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 연구 / 이규훈 인기도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8
청구기호
TD 411.07 -9-700
형태사항
vii, 23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096536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 2009.8. 지도교수: 김왕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7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사 및 최근 연구 동향 14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20

II.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개념과 서사적 전통 28

1.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개념 29

2.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서사적 원형 34

가. 여성 정체성 확인의 원형 36

나. 여성 도전과 성취의 원형 43

다. 여성 독립과 개척의 원형 48

3.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민담적 전승 53

III.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의 양상 61

1. 개인적 고난 극복과 여성 정절 62

가. 남성의 고난 극복과 열(烈)의 수행 63

나. 여성의 수난 극복과 정절 유지 84

2. 가정적 고난 극복과 여성 이인(異人) 108

가. 부덕(婦德) 실행과 국난의 극복 109

나. 남녀 결연의 완성과 신분 상승 127

3. 국가적 고난 극복과 여성 독립 141

가. 남성 권위의 극복과 여성 성취 142

나. 여성 현실의 해방과 여여(女女) 결합 158

IV.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의 지향점 172

1.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구현과 현실의 관계 172

가. 조선 후기 현실과 여성 의식의 성장 173

나. 조선 후기 현실의 소설적 반영 182

2. 여성 주도 고난 극복에 나타난 서술 의식 197

가. 구성적 측면의 서술 논리 198

나. 의식적 측면의 서술 논리 206

3.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내재적 의미 215

가. 동일과 차이의 여성 주도 고난 극복 215

나. 여성 주체의 욕망 조절과 자아실현 220

V. 결론 225

참고 문헌 231

ABSTRACT 244

〈표 1〉 대상 작품에 나타난 각종 고난 23

〈표 2〉 「세경본풀이」의 서사 전개와 여성 주도 고난 극복 45

〈표 3〉 여성 주도 고난 극복 모티프의 서사적 계승 60

〈표 4〉 「노처녀가」 (1), (2)와 「꼭두각시전」의 대비 98

〈표 5〉 「박씨전」의 등장인물 간 소통 관계 125

〈표 6〉 '지하국 대적 퇴치 설화' 관련 작품의 비교 137

〈표 7〉 「홍계월전」에 나타난 고난 극복의 인과 관계 156

〈표 8〉 「방한림전」의 군담에 나타난 주인공의 의식 168

〈표 9〉 조선 후기 대표적 여성 저작 178

〈표 10〉 조선 시대 여성 교훈서 179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의 서사 전개 등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양상과 특징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여성이 적극적으로 활약하여 각종 고난을 극복하는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의 전개 양상을 고난 발생 유형, 가부장제 유교이념, 여성의식 등과 연결시켜 논의하여 그 특징을 밝혔다. 그리고 여성 주도 고난 극복에 나타난 다양한 의미와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이 지향하는 것이 무엇인지 밝혀보았다. 그리하여 수동적인 삶을 산 것으로 여겨졌던 조선 후기 여성들이 서사의 전면(前面)에 나선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의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고전 서사물에서 여성은 주로 성취하는 입장이 아니라 희생의 입장에 있었다. 하지만, 설화나 고소설 등에는 주체적으로 결정하고 고난을 극복하여 행복을 이루는 여성 형상이 나타나 있다. 우리 고전 서사물의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은 무속 신화에서 원형이 성립되고 다양한 설화로 전승되고 이행되는 한편, 조선 후기 고소설에서 본격적인 꽃을 피웠다. 그리하여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은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서사적 전통을 잇는 한편, 조선 후기 사회 변동과 여성 현실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그러한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은 당대 여성의 자각과 주체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제II장에서는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개념, 서사적 전통 등을 논의하였다.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은 수난의 대상이었던 여성이 스스로 고난 극복의 의지와 욕망을 바탕으로 직접 행동에 나섬으로써 고난을 극복하여 보다 값진 삶을 이끄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서사적 원형으로 논의한 무속신화의 여주인공들은 모두 추방이라는 난제를 딛고, 주체적으로 능력을 발휘하여 각종 고난을 극복하였다. 그녀들은 모두 여성성의 힘을 스스로 인식하고 각종 고난을 극복하여 운명을 개척한 여성들이다. '서동 설화'와 '온달 설화' 등에서 여성들은 주체성을 드러내며 자신의 삶을 개척해 나감으로써 주도적으로 고난을 극복하고, 나아가 자기 존재의 가능성을 실현하였다. 이러한 여성 주도의 고난 극복은 여성의 적극적인 능력 발휘, 여성의 성취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제III장에서는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의 고난 극복 양상을 논의하였다. 「옥낭자전」 등에서 여성들은 정절을 중시하며 주도적으로 남녀 개인에게 발생한 고난을 극복하여 행복한 결말을 이끌어 내고 남주인공이나 가족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러한 여성의 활약은 유교이념을 적극 수용하고 이를 실천하며 이루어진 것이다. 「박씨전」 등에서 여성들은 통과의례의 시련 등을 극복하고 이를 발판으로 국가적 고난을 극복하였다. 그러나 그녀들은 결코 남주인공을 무시하거나 우위에 서지 않았다. 그녀들이 고난 극복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가부장제 유교이념과 조화를 이루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다. 「홍계월전」 등에서 여성은 가부장제 유교이념에서 벗어나려는 의식을 바탕으로 주도적으로 여성 자신의 고난과 국가적 고난 등을 주도적으로 극복했다. 이들 작품에는 여성들이 유교이념을 벗어나 주도적으로 고난을 극복함으로써 여성의 독립된 삶에 대한 열망을 나타났다. 이는 여성이 자신의 능력과 이상에 따라 자신의 삶을 구체적으로 선택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음을 증명한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에서 여성들은 주체적으로 생각하고 과감히 행동함으로써 각종 고난을 극복하였다. 또한 여성들은 고난 극복 과정에서 당대 사회질서인 유교이념에 대해 주체적으로 판단하여 행동함으로써 그녀들이 다양한 층위에서 고난 극복을 수행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서사적 전통을 계승하는 한편 조선 후기 사회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기에 보다 발전된 것이다.

