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7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8

2. 연구의 제한점 10

II. 연구의 이론적 배경 11

1. 사이버 가정학습의 이해 11

2. 사이버 가정학습 과학과 콘텐츠 유형 분류 21

3. 제 7차 과학과 교육 과정의 특징 33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39

1. 연구의 대상 39

2. 연구의 절차 및 분석방법 39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0

1. 사이버 가정학습 8학년 과학 화학단원 콘텐츠 체계 분석 40

2. 사이버 가정학습 8학년 과학 화학단원 콘텐츠 유형 분석 50

V. 결론 및 제언 58

1. 결론 58

2. 제언 61

참고 문헌 62

표목차

〈표 1〉 사이버 가정학습 추진 경과 12

〈표 2〉 사이버 가정학습서비스 운영형태 15

〈표 3〉 16개 시.도 사이버 가정 학습 사이트 및 특징 16

〈표 4〉 전국 사이버 가정학습 활용 현황(2008.8) 17

〈표 5〉 과학과 콘텐츠 유형 22

〈표 6〉 제7차 교육 과정의 지도 목표 38

〈표 7〉 제 7차 교육 과정 과학 교육 목표 38

〈표 8〉 사이버 가정학습 8학년 과학 화학단원 차시 개수 분석 41

〈표 9〉 사이버 가정학습 8학년 과학 화학단원 차시별 구성 분석 42

〈표 10〉 차시별 콘텐츠 유형 분석 51

〈표 11〉 화학단원 콘텐츠 유형정리 54

〈표 12〉 기본학습 콘텐츠 유형정리 55

〈표 13〉 보충학습 콘텐츠 유형정리 56

〈표 14〉 심화학습 콘텐츠 유형정리 57

그림목차

[그림 1] 사이버 가정학습 추진 체제 13

[그림 2] 사이버 가정학습 모델 14

[그림 3] 사이버가정학습 학생가입자수 18

[그림 4] 사이버가정학습 일일평균 접속자수 18

[그림 5] 사이버 가정학습 학습효과성 18

[그림 6] 사이버 가정학습 학습 도움도 19

[그림 7] 교사가 인식한 사이버가정학습 개인적 상호작용 효과 19

[그림 8] 학부모의 자녀의 사이버가정학습에 따른 변화 인식 19

[그림 9] 사이버 가정학습 후 해당 과목의 사교육 변화 20

[그림 10] 7차 교육 과정의 기본 방향 33

[그림 11] 과학과 심화, 보충 수준별 수업 모형(예시) 35

[그림 12] 기본학습 콘텐츠 화면 구성 46

[그림 13] 보충학습 콘텐츠 화면 구성 48

[그림 14] 심화학습 콘텐츠 화면 구성 49

[그림 15] 화학단원 콘텐츠 유형별 비율 54

[그림 16] 기본학습 콘텐츠 유형별 비율 55

[그림 17] 보충학습 콘텐츠 유형별 비율 56

[그림 18] 심화학습 콘텐츠 유형별 비율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