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 요약

목차

I. 서론 10

1. 연구목적 10

2. 연구내용 및 범위 13

3. 연구방법 13

II. 이론적 배경 14

1. 미술사와 문화사의 개념 14

(1) 미술사의 개념 14

(2) 문화사의 개념 16

(3) 미술사와 문화사의 미술문화교육 18

2. 현 초등학교에서의 미술문화 교육현황 및 실태 21

(1) 초등학교 미술교육의 목표 21

(2)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구성과 내용분석 22

III. Neo-DBAE이론에 의한 미술교육 36

1. DBAE이론과 Neo-DBAE이론의 개념과 차이 36

(1) DBAE이론의 개념 36

(2) DBAE이론의 한계와 주의점 38

(3) 대안 Neo-DBAE이론과 개념과 DBAE이론의 차이점 41

2. Neo-DBAE이론에 기초한 미술문화교육의 교수·학습 지도안 47

(1) 수업지도안 1: 생활 속 색의 개념 이해 47

(2) 수업지도안 2: 상상의 세계를 표현한 작품 감상 (시대적, 문화적 배경 학습) 55

3. Neo-DBAE이론의 교육적 가치와 시사점 63

IV. 결론 66

참고문헌 68

ABSTRACT 74

표목차

표 1) 미술교과서 분석과 내용현황(초등 4학년 미술교과서) 22

표 2) 미술교과서 분석과 내용현황(초등 5학년 미술교과서) 25

표 3) 미술교과서 분석과 내용현황(초등 6학년 미술교과서) 30

표 4) DBAE와 Neo-DBAE의 차이(김황기, 2002) 42

표 5) 수업지도안 6-8(색채와 문화) 48

표 6) 수업지도안 4-3(초현실주의) 56

그림목차

(도판 1) 먼셀의 색상환 이미지 48

(도판 2) 오방색 이미지자료 49

(도판 3) 알타미라의 동굴벽화 이미지자료와 아프리카 가면 50

(도판 4) 색채와 문화 ppt자료 52

(도판 5) 세계 대전의 참상 사진자료 57

(도판 6) 초현실주의 ppt 58

(도판 7) 마그리트 「이미지의 배반」 (1928~1929) 59

(도판 8) 달리 「기억의 영속」 (1931) 59

(도판 9) 에른스트 「잎사귀의 버릇」 (1926) 59

(도판 10) 달리 「내란의 예감」 (1936) 60

(도판 11) 달리 「나르시스의 변모」 (1937) 60

(도판 12) 마그리트 「인간의 조건」 (1935) 60

초록보기

 현대에 들어오면서 미술은 그 자체가 가지는 표현적 가치 외에도 사회 안 팎의 여러 다양한 요소를 담고 있는 문화와 만남으로서 더욱 그 가치를 높여 가고 있다. 미술교육의 기능은 여러 정의가 있으나 그 중 시각적 경험의 과정을 통해 미적 정서를 키울 뿐 아니라, 미적인 가치를 알아나가고 그 가치를 향유할 만한 능력을 통해 조화롭고 원만한 인간성을 기른다는 부분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미술문화교육의 필요성은 기존의 미술문화교육의 주요내용이었던, 단순히 물리적인 시간의 흐름에 따른 미술사조 이름만을 알아나가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문화의 흐름 속에서 미술이 담당해왔던 역할과 기능, 당 시대를 반영한 표현의 내용, 작품탄생의 역사적 배경, 동시대에서 영향을 주고받았던 미술의 문화발생적인 측면에 대한 효율적인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 연구의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현대로 들어오면서 다양한 매체의 발달이 미술감상의 영역을 더욱 확장시켰고 사회 여러 저변에서 미술과 문화의 다양하고 특색 있는 만남이 이루 어지고 있다. 멀티미디어를 위한 각종 교육 컨텐츠들, 교육과 즐거움의 만남 '에듀테인먼트(Edu + Entertainment)'가 활성화되어 수많은 교재와 자료들이 나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자료들에서 방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미술문화교육을 단순암기가 아닌, 시대의 문화를 이해하는 맥락적 관점을 기본으로 하는 Neo-Dbae 이론에 입각하여 바람직한 미술문화교육의 새로운 모색을 제시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미술교육이론으로서 막강한 영향을 주어왔고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을 살펴보고, 20세기에 들어 제기된 Neo-DBAE이론을 중심으로 미술사와 문화의 개념과 그 둘을 통합된 시각으로 교육하는 미술문화 교육지도안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Neo-DBAE 이론은 DBAE에 대한 한계점이 제기되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수용하며 등장하기 시작했다. 초기 DBAE이 이전의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의 단점을 비판하며 지식부분에 과도한 중심을 두다보니, 구체적 프로그램 제시의 부족 등의 단점 등이 지적되었다. 이런 단점들이 교사의 부담 등의 여러 한계를 드러냈고, 그런 한계를 극복하고자 제기된 Neo-DBAE는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의 장점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수용하는 융통성을 지닌다. 이는 실기와 표현의 보다 많은 수용, 다문화 인정을 기반으로 한 다원성의 강조, 타 학과목과의 통합성 중시 등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이러한 Neo-DBAE 이론의 미술문화교육내의 실제적 적용과, 그에 따른 교육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미술문화의 이해를 돕는 후속활동을 통해 단순감상의 차원에서 부족했던 표현의 영역까지 담고 있어, 현행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감상 교육의 새로운 방향전환에도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