

제4절 기존 연구와의 차별 22

제2장 해외건설업 25

제1절 해외건설업의 법에 의한 정의 25

제2절 지리적인 위치와 재원에 의한 정의 26

제3절 해외건설업의 필요성 28

제4절 해외건설업을 위한 구비 요건 31

가. 건설사업관리의 능력: 31

나. 특허로 보호되는 기술 32

다. 금융제공능력: 32

라. 인적자원의 확보 33

제5절 우리나라 해외건설업의 변천 33

제3장 해외건설의 요람기(광복 이후 1965년 이전까지) 39

제1절 미군의 진주와 원조 39

1. 미군의 한반도 진주와 ERP 39

2. 마셜플랜(Marshall Plan)과 원조자금 39

3. 요람기 초기의 해외건설공사 41

제2절 애치슨라인(Acheson Line)과 한국의 6.25동란 43

1. 애치슨라인 선포 43

2. 한국의 6.25동란 44

제3절 한국동란의 휴전과 미군시설의 반 영구화 46

1. 한국동란의 휴전 46

2. 미군시설의 반 영구화(半 永久化) 47

3. 미국 업체로부터의 물적(物的) 학습 52

4. 미국 기관/업체로부터의 지적(知的) 학습 56

제4장 개척기의 해외공사 59

제1절 한국건설업체의 해외진출 동기 59

1. 대양(大洋)과 미국의 안보(安保) 59

2. 미국의 안보와 월남의 전략적 가치 61

3. 브라운각서(Brown Memorandum) 63

4. 브라운 각서의 이행 64

제2절 개척기의 해외건설공사 65

1. 한국(韓國) 업체(業體)의 우수성(優秀性) 65

2. 친한파(親韓派)의 공사정보(工事情報) 66

3. 개척기(開拓期)에 월남(越南)에서 공사 수주(受注) 67

4. 개척기(開拓期)의 기타지역(其他地域) 70

제3절 개척기에 정부(政府)의 해외건설지원(支援) 정책 72

제4절 개척기(開拓期)의 해외건설에 대한 평가(評價) 73

1. 해외건설업(海外建設業)은 민간주도(民間主導)로 73

2. 수주전략(受注戰略) 및 전술(戰術) 74

3. 대민사업(對民事業) 74

4. 해외건설업(海外建設業)의 효과(效果) 76

제5장 성장기의 해외공사(중동진출) 85

제1절 중동진출의 계기 85

1. 중동지역 개황 85

2. 중동진출계기 88

3. 수주 개황 89

제2절 사우디아라비아 건설공사 수주 91

1. 카이바-알 울라 간 고속도로 공사(삼환기업) 92

2. 제다 시 도시미화 공사 1차, 2차 공사(삼환기업) 92

3. SNEP Mobolization Camp, Jeddah (삼환기업) 93

4. 주베일 SNEP Off-shore + Mob. Camp 추가 (현대건설) 94

5. SANG 본부 청사 (삼환기업) 95

6. 주베일 산업항(産業港) (현대건설) 97

7. 라스 타누라 나프타 처리시설과 부탄 냉동 및 처리 시설 (대림산업) 98

8. 주아이마 천연가스 액화공장 (대림산업) 99

9. UPM 도서관 확장 및 부대시설 공사 (대림산업) 100

10. 알 코바르 상·하수도 및 하수처리 시설공사 (삼부토건) 101

11. 담암 고층 아파트 (동산토건, 현 두산건설) 102

12. 다하란 공군기지 숙소 신축 (럭키 개발/ 현 GS건설) 103

13. 알 코바르 및 제다 공동주택 (현대건설) 106

14. 이맘대학교 건설 사무소와 독신자숙소 및 부대시설(럭키개발/GS건설) 107

15. ARAMCO 독신자 아파트 및 학교 공사 (공영토건) 108

16. 리야드 공동주택 (대림산업) 109

17. 킹 사우드 대학교 (럭키개발) 110

18. 타이프 킹 파하드 스포츠 센터 (삼부토건) 111

19. 얀부 Oil Port (현대건설) 112

20. 알 카티프 종합병원 (삼성물산 건설) 113

21. 경찰대학(킹 파하드 경찰대학) (현대건설) 114

제3절 성장기에 사우디와 마그레브 이외의 중동 프로젝트 114

1. 이란, 코람샤르 항만 공사 (신원개발, 현 삼성물산 건설부문) 116

2. 바레인, 아랍수리 조선소 (현대건설) 117

3. 이라크, 움카스르 5,6,7 부두공사(유황부두) (신원개발, 현 삼성 건설) 119

4. 쿠웨이트, 슈아이바 항만 1~3차 확장공사 (현대건설) 120

5. 카타르, QAPCO 일반 부대시설공사 (대림산업) 121

6. 카타르, 라스 아부 폰타스 발전소 및 펌프장 3, 4 단계 확장 (대림) 121

