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한국 현대 페미니즘시 연구 : 고정희·최승자·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 김향라 인기도
발행사항
진주 :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2
청구기호
TD 411 -10-37
형태사항
iii, 152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0251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 2010.2. 지도교수: 유재천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Abstract 5

I. 서론 8

1. 연구 목적 및 방법 8

2. 선행 연구 검토 14

II. 페미니즘시의 지평 24

1. 페미니즘의 이론과 유형 24

2. 페미니즘 문학비평과 ‘여성적 글쓰기(ecriture feminine)’(이미지참조) 33

3. 한국 페미니즘시의 전개 41

III. 한국 페미니즘시의 시학과 세계 인식 49

1. 사랑의 실천과 여성 해방의 시학 - 고정희 51

1) 기독교 신앙과 제자직 수행 52

2) 버려진 어머니와 구술적 언어 59

3) 자매애와 여성해방의 노래 67

2. 자기해체와 범우주적 여성성의 시학 - 최승자 77

1) 세계부정과 종말의식 79

2) 죽음과 사랑의 카오스적 언어 88

3) 가이아(Gaia)적 회귀와 화답의 노래 93

3. 상생과 탈경계적 모성성의 시학 - 김혜순 102

1) 육체의 경험과 해체되는 몸 103

2) 주술성과 다성성의 유동적 언어 110

3) 노마드(Nomad)적 상상력과 바리데기의 노래 117

IV. 한국 페미니즘시의 ‘여성적 글쓰기’ 전략과 층위 124

1. ‘몸으로 글쓰기’와 분만의 상상력 125

2. ‘여성적 글쓰기’의 언술 특징 130

3. 페미니즘과 미적 지향점 137

V. 결론 144

참고문헌 148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sthetic principle and literary significance of feminism poetry by studying korean modern feminism poems which were turned up in earnest by Goh Jung-Hee, Choi Seung-Ja and Kim Hye-Soon from the latter half of 1970's to the earlier half of 1980's. their poems has been turning point in korean poetic history.

Before then, most of poetesses' texts had displayed passive attitude and confrontation to patriarchy. while Goh Jung-Hee, Choi Seung-Ja and Kim Hye-Soon accused oppression of logosphallocentricism and expressed self-consciousness in their poems based on feminine identity. they tried to recover position of female who has been driven out from existing society. they had widened poetic domain by using female word and 'writing of body'. so this thesis analyzes their poems paying attention to their poetic revolutionary properties in the aspect of methodology of feminism poetics.

Goh Jung-Hee construct images of consideration about the past and present, criticism against patriarchy, wish of women's liberation and people's liberation in the form of poetry. at the beginning, based on christianism, she wrote about the public who had been persecuted from society but gradually her radical feminism moved focus on the women's liberation. especially she disclosed tragic actualities of mothers and aimed their liberation. her poems not only used sharp satire and parody to make fool of authoritative objects but used oral means of long poem which was borrowed from Sittgim-gut to deliver the restriction of women's life.

Choi Seung-Ja showed oppressive structure of reality in the shape of personal experience. her early works became strained with death-consciousness and denial at the society. at that time, her poetic words were more cynical than other's and had many slangs, swearwords and so on. however, recently, based on ecofeminism she indicate philosophical view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e and people, between oneself and the other.

Kim Hye-Soon has written poems in the way of 'writing of body' throughout her thirty year's poetess' life. she suggested prospect of women's liberation breaking up the double wall, male-centric social structure and rational writing form. perceiving herself as Baridegi, she showed diaspric imagination that exceed limit of death. the post-modern feminism, appearing in her poems, break up dichotomy between beauty and ugliness, life and death, body and mind, male and female.

Goh Jung-Hee, Choi Seung-Ja and Kim Hye-Soon share characteristic of ecriture feminine on the basis of feminism thinking system. feminism poetry which is represented by them doesn't support the world of conflict and antagonism. korean feminism poetry not only surpasses dichotomy between male and female but also achieves poetic revolution that makes it possible to meet the other. furthermore korean feminism poetry opens a new prospect of aesthetic world. the direction of feminist poetics resides in going beyond separation of class and gender to achieve the integration. feministic poetry accomplishes recovery of humanity by ecriture feminine and heightening imagination.