제IV장에서는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이 지향하는 것이 무엇인지 밝혔다. 먼저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구현과 현실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조선 후기는 여성의 지위가 현격히 제약받던 시기였다. 하지만 조선 후기 역동적인 사회 변동은 여성의 자아인식 변화를 가져왔다. 그리하여 당대 여성들은 지적 활동 등 의식적 성장을 이룩했다. 조선 후기 역동적 사회 변화와 여성의 의식적 성장은 고소설의 여성 주도 고난 극복 형상의 현실적 동인이 되었던 것이다.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에는 이러한 당대 사회상과 여성의 활동이 나타나 있다. 여러 작품에서 사적 영역의 고난은 가부장 중심의 당대 혼인제도의 폐해에서 기인한 것이며 이를 고발하려는 의식이 바탕이 되어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이 나타난 것이다. 그리고 가정을 벗어난 여성 공동체 활동은 소설 속에서 여성 자매애의 형상으로 반영되었다. 또한 여성의 경제적 고난 극복의 실제 모습은 여성 치산을 강조하며 작품에 반영되었다. 조선 후기 여성의 주체적 활동과 여성 주도 고난 극복 형상은 조선 후기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고소설의 고난과 행복의 순환 구조는 대상 작품들에도 나타났다. 그러면서도 여러 작품에서는 전형적인 악인의 부재, 긴 후일담의 서술, 수동적이며 무능한 남주인공의 형상 등이 나타나 있었다. 이러한 구성적 측면의 서술 특징은 여성의 활약을 부각시키기 위한 작가의 서술시각이 반영된 것으로서 여성 주도 고난 극복 형상이 보다 극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주도적인 고난 극복을 통해 여성들은 당대 유교이념에서 일탈하는 적극적이고 과감한 행동으로 고난을 극복하고 행복의 발판을 만들어 주체적인 의지를 보였다. 그러한 저항의 일면과 함께 고난 극복을 주도한 여성들은 당당하게 '충효열(忠孝烈)'을 설교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여러 작품에서는 여성의식의 확대 현상이 확연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비판의식의 결여, 가부장제로의 회귀 등 일정한 한계도 나타나 있었다.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은 조선 후기 여성의 능력과 자질이 남성과 다름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면서도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은 차이를 부각시켰다. 그리고 여러 여성들은 주도적인 고난 극복을 통해 자신의 다양한 자아실현 의식을 표출하며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서사적 전통을 발전시켰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밝힌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여성영웅소설을 중심으로 국가적 고난 극복에 집중되었던 그간의 논의를 넘어서서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개념을 설정하였다. 주체적 여성의 신화적 원형과 여성 자각의 민담적 전승을 고난 극복의 측면에서 논의함으로써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의 서사적 전통을 성립했다. 고소설에서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이 고난 발생 영역과 관계없이 이루어졌으며 당대 사회 이념인 유교이념과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밝혔다. 조선 후기 여성 주도 고난 극복 고소설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부여했다. 여성 주도 고난 극복 형상에 나타난 다양한 서술 의식을 밝혔다. 끝으로 여성 주도 고난 극복이 여성과 남성이 능력 면에서 동일함과 여성의 특성을 부각시키며 여성의 욕망 조절과 자아실현 의식을 담고 있음을 밝혔다.