7. 이란, 아화즈(Ahwaz) 액화천연가스 추출공장 1, 2차 (대림산업) 122

8. 예멘, 브러-호데이다 간 도로공사 (삼환기업) 124

9. 카타르, New Doha Hotel (현대건설) 125

10. UAE, 루웨이스 가스추출공장 (대림산업) 125

11. 쿠웨이트, 서 도하 발전소(Doha West Power Station) (대림산업) 127

12. 이라크, 바그다드 의료 단지 (현대건설) 128

13. 오만(Oman), 정유공장 (현대건설) 130

14. 북 예멘, 고압(132kv, 133kv) 송전선로 확장 (현대건설) 131

15. 이라크, 요시(YOSI) 고속도로 (현대건설) 132

16. 이라크, 사마라 활루자 2,800 세대 주택공사 (현대건설) 133

17. 이라크, 전력사업 132kv(ITL-46, ITL-49, ITL-50) (현대건설) 135

18. 이라크, 철도 공사 (해외건설과 현대건설·남광토건·정우개발) 136

제4절 리비아(Libya) 시장 138

1. 미수라타 장병숙소 (신원개발, 현 삼성 건설) 139

2. 벵가지 가리우니스 의과대학 (대우건설) 140

3. 부스타 군용비행장 (대우건설) 141

4. 벵가지 AGOCO 석유회사 사옥 (대우건설) 142

5. 우조 비행장 (대우건설) 143

6. 홈즈(Khoms) 낙농공장 (삼성건설) 145

7. 브레가(Brega) 공동주택 (대우건설) 146

8. 라스 라누푸 항만공사 (현대건설) 146

9. 즐리탄(Zlitan) 시멘트 공장 (대우 건설) 147

10. 서르트(Surt)-와단(Wadan) 간 도로 (삼성 건설) 149

11. 미수라타 발전소 및 담수화 플랜트 (현대건설) 149

12. 트리폴리 안과병원 (삼성건설) 150

13. 트리폴리 5천 세대 공동주택 (대우건설) 151

14. 벵가지(Benghazi) 7천 세대 공동주택 (대우건설) 153

15. 트리폴리 중앙병원 (대우 건설) 154

16. 미수라타 종합제철 단지 (삼성건설) 155

17. 트리폴리 지역 2천5백 교실 (대우 건설) 156

18. 대수로 공사 1 단계 (동아 컨소시엄) 157

19. 벵가지 국제공항 귀빈실 (대우건설) 160

제5절 성장기의 이집트 및 아프리카의 건설 프로젝트 161

1. 나이제리아, 유리용광로 공사 (동산토건, 현 두산건설) 162

2. 남아공, Caltex 정유공장 (대림산업) 163

3. 이집트, 엘 샴스 호텔 (동산토건, 현 두산건설) 163

4. 수단, 영빈관 (대우건설) 164

5. 수단, 포트수단 타이어 공장 건설 (대우건설) 165

6. 이집트, 아랍-아프리카 국제은행 본부 사무실 건설(동산토건) 166

7. 이집트, Suez 가스 집하장 시설공사 (대림산업) 167

8. 이집트, 슈브라 엘 케이마 화력발전소 건설 (대림산업) 168

제6절 성장기 아시아와 남미 지역의 프로젝트 170

1. 인도네시아, 자고라위 고속도로 (현대건설) 171

2. 방글라데시, 베라마라 가스터빈 발전소 (대림산업) 172

3. 홍콩, 폴리스틸렌 탱크 설치 (대림산업) 173

4. 에콰도르, 퀴토시 포장, 상·하수도 (대우건설) 173

5. 네팔, 쿨레카니(Kulekhani) 댐 (삼부토건) 174

6. 네팔, 쿨레카니 댐 지하발전소 (삼부토건) 174

7. 말레이시아, 천연가스(M-LNG) 공장 건설(대림산업) 176

8. 말레이시아 공과대학 종합캠퍼스 1단계(삼부 토건) 177

9. 싱가포르, 플라우 부콤 정유공장 개·보수 공사 (대림산업) 178

10. 싱가포르, 마리너 센터 상업관광단지 (현대건설) 179

11. 싱가포르, 8,000 세대 공동주택 공사 (대우건설) 180

제7절 성장기 해외건설의 평가 182

1. 해외건설에 참여한 업체 182

2. 공사의 수행 186

3. 물적 학습 196

4. 성장기 해외건설에서의 한국 업체의 경쟁력 200

5. 성장기 해외건설에 대한 정부의 지원정책 202

6. 성장기의 해외건설의 성과 204

7. 다양한 역사적 이벤트 211

제6장 조정기의 해외건설공사 217

제1절 조정기 217

제2절 조정기의 프로젝트들 (사우디아라비아) 218

1.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타이프 화력발전소 (현대건설) 219

