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I. 서론 13
II. 본론 15
1. 실내악의 역사 15
1) 피아노 트리오 16
2. D. Shostakovich의 생애와 작품 경향 19
1) 제 1기 (1924-1936) 19
2) 제 2시기 (1937-1952) 21
3) 제 3시기 (1953-1975) 23
3. D. Shostakovich Piano Tio No.2 Op.67 분석 25
1) 제 1악장 분석 25
2) 제 2악장 분석 54
3) 제 3악장 분석 81
4) 제 4악장 87
III. 결론 129
참고문헌 133
ABSTRACT 136
〈악보 1〉 동기 a와 동기 b 26
〈악보 2〉 마디 1-19의 도입부의 대위적인 모방 27
〈악보 3〉 마디 26-27의 바이올린 선율 28
〈악보 4〉 마디 28-37의 바이올린과 첼로의 6도 화음 진행 29
〈악보 5〉 마디 26-38의 피아노 오른손에서의 반음계적 상행 진행 29
〈악보 6〉 마디 39-44의 피아노 왼손에서의 상행 진행 30
〈악보 7〉 마디 45-53의 바이올린, 첼로의 화음선과 피아노의 주제 선율 31
〈악보 8〉 마디 54-61의 V-I 진행 32
〈악보 9〉 마디 66-72의 7마디의 지속음과 바이올린의 주선율 33
〈악보 10〉 마디 77-80의 첼로의 주제선율 34
〈악보 11〉 마디 81-87, 마디 91-97의 2개의 반음계적 진행부분 34
〈악보 12〉 마디 100-106의 제 1주제와 제 2주제의 연결구 35
〈악보 13〉 마디 107-115의 특징음 D와 피아노와 첼로의 대위적 모방음형 36
〈악보 14〉 마디 119-129의 특징음 B♭음과 바이올린의 동형진행, 첼로의 반음계적 상행진행(이미지참조) 37
〈악보 15〉 피아노의 도약진행과 반음계적 진행을 포함하는 음형 38
〈악보 16〉 마디 129-136의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대위적 모방 39
〈악보 17〉 마디 138-145의 피아노에서의 반음계적 진행 40
〈악보 18〉 변형된 마디 141-145 41
〈악보 19〉 마디 146-152의 부분과 마디 160-166의 부분의 비교 42
〈악보 20〉 마디 154-157의 연결구적 부분 43
〈악보 21〉 마디 167-171의 발전부의 제 1주제와 제 2주제의 연결구적 부분 43
〈악보 22〉 마디 172-179 피아노부의 단3도 음정을 포함한 3화음과 바이올린과 첼로의 반복음 45
〈악보 23〉 마디 179-185의 바이올린의 반음계적 주선율과 첼로의 반복음 46
〈악보 24〉 마디 186-192의 재현부의 시작부분 48
〈악보 25〉 마디 197-204의 특징음 B음과 E음 49
〈악보 26〉 마디 205-210의 장3화음의 화음선을 띠는 진행 50
〈악보 27〉 마디 210-215의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모방 50
〈악보 28〉 마디 215-220의 바이올린과 피아노부 오른손의 반음계적 진행 51
〈악보 29〉 마디 119-231의 모방음형을 포함한 코다 53
〈악보 30〉 마디 1-30 a부분의 대위적 모방 56
〈악보 31〉 마디 17-30의 화음선을 띠는 진행의 동기a 57
〈악보 32〉 마디 30-46의 동기 a, 동기 b, 동기 c, 동기 d 59
〈악보 33〉 마디47-55의 바이올린과 첼로의 6도 음정관계 60
〈악보 34〉 마디 56-61의 동형진행 61
〈악보 35〉 마디 61-69의 피아노의 반감화음과 바이올린과 첼로의 단6도와 증2도 음정 62
〈악보 36〉 마디 69-75 동기 a와 동기 d가 사용된 연결구적 부분 63
〈악보 37〉 장 6도 위의 모방된 주제 선율 64
〈악보 38〉 마디 84-99의 3개의 악절 66
〈악보 39〉 마디 100-115의 동기 e가 포함된 3개의 악절 67
〈악보 40〉 마디 116-122의 연결구적 부분 68
〈악보 41〉 마디 122-139 a의 주제 선율 재현과 동기 e의 5도 위 모방 69
〈악보 42〉 마디 153-165 B부의 d부분 71
〈악보 43〉 마디 165-174의 첼로의 주선율과 피아노의 화음 펼침형태 72
〈악보 44〉 마디 190-198의 화음 형태 73
〈악보 45〉 마디 199-228 a''' 부분 75
〈악보 46〉 마디 229-257의 b' 부분 77
〈악보 47〉 마디 254-257의 연결구적 부분 78
〈악보 48〉 마디 258-268의 동기 a와 동기 e 79
〈악보 49〉 마디 269- 284의 동기 e를 포함한 이 곡의 끝부분 80
〈악보 50〉 마디 1-8의 제 1변주에서 나타난 피아노 화성코드 82
〈악보 51〉 마디 9-28에서 나타나는 바이올린과 첼로의 주제모방 83
〈악보 52〉 마디 28-34 84
〈악보 53〉 바이올린과 첼로의 2마디 단위의 주제적 모방 85
〈악보 54〉 마디 41-50의 마지막 변주 6의 모방 85
〈악보 55〉 마디 49-53의 종지적 확대 86
〈악보 56〉 각 부분에 따른 주요 선율 88
〈악보 57〉 3악장과 4악장의 b음 연결부분 89
〈악보 58〉 마디 1-28 주제선율을 포함하는 A부 90
〈악보 59〉 B부 마디 29-42의 14마디 91
〈악보 60〉 마디 58-61의 동기 d와 동기 e의 변형 92
〈악보 61〉 마디 59-62 93
〈악보 62〉 마디 62-83의 A부분의 변형 94
〈악보 63〉 5번의 반복되는 음형 95
〈악보 64〉 마디 89-97 96