참고문헌 (3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금방울젼 단」,김동욱 편 『영인고소설판각본전집』제4권,서울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1991. 미소장
2 「김씨열행록」,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활자본고소설전집』제2권,서울 :아세아문화사,1976. 미소장
3 「니츈풍젼 권지단」,김기동 편 『필사본고소설전집』제6권,서울 :아세아문화사,1980. 미소장
4 「로처녀 고독각씨전」,인천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구활자본 고소설전집』제1권,서울 :은하출판사,1983. 미소장
5 「박씨부인전」,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활자본고소설전집』제2권,서울 :아세아문화사,1976. 미소장
6 「박씨젼 단」,박용식 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15권,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1995. 미소장
7 「방한임젼」,단국대학교 율곡도서관 소장본. 미소장
8 「옥낭자전」,동국대학교 한국학연구소,『활자본고소설전집』제4권,서울 :아세아문화사,1976. 미소장
9 「홍계월전」,인천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편 『구활자본 고소설전집』제16권,서울 :은하출판사,1983. 미소장
10 「꼭두각시젼」,경북대 도서관 소장본. 미소장
11 한국고전문학전집 3,서울 :양우당,1981. 미소장
12 『삼국사기』,서울 :을유문화사,1996. 미소장
13 중요무형문화재지정자료 제주도무당굿놀이,서울 :문화재관리국,1965. 미소장
14 서사무가 바리데기 전집 1~4,서울 :민속원,2004. 미소장
15 한국문헌설화 39,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1998. 미소장
16 민족문화추진회 편,국역 『대동야승』1,서울 :민족문화추진회,1983. 미소장
17 서사무가 I,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1996. 미소장
18 이조한문단편집 상․중․하,서울 :일조각,1973. 미소장
19 『계서야담(溪西野談)』,서울 :국학자료원,2003. 미소장
20 일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역주 『삼국유사』,서울 :이회문화사,2002. 미소장
21 주해 『청구야담』I,서울 :국학자료원,1996. 미소장
22 한국고전번역원,국역 『조선왕조실록』CD-Rom Title,서울 :(주)서울시스템,1995. 미소장
23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1,서울 :웅진출판,1991. 미소장
24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구비문학대계』,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 미소장
25 『경국대전』,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2003. 미소장
26 한국근대사,서울 :창작과 비평사,1993. 미소장
27 한국주거문화의 역사,서울 :기문당,1991. 미소장
28 봉건사회 해체기의 사회경제구조,서울 :청아출판사,1992. 미소장
29 ,한국음악 제31집,서울 :국립국악원,2000. 미소장
30 한국고소설연구의 시각과 방법,서울 :신성출판사,2008. 미소장
31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편,병자호란사,서울 :국방부국군홍보관리소,1986. 미소장
32 국사편찬위원회 편,탈초본 『승정원일기』93,서울 :국사편찬위원회,1969. 미소장
33 고려사열전,서울 :타임기획,2006. 미소장
34 문학이란 무엇인가,서울 :문학과 지성사,1979. 미소장
35 19세기 서울의 사랑 절화기담․포의교집,서울 :여이연,2003. 미소장
36 페미니즘과 문학비평,서울 :고려원,1994. 미소장
37 한국고전소설연구,서울 :교학사,1981. 미소장
38 한국고소설입문,서울 :개문사,1985. 미소장
39 한국가족제도연구,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1996. 미소장
40 고대소설과 변신,서울 :정음문화사,1984. 미소장
41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서울 :역사비평사,2001. 미소장
42 고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서울 :국학자료원,2002. 미소장