2. 사우디아라비아, 마을 공사 (새마을 운동) (제다, 리야드, 타북, 담암과 얀부 등 9개지역) 공사 220

3.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의료단지 (현대건설) 221

4. 고압 송전선로 공사 (현대 건설) 222

5. 사우디아라비아, 내무성 본청청사(현대건설) 223

6. 사우디아라비아, 킹 파하드 국제공항 주차장(삼성물산 건설) 224

7. 사우디아라비아, 송전선 가설공사(현대건설) 225

제3절 조정기의 사우디아라비아 이외의 중동지역 프로젝트 226

1. 이란, 캉간 가스정제 1, 2단계(대림산업) 228

2. 리비아, 트리폴리 정부청사 (대우 건설) 231

3. UAE, 두바이 하수처리 공장(대우건설) 232

4. 이라크, 알 무사이브 화력발전소 (현대건설) 233

5. 이라크, 초대형 수리 조선소 (현대건설) 234

6. 이라크, 키르쿠크 상수도 건설 (현대건설) 235

7. 이라크, 400kv 초고압 변전소 (GIS-400) (현대건설) 235

8. 이라크, 이라크-사우디 송유관 (IPSPA_II) (현대건설) 236

9. 리비아, 트리폴리 3개 지역 도로공사 (대우건설) 237

10. 리비아, 대수로 공사 2단계 (동아 컨소시엄) 238

11. 이란, NISCO 재개(再開) (현대건설) 240

12. 이란 반다르 이맘 올레핀 공장 (대림산업) 241

13. 리비아, Ras Lanuf 폴리에틸렌 공장과 라스코 패키지 “A” (현대건설) 242

14. 리비아, Ras Lanuf 폴리머 제품 처리설비 및 필름 생산공장 242

15. 쿠웨이트, 샤비아 발전소 토건부문 (현대건설) 243

16. 이란, 카룬(Karun) 댐 건설공사 (대림산업) 243

17. 리비아, 대수로 2단계용 송배전 66kv/33kv (현대건설) 245

제4절 조정기의 아시아 및 기타 지역 프로젝트 246

1. 말레이시아 수도권 개발 체라스 주택 2단계 (현대건설) 247

2. 싱가포르, 창이공항 제2터미널 (현대건설) 248

3. 말레이시아, 파고-용펭 간 고속도로 (현대건설) 249

4. 싱가포르 지하철(MRT-2) 공사 (현대건설) 250

5. 말레이시아, 가스 정제 2, 3단계 (현대건설) 251

6. 싱가포르, 부라니 섬 컨테이너 터미널 (현대건설) 251

7. 타이, 올레핀 공장 (대림산업) 253

8. 말레이시아, 멜라카 정유공장 해상 터미널 (현대건설) 254

9.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라호르 간 고속도로(대우건설) 255

10. 싱가포르, 썬텍 씨티 프로젝트 패키지 3B & 4 (현대건설) 261

11. 말레이시아, 제4차 가스 정제공사 (MALGA) (현대건설) 264

12. 태국, 로얄차로엔크롬 랑산타워 (삼성물산 건설부문) 265

13.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신 국제공항 (대우건설) 266

14. 싱가포르, 창이공항 매립 2단계(SMEG-3) (현대건설) 269

15. 인도네시아, 바탐공항 3단계 (현대건설) 271

16. 라오스, 후웨이 호 댐 (대우건설) 272

17. 말레이시아, Petronas Twin Tower (삼설물산 건설부문) 276

18. 말레이시아, 플라자 라키아트 1, 2단계 (대우건설) 279

19. 싱가포르 동부병원 (현대건설) 281

20. 방글라데시, 자무나 강 다목적 교량 (현대건설) 282

21. 파키스탄, 물탄-미안찬누 도로공사 (삼부토건) 284

22. 네팔, 불교성지 룸비니 개발 2단계 (삼부토건) 287

23. 말레이시아, 랑카위 섬 개발 공사 (현대건설) 289

24. 파키스탄, 차스마 수력발전소 (현대건설) 289

25. 중국, 산동 시멘트 공장 (대우건설) 291

26. 싱가포르, 크란지 하수처리장 3단계 (현대건설) 293

27. 태국, 복합비료공장 (현대건설) 294

28. 싱가포르, 셀레타 하수처리장 3단계 (현대건설) 294

29.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가스 처리공장 5, 6호기 건설 (대림산업) 295