〈악보 65〉 마디 104-108, 마디 118-121, 마디 124-125 피아노의 3도 간... 97
〈악보 66〉 마디 100-118의 동기 e를 포함한 변형된 첼로 선율 98
〈악보 67〉 마디 109-117, 마디 122-130 동기 g를 포함한 바이올린과 첼로 99
〈악보 68〉 마디 133-146의 a부분 102
〈악보 69〉 마디 141-146의 동기 a 음형의 단편 103
〈악보 70〉 마디 133-140과 마디 147-154 104
〈악보 71〉 마디 155-160의 6마디 105
〈악보 72〉 b부분 107
〈악보 73〉 마디 184-187의 2번 반복되는 c부 109
〈악보 74〉 마디 188-200의 d부 111
〈악보 75〉 e부의 제 1부분 113
〈악보 76〉 e부의 제 2부분 114
〈악보 77〉 e부의 제 3부분 115
〈악보 78〉 e부의 제 3부분 117
〈악보 79〉 C'부의 마디 245-258 119
〈악보 80〉 D부의 아르페지오의 펼침화음 형태 2마디 120
〈악보 81〉 D부와 제 2번의 1악장 선율 비교 121
〈악보 82〉 A'''부와 제 2번의 1악장과 제 1주제선율(마디 46-49) 비교 124
〈악보 83〉 B'부 마디 354-363 125
〈악보 84〉 A''''부 마디 384-391 126
〈악보 85〉 제 2번의 3악장 8마디와 4악장의 E부 비교 127
〈악보 86〉 마디 401-407의 끝부분 128
20세기 러시아 작곡가 쇼스타코비치(D. Shostakovich, 1906-1975)는 혁명, 제 2차 세계대전, 스탈린의 정권 등 러시아의 시대적인 상황을 통해 그의 작품활동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본 논문은 쇼스타코비치의 피아노 트리오 작품 중에서 피아노 트리오 No.2 Op.67의 통해 사회적 그의 삶과 곡의 음악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실내악의 역사를 통해 피아노 트리오의 발전과 쇼스타코비치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에 따른 음악적 경향과 그의 두 개의 피아노 트리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고, 그 중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영향을 받은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트리오 No.2 Op.67의 작품을 각 악장별로 분석하여, 곡의 형식과 중심 주제를 알아보고 음악적 특징을 통해 그의 음악을 이해하고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쇼스타코비치의 초기의 유일한 실내악 곡인 피아노 트리오 No.1 Op.8을 살펴보면, 제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난 후 쓰여 진 곡으로, 신고전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본 연구자가 이 곡을 연주 해 본 바, 단일악장의 소나타 형식으로, 반음계적 성향으로 조성이 이동되어 매우 복잡한 조성을 갖고 있으며 음정관계의 반복으로 음렬적인 성격이 나타나며, 반음을 이용하여 리듬 변화, 옥타브를 사용하여 주제를 만들어 간다. 반음계를 사용하여 긴 프레이즈로 연결하고 아무런 제시 없이 갑자기 종지를 하면서 전혀 다른 악장이 새롭게 시작하는 부분들이 많으며, 전체적인 리듬은 바로크의 리듬 8분음표, 16분음표를 음형을 많이 사용하였다.
피아노 트리오 No.2 Op.67 는 제 2차 세계대전 때,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영향을 받아 음렬주의의 배제하지 않고 반음계를 사용하거나 러시아의 민요적 요소를 사용하여 곡에 나타내었다. 전통적인 고전형식의 소나타 형식으로 4악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각 악장 마다 그 특징이 나타난다. 제 1악장은 조성과 박자, 빠르기 형식에 의한 소나타 형식으로 주제선율을 대위적으로 모방하여 나타나며. 제 2악장은 자유로운 겹 세도막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1악장과 마찬가지로 대위적인 주제선율이 모방되며, 동행진행을 사용하여 악절 간을 연결하였다. 제 3악장은 느린 악장의 변주곡 형태로 8개의 화음을 가지고 있는 주제가 피아노에서 시작하여 연속으로 6차례 나타나는 동안 바이올린과 첼로에 의해 주제가 모방되어 나타난다. 제 4악장은 론도형식으로 되어있으며, 러시아의 민요적 요소로 각각의 주제가 반음계적 비화성음을 가지고 있는 동기를 통해 변형 발전되어 곡에 다양하게 사용되며, 증 2도, 증4도, 장7도, 단9도의 음정이 나타난다.
이렇듯 그의 두 피아노 트리오 작품을 통해서도 소나타 구조와 반음, 반음계적 음렬을 사용하는 공통점도 있지만, 조성, 음렬의 나열, 악절과 악절이 연결되어지는 부분들의 작곡기법의 차이점을 통해 쇼스타코비치는 그의 작품 활동에 있어 시대적인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해 사회적 리얼리즘에 영향을 받은 피아노 트리오 No.2 Op.67 작품을 통해 각 악장을 분석하여 주제의 발전과 구성요소, 음악적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