43 ,한국민속과 문학연구,서울 :일조각,1997. 미소장
44 조선왕조재정사연구 I,서울 :일조각,1997. 미소장
45 한국여속사,서울 :민음사,1989. 미소장
46 최신교육학개론,서울 :교육과학사,1998. 미소장
47 한국고전소설작품론,서울 :집문당,1990. 미소장
48 증보 조선소설사,서울 :한길사,1997. 미소장
49 한국현대여류시사,서울 :대광출판사,1996. 미소장
50 변동사회와 한국인의 갈등,서울 :문학예술사,1985. 미소장
51 소설의 이해,서울 :문예출판사,1998. 미소장
52 나는 부드러운 페미니즘이 좋다,서울 :살림,2000. 미소장
53 조선시대의 정표정책,서울 :일조각,1990. 미소장
54 ,역사 속의 민중과 민속,서울 :이론과 실천,1990. 미소장
55 한국법제사고,서울 :법문사,1974. 미소장
56 한국여성연구 1,서울 :청하,1990. 미소장
57 여성과 성차별,서울 :한국여성개발원,1986. 미소장
58 반교어문학회,고전소설의 사적전개와 문학적 지향,서울 :보고사,2000. 미소장
59 한국서사문학사의 연구 5,서울 :중앙문화사,1995. 미소장
60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1985. 미소장
61 한국무가의 연구,서울 :문학사상,1980. 미소장
62 국어어원사전,서울 :보고사,2000. 미소장
63 한국구비전승의 연구,서울 :일조각,1976. 미소장
64 한국소설의 구조와 실상,대구 :영남대학교 출판부,1981. 미소장
65 우리 고전 산책,서울 :태학사,1993. 미소장
66 『내훈』,서울 :홍신문화사,1985. 미소장
67 페미니즘 비평과 한국소설,서울 :국학자료원,1996. 미소장
68 조선후기사회경제사의 연구,서울 :일조각,1997. 미소장
69 설화의 기호학,서울 :민음사,1999. 미소장
70 조선문학전집 2권,서울 :중앙인서관,1936. 미소장
71 조선시대 송사소설 연구,서울 :신구문화사,2002. 미소장
72 여성문학 비평론,서울 :개문사,1995. 미소장
73 여성한국사회연구회,가족과 한국사회,서울 :경문사,1999. 미소장
74 영빈 이씨,편집부 역, 『여범』,서울 :대제각,1988. 미소장
75 교육심리학,서울 :교육과학사,2004. 미소장
76 서사문학의 이해,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1999. 미소장
77 서울-水原間의 코너베이션 硏究 소장
78 나의 어머니,조선의 어머니,서울 :현대실학사,2005. 미소장
79 한국가족의 심리문제,서울 :일지사,1988. 미소장
80 미적 근대성과 한국문학사,서울 :민음사,2001. 미소장
81 『사소절』,서울 :명륜당,1985. 미소장
82 조선후기 전문학 연구,서울 :태학사,1991. 미소장
83 분석심리학,서울 :일조각,1998. 미소장
84 자기와 자기실현,파주 :한길사,2002. 미소장
85 한국고전소설의 탐구,서울 :중앙출판,1981. 미소장
86 한국고전소설의 세계,파주 :돌베개,2005. 미소장
87 큰 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서울 :집문당,2004. 미소장
88 열녀전,서울 :예문서원,1996. 미소장
89 한국근세여성사화 상,서울 :규문각,1985. 미소장
90 신교육심리학,서울 :학지사,2001. 미소장
91 조선조 후기 여성지성사,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2007. 미소장
92 고전문학연구의 쟁점적 과제와 전망(상),서울 :월인,2003. 미소장
93 신편 역대가사문학전집 제8권,서울 :동서문화원,1999. 미소장
94 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서울 :창작과 비평사,2002. 미소장
95 조선전기 혼인제와 성차별,서울 :일지사,1997. 미소장
96 조선시대 동성혼 이야기 :「방한림전」,파주 :한국학술정보,2006. 미소장
97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서울 :역학,2001. 미소장
98 일사유사 권6,서울 :태학사,1982. 미소장
99 한국고전소설사연구,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2002. 미소장
100 한국 여성영웅소설의 연구,대전 :목원대학교 출판부,1996. 미소장
101 완월회맹연 연구,서울 :태학사,1998. 미소장
102 고전의 바다,서울 :현암사,1977. 미소장
103 한국의 여성영웅소설,서울 :태학사,2000. 미소장
104 한국문학과 여성주의 비평,서울 :국학자료원,1992. 미소장
105 조선시대 생활사,서울 :역사비평사,2002. 미소장
106 정약용, 다산연구회 역,목민심서Ⅰ,서울 :창작과 비평사,2005. 미소장
107 한국가사문학연구,서울 :태학사,1996. 미소장