30. 말레이시아, Vision City (대우건설) 297

31. 방글라데시, 브라마푸트라 강 호안공사 (현대건설) 299

제5절 조정기의 특수한 프로젝트 300

제6절 조정기 해외건설의 평가 301

1. 환경변화에 따른 수주의 감소 302

2. 환경변화에 따른 업계의 대응(수주확대 방안) 303

3. 조정기의 경쟁력 307

4. 조정기의 해외건설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지원 308

5. 조정기의 해외건설의 성과 316

제7장 도약기의 해외건설공사 319

제1절 도약기의 개황 319

제2절 도약기에 수주한 공사 319

1. 말레이시아, Telecom Tower 건설 (대우건설) 320

2. 인도네시아, 보소아 시멘트공장 (대우건설) 323

3. 싱가포르, 창이공항 매립3단계 (현대건설) 324

4. 인도네시아, 말루크 디나미카 시멘트 공장 (대우건설) 324

5. 네팔, 카트만두 트리부반 국제공항 확장공사 (삼부토건) 325

6. 대만, 고속철도 C280 구간 (치아이-따이난) (삼성건설) 327

7. 인도, 다우리강가 강 수력발전소 댐 토목공사 (대우건설) 329

8. 인도, 델리 지하철 1단계, B공구 (삼성건설) 330

9. 나이제리아, 가스 집적 및 플로우 스테이션 (대우건설) 332

10. 대만, 타이페이 금융센터 (삼성물산 건설) 335

11. U.A.E., 버즈 두바이 (삼성건설) 337

제3절 최근 1년간의 해외건설 및 용역수주현황 340

제4절 계획 중인 해외건설 프로젝트 343

제5절 도약기의 평가 344

1. 외환 파동 344

2. 양극화 현상 345

3. 건설용역의 해외진출 346

4. 해외 건설시장의 추이 346

5. 시장변화에 대응 방안 349

6. 핵심관리 대상 353

7. 향후의 해외건설의 위축 예상 355

8. 경제적인 효과 356

9. 건설기술의 발전 357

10. 국내 실업률 저하에 기여도 358

11. 정치 외교에 기여 358

제8장 해외건설 변천단계별 비교와 선진화 제언 359

제1절 요람기에서 도약기까지의 개략 359

제2절 개척기에서 성장기로의 변천 363

제3절 성장기에서 조정기로 변천 367

제4절 조정기에서 도약기로 변천 372

제5절 선진화 제안 374

제9장 결론 375

제1절 이 연구의 시사점 375

1) 고급인력배출과 학습 375

2) 마셜 플랜(Marshall Plan)과 원조자금 375

3) 브라운 각서 376

4) 한국인의 근면·성실과 저임금 376

5) 투철한 개척정신 377

6) 진출국의 자국화 정책 377

7) 진출국가의 선택 378

8) 진출국의 법령, 문화 379

9) 적절한 계약방식 380

10) 건설기술의 발달 381

11) 시장변화에 대응 382

12) 해외시장의 위축 우려 382

13) 전문인력 양성 383

14) 교훈의 집성(集成) 383

15) 건설용역의 해외진출 384

제2절 연구의 한계 384

제3절 향후의 연구 385

참고문헌 387

부록 392

부록 1. 건설업체의 해외수주 건수와 해외건설 실적 392

부록 2. 최근 해외건설산업 수주(해외건설협회 발표) 449

부록 3. 애치슨라인(Acheson Line) 472

부록 4. 브라운 각서 473

부록 5. 미국역대 대통령과 역대 주한 미국대사 477

