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6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1) 연구의 필요성 8
(2) 연구의 목적 9
2. 연구의 내용 10
(1) 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10
(2) 협동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10
3. 연구의 제한점 10
II. 이론적 배경 12
1.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 12
(1)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 12
(2)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 13
(3)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14
(4) 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15
2. 협동학습 17
(1) 협동학습의 개념 17
(2) 협동학습의 특징 및 요소 19
(3) 학습 구조에 따른 학습 유형 34
(4) 협동학습의 구조와 학습전략 37
(5) 협동학습에 대한 선행연구 44
III. 연구 결과 46
1. 협동학습 활용 자료의 방향 46
(1) 협동학습 활용 자료 개발의 필요성 46
(2) 단원 선정의 이유 46
(3)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의 특징 46
2. 협동학습 활용 자료의 제시 48
(1) 학습지도안 1 48
(2) 학습지도안 2 52
(3) 학습지도안 3 58
(4) 학습지도안 4 65
(5) 학습지도안 5 73
IV. 결론 및 제언 78
1. 결론 78
2. 제언 78
참고문헌 80
ABSTRACT 82
우리나라에서 협동학습이 본격적으로 학교 현장에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는 상태에서 최근의 협동학습에 대한 관심은 폭발적이다. 그것은 협동학습이 다른 교수 학습이론이나 방법에 비해 우리의 열악한 교육 현실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고 특별한 교육 시설이나 기자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과목 학습에 있어서 협동학습의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과학 교육에 있어서 협동학습을 실질적으로 활용하여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전략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다인 수 학급이라는 현실적 제약 하에서 과학수업을 더욱 의미 있는 학습 경험으로 구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협동학습의 각종 구조를 바탕으로 하여 중학교 3학년 과학 내용 가운데 '생명' 분야 중 '생식과 발생' 단원을 중심으로 수업에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자료들은 실제 수업에 적용된 후 수정, 보완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들이 앞으로 수업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들에 의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협동학습을 통해 진정한 배움의 공동체를 이루고,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탐구하고,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는 등의 살아있는 과학 교육이 되도록 교사와 학생 모두 노력해야 할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