108 한국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서울 :지식산업사,2002. 미소장
109 홀로 벼슬하며 그대를 생각하노라,서울 :사계절출판사,2003. 미소장
110 기녀담․기녀등장 소설 연구,서울 :월인,1999. 미소장
111 한국소설과 갈등,서울 :문학과 비평사,1990. 미소장
112 민중영웅이야기,서울 :문예출판사,1992. 미소장
113 소설의 사회사 비교론 1,서울 :지식산업사,2003. 미소장
114 인물전설의 의미와 기능,경산 :영남대학교 출판부,1979. 미소장
115 고전소설이본목록,서울 :집문당,1999. 미소장
116 실학파의 철학사상,서울 :예문서원,1996. 미소장
117 남국의 무가,제주 :제주민속문화연구소,1968. 미소장
118 제주도 무가 본풀이 사전,서울 :민속원,1991. 미소장
119 백년 전의 경고,서울 :아세아문화사,2000. 미소장
120 페미니즘 문학론,서울 :한국문화사,1996. 미소장
121 한국 설화의 연구,서울 :집문당,1991. 미소장
122 한국고소설연구,서울 :보고사,2004. 미소장
123 한국여성사,서울 :백산자료원,2001. 미소장
124 한국종교이야기,서울 :한울,1995. 미소장
125 조선 전기 가부장제와 여성,서울 :아카넷,2004. 미소장
126 한국고소설연구회,고소설의 저작과 전파,서울 :아세아문화사,1993. 미소장
127 한국고소설연구회,한국고소설론,서울 :아세아출판사,1991. 미소장
128 한국고전여성문학회,조선시대의 열녀담론,서울 :월인,2002. 미소장
129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연구실 편,우리 여성의 역사,서울 :청년사,1999. 미소장
130 한국역사연구회,1894년 농민전쟁연구 1,서울 :역사비평사,1991. 미소장
131 한국 근대소설사의 시각,서울 :소명,2006. 미소장
132 조선 후기 서울의 사회와 생활,서울 :서울학연구소,1998. 미소장
133 한국인의 신화,서울 :문음사,1980. 미소장
134 조선조여류시문전집 4,서울 :태학사,1989. 미소장
135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파주 :집문당,2005. 미소장
136 제주도무가,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1996. 미소장
137 화경고전문학연구회,설화문학연구 하,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1998. 미소장
138 조선후기 서울의 중간계층과 유흥의 발달 소장
139 조선후기 女性知人譚 연구 소장
140 열녀전승의 역사적 전개를 통해 본 여성적 대응양상과 그 의미 소장
141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판소리 〈심청가〉 : 여성이미지비평을 중심으로 소장
142 <옥낭자전>의 형성과정 및 성립시기 소장
143 『 이춘풍전 』 의 풍자성과 근대적 지향 네이버 미소장
144 “옥낭자전류 작품군의 형성과 그 의미”,어문학 56집,대구 :한국어문학회,1995. 미소장
145 「최고운전」 연구 소장
146 歌辭의 小說化試論 소장
147 朴氏傳 硏究 네이버 미소장
148 “「옥낭자전」試考”,순천향어문논집 2집,아산 :순천향대학교,1993. 미소장
149 신화적 관점에서 본 <박씨전> 소고 소장
150 “「김씨열행록」과 「구의산」,”국어교육 49․50합집,서울 :한국국어교육연구회,1984. 미소장
151 <홍계월전>의 여성의식 고찰 소장
152 조선시대 정혼에 관한 연구 소장
153 高麗時代의 母權에 대한 考察 소장
154 “지하국대적퇴치설화와 이조전기소설의 구조 대비 분석,”구비문학 3집,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0. 미소장
155 조선후기 사대부 女訓書에 나타난 여성상 형성에 대한 연구 소장
156 Study on the Female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네이버 미소장
157 “영웅소설의 유형과 변모에 관한 연구,”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1993. 미소장
158 Study of mythical criticism on the mudang song of Baridegi 네이버 미소장
159 삼공본풀이의 서사 구조와 의미 소장
160 朝鮮朝 倫理小說 연구 소장
161 “조선 후기 향촌사회 권력구조 변동에 관한 시론,”한국사론 19집,서울 :한국사학회,1988. 미소장
162 “「박씨전」논고,”한양어문연구 3집,서울 :한양대학교 어문연구회,1985. 미소장
163 조선후기 서학수용과 여성관의 변화 소장
164 동학·동학농민전쟁과 여성 소장
165 「 배비장전 」유형의 소설연구 네이버 미소장