부록 6. 역대 미 육군 공병감 480

부록 7. 역대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482

부록 8. 각 대학 건설관련학과 인력배출 현황(1946~1995) 483

부록 9. 해외건설관련 실화·비화·애화 524

Abstract 625

감사의 글 628

〈표 1-1〉 1965년까지 전국 대학교 건설관련 공학과 졸업생 수 19

〈표 1-2〉 이 연구에 포함되는 부분 21

〈표 2-1〉 건설산업 26

〈표 2-2〉 국내·해외 건설업의 분류 28

〈표 2-3〉 해외건설 중반기의 해외건설 외화수입과 경상수지 30

〈표 2-4〉 해외건설업의 시기적 구분 38

〈표 3-1〉 미국의 대외 원조관련법/집행조직 40

〈표 3-2〉 우리나라에 도입된 원조 41

〈표 3-3〉 외국의 공적자금 수원(受援)현황 42

〈표 3-4〉 국내의 미군기지 48

〈표 3-5〉 한국에서 활동한 미국업체들 49

〈표 3-6〉 요람기의 미 육군 프로젝트 50

〈표 3-7〉 요람기의 미 공군 프로젝트 51

〈표 3-8〉 요람기에 외국 업체가 전수한 공사용 장비 53

〈표 3-9〉 요람기에 외국 업체가 전수한 공사용 장비/공구 55

〈표 3-10〉 요람기에 외국 업체가 전수한 공사용 자재 56

〈표 4-1〉 한국인이 월남에 개별 취업한 미국회사 67

〈표 4-2〉 개척기에 최초 월남진출 업체와 공사 68

〈표 4-3〉 개척기에 태국에서 수주한 공사 70

〈표 4-4〉 개척기의 월남과 태국 외 최초 진출 시장과 프로젝트 71

〈표 4-5〉 해외건설이 선도한 수교현황 77

〈표 4-6〉 목재관련 용어/약어 81

〈표 4-7〉 새로운 장비 공기구 및 자재 83

〈표 5-1〉 중동국가의 노동력 수급형태 85

〈표 5-2〉 중동진출 초기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주한 공사 91

〈표 5-3-1〉 역사적 의미를 갖는 성장기의 프로젝트 98

〈표 5-3-2〉 역사적 의미를 갖는 성장기의 프로젝트 108

〈표 5-4-1〉 사우디와 마그레브 이외 중동지역의 성장기 프로젝트 115

〈표 5-4-2〉 사우디와 마그레브 이외 중동지역의 성장기 프로젝트 124

〈표 5-5〉 사우디와 마그레브 이외 중동지역의 성장기 프로젝트(계속) 133

〈표 5-6-1〉 리비아에서 수주한 프로젝트 138

〈표 5-6-2〉 리비아에서 수주한 프로젝트 148

〈표 5-6-3〉 리비아에서 수주한 프로젝트 154

〈표 5-7〉 GMRP 1단계 개요 159

〈표 5-8〉 성장기의 이집트 아프리카의 프로젝트 162

〈표 5-9〉 포트수단 타이어 공장 건설 업무분장 166

〈표 5-10〉 성장기의 아시아 지역 프로젝트 170

〈표 5-11〉 해외건설업체의 전산시스템 보유현황 190

〈표 5-12〉 성장기의 건설 장비/공기구 196

〈표 5-13〉 성장기의 장비/자재 198

〈표 5-14〉 국제화된 선진국 표준 199

〈표 5-15〉 미국의 표준기관과 독립적 시험기관 200

〈표 5-16〉 성장기의 한국인 인건비(경쟁력) 비교 200

〈표 5-17〉 해외건설 외화가득액 추이 205

〈표 5-18〉 해외건설의 국제수지 개선효과 206

〈표 5-19〉 해외건설의 GNP기여효과 207

〈표 5-20〉 해외건설의 고용효과 208

〈표 5-21〉 성장기에 해외건설이 선도한 미수교국과의 수교현황 209

〈표 6-1〉 조정기의 공사비 1억불 이상 프로젝트 리스트 219

〈표 6-2〉 조정기의 공사비 1억불 이상 대형 프로젝트 리스트 227

〈표 6-3〉 리비아 대수로 공사 240

〈표 6-4-1〉 조정기의 아시아 프로젝트 리스트 (1986~1993) 247

〈표 6-4-2〉 조정기의 아시아 프로젝트 리스트 (1986~1993) (계속) 252

〈표 6-5〉 조정기의 공사비 1억불 이상 대형 프로젝트 리스 (1994~1996) 276

〈표 6-6〉 가나 도로공사 301

〈표 6-7〉 1981년과 1993년의 골조 공사비 비교 308

〈표 6-8〉 한국 건설산업체의 기술수준 311

〈표 6-9〉 해외건설업합리화 조치 결과 315

〈표 7-1〉 도약기의 아시아 프로젝트 리스트 320

〈표 7-2-1〉 최근 1년간 해외건설수주 340

〈표 7-2-2〉 최근 1년간 해외건설수주 (계속) 341

〈표 7-3〉 최근 1년간 건설용역 수주현황 342

〈표 7-4〉 시공 중인 마천루와 계획 중인 초고층 건물 343

〈표 7-5〉 국적별 인력평가 354

〈표 8-1〉 해외건설 개척기와 성장기의 비교 364

〈표 8-2〉 성장기와 조정기의 비교 368

〈표 8-3〉 조정기와 도약기의 비교 372

〈표 9-1〉 조사 불능으로 제외된 해외 프로젝트 385

〈그림 1-1〉 GDP·국내 건설투자·해외건설 수주액 14

〈그림 1-2〉 역사 연구의 의미 16

〈그림 2-1〉 국내건설과 해외건설의 국부증대 기여도 비교 29

〈그림 2-2〉 해외건설 변천 기간의 구분 34

〈그림 3-1〉 애치슨라인 43

〈그림 3-2〉 한국동란 중 한강철교 폭파와 피난민 대열 44

〈그림 3-3〉 오산 비행장 활주로 콘크리트 포장공사 51

〈그림 4-1〉 미국의 안보와 대양 60

〈그림 4-2〉 한-월 의료원 75

〈그림 4-3〉 Termite의 피해를 받은 목재와 건물 79

〈그림 5-1〉 이란의 인구 구성 86

〈그림 5-2〉 리비아 사막의 중심부 지도(사막 내의 와디, 헝가리에서 발행) 87

〈그림 5-3〉 주아이마 천연가스 액화공장 건설현장 100

〈그림 5-4〉 사우디아라비아 석유광물대학교 100

〈그림 5-5〉 알 코바르 상하수도 및 하수처리 시설공사 102

〈그림 5-6〉 다하란 공군기지 숙소 105

〈그림 5-7〉 알 코바르 제다 공동주택 107

〈그림 5-8〉 리야드 공동주택 110

〈그림 5-9〉 타이프 킹 파하드 스포츠 센터 111

〈그림 5-10〉 얀부 Oil Port 건설 현장 112

〈그림 5-11〉 코람샤르 항만 공사 116

〈그림 5-12〉 아랍수리 조선소 118

〈그림 5-13〉 움카스르 5,6,7 부두공사 119

〈그림 5-14〉 라스 아부 폰타스 발전소 122

〈그림 5-15〉 아화즈 액화천연가스 추출공장 123

〈그림 5-16〉 서 도하 발전소 128

〈그림 5-17〉 바그다드 의료 단지 129

〈그림 5-18〉 오만 정유공장 130

〈그림 5-19〉 북 예맨 고압 송전선로 확장공사 131

〈그림 5-20〉 이라크 요시 고속도로 공사 132

〈그림 5-21〉 이라크 사마라 활루자 2,800세대 주택 135

〈그림 5-22〉 이라크 철도 공사 137

〈그림 5-23〉 미수라타 장병숙소 건설 공사 139

〈그림 5-24〉 벵가지 가리우니스 의과대학 140