166 “삼호정시단의 특성과 작품,”아세아여성연구 17집,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1977. 미소장
167 訟事型 古典小說 연구 소장
168 “고소설의 순환 체계 연구,”경희어문학 5집,서울 :경희대학교 국어국문과,1982. 미소장
169 「方翰林傳」에 나타난 知己 관계 변모의 의미 소장
170 古小說의 構造 硏究 소장
171 「박씨전」의 주제 연구 네이버 미소장
172 study of 「Bang Han Rim Jeon」 네이버 미소장
173 “기녀결연 야담연구,”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0. 미소장
174 이물교구설화연구 소장
175 “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여성영웅소설,”고소설연구12집,서울 :고소설학회,2001. 미소장
176 A Patriarchal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presented on the Home-Novel in the Late -Chosun 네이버 미소장
177 “가정 내 여성 지위권의 변화,”정신문화연구 63집,서울 :정신문화연구원,1996. 미소장
178 여성영웅소설의 출현과 후대적 변모 소장
179 “「병자일기」연구,”국어국문학 104호,서울 :국어국문학회,1990. 미소장
180 洪桂月傳 硏究 소장
181 고소설의 女性中心的 視角연구 소장
182 “여성영웅소설의 갈래와 구조적 특징,”동악어문논집 27집,서울 :동악어문학회,1992. 미소장
183 「옥낭자전」의 서사구조와 문학적 의미 고찰 소장
184 송사소설의 전개 유형과 현실인식 소장
185 東學 의 男女平等思想 소장
186 “노처자전 연구,”국민어문연구 8집,서울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2000. 미소장
187 “가문소설과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관련 양상,”고전문학연구 20집,서울 :한국고전문학회,2001. 미소장
188 영웅소설의 유형변이와 그 소설사적 의의 소장
189 Articles : Change and Continuity: The Impact of the Reformation on Family and Women in Protestant Germany and Switzerland 소장
190 “여성영웅소설과 평등,차이,정체성의 문제,”민족문학사연구 31집,서울 :민족문학사연구회,2006. 미소장
191 논문 < 제1회 전국한문학대회 ; 한국한문학연구의 제문제 - 그 방법론적 검토 - > : 야담과 (野譚) 한문단편 (漢文短篇) 장르 규정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네이버 미소장
192 “조선 후기 가사의 소설화 양상,”고시가연구 5집,서울 :한국고시가문학회,1998. 미소장
193 “가사와 소설의 갈래교섭에 대한 연구,”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95. 미소장
194 '노처녀' 담론의 형성과 문학양식들의 반향 소장
195 韓國古小說의 意識志向 硏究 네이버 미소장
196 朝鮮時代 女性 敎訓書에 관한 硏究 소장
197 “「김씨열행록」의 갈등양상,”영남어문학 13집,경산 :영남어문학회,1986. 미소장
198 “이조전쟁소설 「박씨전」연구,”육사논문집 6집,서울 :육군사관학교,1968. 미소장
199 <<세경본풀이>>의 世界觀的 基底와 談論 構造 소장
200 Literary snalysis on the heroine’s consecutive actions written in narrative myths of Jeju-Island 네이버 미소장
201 “대하 장편가문소설에 나타난 여성인식과 의의,”한국어문학연구 11집,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2000. 미소장
202 한국 고대여성 영웅소설의 연구 : 이조여성의 사회활동면을 중심으로 소장
203 “고소설에 나타난 조선조 후기사회의 성차별의식 고찰,”한국고전연구 4집,서울 :한국고전연구회,1998. 미소장
204 “「박씨전」의 구조와 후반부의 연원 고찰,”영남어문학 13집,경산 :영남어문학회,1986. 미소장
205 女將軍 登場의 古小說 硏究 네이버 미소장
206 “「이춘풍전」과 판소리의 관련 연구,”부산여대논문집24집,부산 :부산여자대학교,1987. 미소장
207 “이조소설의 서술구조의 고찰,”국어국문학 72․73합집,서울 :국어국문학회,1976. 미소장
208 “정절형 가정소설 연구,”인천대학교 논문집 17집,인천 :인천대학교,1992. 미소장
209 “문학교육과 허구적 인식능력,”국어교육연구 14집,서울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2004. 미소장
210 韓國 古典小說의 女性像 연구 소장
211 “제주도 구비신화의 관련양상,”대구어문논총 14집,대구 :대구어문학회,1996. 미소장
212 “여성영웅신화연구,”서울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6. 미소장
213 <변강쇠전>에 나타난 여성인식 소장
214 여성 영웅소설 연구 소장
215 고소설의 남장 유형과 서사적 기능 소장
216 『바리공주』의 희생효와 심리적 서사구조 소장
217 說話的 側面에서 본 「朴氏傳」 소장
218 “「하진양문록」의 남녀주인공의 기질 연구(1),”국문학연구 6집,서울 :국문학회,2001. 미소장
219 고대문학과 신소설에 비친 고부문제 소장
220 “한국서사문학의 순환구조 연구,”명지어문학 12․13합집,서울 :명지대학교 명지어문학회,1981. 미소장
221 <洪桂月傳> 연구 소장
222 「옥낭자전」주인공의 성격 및 여성의식 소장
223 이조소설에서 여성의 발견 소장
224 “『삽교만록』연구,”서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82. 미소장
225 논문 : 한문단편에 (漢文短篇) 나타난 여성형상 - 「 검녀 (劍女)」 , 「 길녀 (吉女)」를 중심으로 - 네이버 미소장
226 朝鮮初期 '敎化'의 性格 소장
227 가정소설로 본 <이춘풍전> 소장
228 “여성영웅형상의 신화적 원형과 서사문학사적 의미,”서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6. 미소장
229 “계모형 고소설 연구,”서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4. 미소장
230 “「박씨전」고,”여성문제연구 12집,대구 :효성여자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1986. 미소장
231 「홍계월전」연구 네이버 미소장
232 Study on A Tradition of The Gods of Weaving in Korean Myths 소장
233 Gynocentric novels and The destruction of Maternal ideology 네이버 미소장
234 〈위씨절행록〉 의 여성소설적 성격 소장
235 고전소설의 혼사장애구조와 유형에 관한 연구 소장
236 古小說의 苦難構造 硏究 소장
237 부산-포항지역의 사진지질학적 연구 소장
238 <바리공주>의 구조와 의미 소장
239 “조선조 열녀전 연구,”성곡논총 30집,서울 :성곡학술문화재단,1999. 미소장
240 “사랑과 갈등에 대한 남성의 시각 뒤집어보기,”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집,서울 :한국고전여성문학회,2004. 미소장
241 “『동패락송』연구,”한국한문학연구 23집,서울 :한국한문학연구회,1999. 미소장
242 17世紀 閨房小設의 成立과 <倡善感義錄> 소장
243 “병자호란의 문학적 형상화 연구,”어문연구 31집,서울 :한국어문교육연구회,2003. 미소장
244 “「이춘풍전」연구,”국어국문학 5집,서울 :국어국문학회,1953. 미소장
245 War Novels around the Ch`ing Invasion to Korea 네이버 미소장
246 옥낭자전 (玉娘子傳) 연구 - 이본고를 중심으로 - 네이버 미소장
247 <조생원전>과 <김씨열행록>의 상관성 소장
248 <홍계월전>의 小說史的 位相 소장
249 여호걸계 소설의 형성과정 연구 소장
250 女性英雄小說의 敍事 構造와 變異 樣相 硏究 소장
251 朝鮮後期 社會身分制의 崩壞 : 蔚山府 戶籍臺帳을 中心으로 소장
252 조선 후기 민속 예술의 浮上과 중인층 소장
253 <토끼전> 결말의 변이양상과 고소설의 존재 방식 소장
254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질곡과 <사씨남정기> 소장
255 판소리계 소설에 나타난 여성형상과 그 의미 소장
256 The Life of Lower Classes' Women and It's Configuration in Pansori 네이버 미소장
257 Women and the Household Management in the Late Chosun Literature 네이버 미소장
258 “영웅의 일생,그 문학사적 전개,”동아문화 제10집,서울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1971. 미소장
259 가사를 통해 본 여성적 글쓰기, 그 반성과 전망 네이버 미소장
260 “19세기 애정소설의 새로운 양상 고찰,”국어국문학 135집,서울 :국어국문학회,2003. 미소장
261 The Folk Tale and Quest Motifs 네이버 미소장
262 “자청비,문화적 여성영웅에 대한 이미지,”한국민속학 30집,서울 :민속학회,1998. 미소장