〈그림 5-25〉 벵가지 AGOCO 석유회사 사옥 142

〈그림 5-26〉 가다피 지도자와 우조 비행장 건설 144

〈그림 5-27〉 라스 라누푸 항만공사 147

〈그림 5-28〉 서르트-와단 간 도로 149

〈그림 5-29〉 미수리타 발전소 및 담수화 플랜트 150

〈그림 5-30〉 트리폴리 5,000세대 공동주택 152

〈그림 5-31〉 벵가지 7,000세대 공동주택 154

〈그림 5-32〉 트리폴리 중앙병원 155

〈그림 5-33〉 대수로 공사 1단계 158

〈그림 5-34〉 남아공 칼텍스 정유공장 163

〈그림 5-35〉 수단 영빈관 공사 현장과 완공 후 모습 164

〈그림 5-36〉 포트수단 타이어 공장 골조 공사와 완공 후 생산라인 166

〈그림 5-37〉 수에즈 가스 집하장 시설공사 168

〈그림 5-38〉 인도네시아 자고라위 고속도로 172

〈그림 5-39〉 네팔 쿨레카니 댐 건설현장 175

〈그림 5-40〉 말레이시아 천연가스 공장 건설 176

〈그림 5-41〉 싱가포르, 플라우부콤 정유공장 공사 178

〈그림 5-42〉 마리너 센터 상업관광단지 180

〈그림 5-43〉 싱가포르 8,000세대 공동주택 181

〈그림 6-1〉 사우디아라비아 메카 타이프 화력발전소 220

〈그림 6-2〉 사우디아라비아 9개 지역 마을 공사 221

〈그림 6-3〉 리야드 의료단지 222

〈그림 6-4〉 내무성 본청청사 223

〈그림 6-5〉 킹 파하드 국제공항 주차장 225

〈그림 6-6〉 송전선 가설공사 226

〈그림 6-7〉 캉간 가스정제 1,2차 230

〈그림 6-8〉 리비아 트리톨리 정부청사 231

〈그림 6-9〉 두바이 하수처리 공장 233

〈그림 6-10〉 알 무사이브 화력발전소 234

〈그림 6-11〉 NISCO 해상공사 240

〈그림 6-12〉 싱가포르 창이공항 제2터미널 248

〈그림 6-13〉 말레이시아 파고-용펭 간 고속도로 249

〈그림 6-14〉 싱가포르 지하철공사 250

〈그림 6-15〉 타이 올레핀 공장 253

〈그림 6-16〉 파키스탄 수상을 접견하는 김우중 회장 256

〈그림 6-17〉 파키스탄 고속도로 257

〈그림 6-18〉 파키스탄 최초의 ILM 교량 258

〈그림 6-19〉 파키스탄 고속도로공사 석산 발파 260

〈그림 6-20〉 싱가포르 썬텍 씨티 263

〈그림 6-21〉 말레이시아 제4차 가스 정제공장 264

〈그림 6-22〉 쿠알라룸푸르 신국제공항 활주로 공사 268

〈그림 6-23〉 창이공항 매립 2단계(SMEG-3) 270

〈그림 6-24〉 인도네시아 바탐공항 3단계 271

〈그림 6-25〉 후웨이 호 댐 273

〈그림 6-26〉 라오스 후웨이 호 댐 담수 274

〈그림 6-27〉 Petronas Twin Tower 277

〈그림 6-28〉 말레이시아 플라자 라키아트 279

〈그림 6-29〉 싱가포르 동부병원 281

〈그림 6-30〉 방글라데시 자무나 강 다목적 교량 283

〈그림 6-31〉 화물트럭 리프트 285

〈그림 6-32〉 네팔, 룸비니 개발 2단계 287

〈그림 6-33〉 파키탄, 차스마 수력발전소 290

〈그림 6-34〉 중국, 산동 시멘트 공장 292

〈그림 6-35〉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가스 처리공장 5, 6호기 건설 296

〈그림 6-36〉 밀레이시아, Vision City 298

〈그림 6-37〉 국내·해외 수주 비교 307

〈그림 7-1〉 Telecom Tower 322

〈그림 7-2〉 인도네시아, 보소아 시멘트 공장 화입식 장면 324

〈그림 7-3〉 네팔, 트리부반 공항 확장 후 조감도 326

〈그림 7-4〉 대만, 고속전철 328

〈그림 7-5〉 나이제리아, 늪지대 플로우 스테이션 334

〈그림 7-6〉 대만, 타이페이 금융센터 336

〈그림 7-7〉 버즈 두바이 (2008.12.22. 촬영) 339

〈그림 7-8〉 건설 수출보험업무 흐름 349

〈그림 7-9〉 일본의 수출신용(공급자 신용) 방식 351

초록보기 더보기

유엔(UN)이 발간한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5.16군사혁명이 있었던 1962년 이후 1995년까지 36년간 연평균 7.1%라는 경이적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는 세계 174개국 중 1위에 해당한다. 특히 대한민국의 7.1%성장은 아제르바이잔(-14.8%), 타지키스탄(-11.8%), 우크라이나(-8.6%, 카자흐스탄(-7.8%) 등 40여 개국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는 기간에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이처럼 괄목할만한 경제성장에 해외건설업이 크게 뒷받침하였다. 건설산업을 포함한 국내의 산업은 국내에서 동원 가능한 재화(財貨)를 국내에서 유통시키는 것에 불과하지만, 해외건설은 해외에서 창출(創出)한 건설이익(利益)을 국내로 유입(流入)시켜 국부(國富)를 증진(增進)시키기 때문에 국가를 부강(富强)하게하는 산업임으로 국가경제발전을 위하여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업이다.

경제학계에서는 우리나라의 건설업체들이 해외에서 획득한 외화가 국가경제발전에 미친 영향을 높이 평가하여 많은 연구가 진척되었지만 그 주역인 건설관련 학계나 업계에서 해외건설에 대하여 연구된 바가 지극히 미미하다. 이 연구가 해외건설을 역사적 관점에서 수행된 최초의 연구라는 데에 차별성이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해외건설업이 발전해온 과거 반세기(半世紀)의 역사를 변천 해 온 단계별로 살펴보고 변화하는 환경에 어떻게 대응하고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길을 모색하기 위하여 이루어 졌다.

우리나라의 건설업체들은 광복에 뒤따른 미군의 한반도 진주, 6.25동란을 통한 한미공동방위조약에 따른 미군의 주둔을 위한 반 영구시설공사를 통하여 물적, 지적 학습으로 국제건설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는 힘을 배양한 후 동남아시아를 발판으로 하여 세계를 무대로 활약하는 글로벌 건설 업체로 부상하였고 한국은 세계 제13위의 경제대국으로 발전하였다.

이 연구는 해외건설에 관련된 문헌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주역(主役) 업체들의 연사(年史)를 통하여 많은 자료를 구하여 정리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우리나라 건설업체가 해외로 진출하는 데에 크게 영향을 끼친 국제정치ㆍ외교에 관한 사항과 우리나라 건설업체의 해외활동에 도움이 된 국제문제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고 반사이익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국건설업체들이 미국이나 그 영토에 진출할 때에 현지화 내지는 보호정책에 따라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이 법인이 수행한 건설사업실적을 이 연구에서는 배제하였다. 이러한 법인은 한국이 법인이 아니고 미국 법인임으로 한국건설업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한국해외건설협회에서는 한국업체로 인정하여 한국의 해외건설통계에 산입하고 있으나 이는 적법하지 않은 처사다.

이 연구는 해외건설공사 수주 시에 단순하게 건설공사만을 계약할 것을 고집하지 말고 다양한 구매관리방식에 의한 접근을 제안한다. 건설공사 자체만으로는 취할 수 있는 이익의 폭이 지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