263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의 자아정체성 인식과정 연구,”인문학연구 6집,서울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2002. 미소장
264 여성탐색담의 서사적 전통 연구 소장
265 『雜記古談』소재 <宦妻>의 敍事와 女性像 소장
266 ‘여도’(女道) 거부를 통한 남성우월주의 극복 : <홍계월전>,<정수정전>,<이형경전>을 중심으로 소장
267 神話로 본 女系神聖의 樣相과 變貌 소장
268 Keumbangwooljeon , Kimwonjeon as a Initiation Story 네이버 미소장
269 Rediscovery of feminity: Deterritorization of reason, wisdom, success 네이버 미소장
270 “1910년대 고소설의 대중화 실현 양상 연구,”수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5. 미소장
271 “「이춘풍전」연구,”이화어문논집 5집,서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연구소,1982. 미소장
272 조선시대 여성 편저자, 출판협력자, 독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소장
273 “가사의 소설화경향과 봉건주의의 해체,”창작과 비평 12권 4호,서울 :창작과 비평사,1977. 미소장
274 한국 신화에 나타난 여신의 위계 轉變과 윤리의 문제 소장
275 <박씨전>의 이념적 구조에 대하여 : 現實에 대한 문제 제기와 그 이념적 대응 소장
276 “여범의 여성주의적 독해,”아세아여성연구 43집,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2004. 미소장
277 “「이춘풍전」의 일고찰,”국제어문 1집,서울 :국제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79. 미소장
278 “탈속 공간을 지향하는 여성영웅들에 관한 소고,”국문학연구 7집,서울 :국문학회,2002. 미소장
279 “「박씨부인전」의 주제에 대한 일고찰,”한국어문학 20집,서울 :한국어문학회,1981. 미소장
280 삼공본풀이의 전승 의식 소장
281 “「김부인열행록」,”어문학 24집,대구 :한국어문학회,1971. 미소장
282 水雲 崔濟愚의 女性觀 소장
283 “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주체의 욕망발현 양상,”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0. 미소장
284 자기만의 방,파주 :솔,2003. 미소장
285 가족의 역사 1,서울 :이학사,2001. 미소장
286 융분석비평사전,서울 :동문선,2000. 미소장
287 통과의례,서울 :을유문화사,1992. 미소장
288 라캉 -주체개념의 형성,서울 :동문선,2002. 미소장
289 남성과 여성의 착각에 관한 잡학사전,서울 :을유문화사,2007. 미소장
290 만들어진 전통,서울 :휴머니스트,2004. 미소장
291 조선왕국이야기,서울 :서문당,1997. 미소장
292 사랑의 이해 -달 신화와 여성의 신비,파주 :문학동네,1996. 미소장
293 전환기의 조선,서울 :집문당,1999. 미소장
294 페미니즘,서울 :이후,2002. 미소장
295 현대문학이론용어사전,서울 :동인,2003. 미소장
296 자살론,서울 :백조출판사,1998. 미소장
297 성 정치학,파주 :이후,2009. 미소장
298 문학 사회학 방법론,서울 :현상과 인식,1984. 미소장
299 페미니즘 이론 사전,서울 :삼신각,1995. 미소장
300 21C여성리더쉽,서울 :위즈덤아카데미,2003. 미소장
301 인간과 욕망,서울 :예하,1989. 미소장
302 강한 여자의 낭만적 딜레마,서울 :푸른숲,2003. 미소장
303 증보 현대소설의 이론,서울 :예림기획,2007. 미소장
304 문학과 페미니즘,서울 :문예출판사,1999. 미소장
305 남성 지배,서울 :동문선,2000. 미소장
306 소설의 이론,서울 :삼영사,1991. 미소장
307 소설의 시학,서울 :문학과 지성사,1985. 미소장
308 어머니의 신화,서울 :까치,1996. 미소장
309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서울 :열린 책들,2004. 미소장
310 통과제의와 문학,서울 :문학동네,1996. 미소장
311 『예기(禮記)』하,서울 :명문당,2003. 미소장
312 『여사서』,서울 :여이연,2003. 미소장
313 『열녀전』,서울 :자유문고,1994. 미소장
314 『소학』,서울 :청문각,2003. 미소장
315 조선무속의 연구,서울 :동문선,1991.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