참고문헌 (3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누가 홀로 술틀을 밟고 있는가』, 평민사, 1979. 미소장
2 『실락원 기행』, 인문당, 1981. 미소장
3 『초혼제』, 창작과비평사, 1983. 미소장
4 『이 시대의 아벨』, 문학과지성사, 1983. 미소장
5 『눈물꽃』, 실천문학사, 1986. 미소장
6 『지리산의 봄』, 문학과지성사, 1987. 미소장
7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 창작과비평사, 1989. 미소장
8 『광주의 눈물비』, 동아, 1990. 미소장
9 『여성해방 출사표』, 동광출판사, 1990. 미소장
10 『아름다운 사람 하나』, 푸른숲, 1991. 미소장
11 『모든 사라지는 것들은 뒤에 여백을 남긴다』(유고시집), 창작과비평사, 1992. 미소장
12 『또 다른 별에서』, 문학과지성사, 1981. 미소장
13 『아버지가 세운 허수아비』, 문학과지성사, 1985. 미소장
14 『어느 별의 지옥』, 문학과지성사, 1988. 미소장
15 『우리들의 陰畵』, 문학과지성사, 1990. 미소장
16 『나의 우파니샤드,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4. 미소장
17 『불쌍한 사랑 기계』, 문학과지성사, 1997. 미소장
18 『달력 공장 공장장님 보세요』, 문학과지성사, 2000. 미소장
19 『한 잔의 붉은 거울』, 문학과지성사, 2004. 미소장
20 『당신의 첫』, 문학과지성사, 2008. 미소장
21 『이 시대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1981. 미소장
22 『즐거운 일기』, 문학과지성사, 1984. 미소장
23 『기억의 집』, 문학과지성사, 1989. 미소장
24 『내 무덤 푸르고』, 문학과지성사, 1993. 미소장
25 『연인들』, 문학동네, 1999. 미소장
26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문학동네, 2000. 미소장
27 『시 읽기의 행복』, 을유문화사, 2000. 미소장
28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4. 미소장
29 『페미니즘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4. 미소장
30 『여성, 남성의 거울』,문학과지성사, 2002. 미소장
31 『예수전』, 돌베개, 2009. 미소장
32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미소장
33 『남자들은 모른다』, 마음산책, 2001. 미소장
34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미소장
35 『한국여류문학전집 6』, 삼성출판사, 1967. 미소장
36 『문학 생태학을 위하여』, 민음사, 1998. 미소장
37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문학탐색』,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미소장
38 『거품 아래로 깊이』, 생각의나무, 1998. 미소장
39 『한국현대여성시인』, 나남출판, 2001. 미소장
40 『시론』, 삼지원, 2002. 미소장
41 『한국 현대 장르 비평 김준오 유고집』, 문학과지성사, 2009. 미소장
42 『알기 쉬운 자크 라깡』, 백의, 1994. 미소장
43 『문학사회학』, 민음사, 1983. 미소장
44 『문학과 유토피아』, 문학과지성사, 1993. 미소장
45 『포스트모더니즘과 철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4. 미소장
46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동네, 2002. 미소장
47 『메두사의 거울』, 부산대학교출판부, 2005. 미소장
48 『몸의 정치』, 민음사, 1999. 미소장
49 『한국문학의 현단계 2』, 창작과비평사, 1983. 미소장
50 『차이와 타자』, 문학과지성사, 2000. 미소장
51 『오늘의 문제시인 시선』, 학원사, 1987. 미소장
52 『탈중심의 시학』, 새미, 1988. 미소장
53 『문학과 성의 이데올로기』, 새미, 1994. 미소장
54 『다시 쓰는 여성과 문학』, 평민사, 1995. 미소장
55 『니체, 데리다, 이리가레의 여성』, 소나무, 2004. 미소장
56 『푸줏간에 걸린 고기』, 문학동네, 2003. 미소장
57 『여성, 문학을 가로지르다』, 문학과지성사, 2005. 미소장
58 신촌여성문학회, 『한국 페미니즘의 시학』, 동화서적, 1996. 미소장
59 『바흐친과 문화이론』, 문학과지성사, 1995. 미소장
60 『바벨의 후예들 페허를 걷다』, 2006. 미소장
61 『위반의 시학』, 문학과지성사, 1993. 미소장
62 『익명의 사랑』, 문학과지성사, 2009. 미소장
63 『한국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0. 미소장
64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세계사, 1991. 미소장
65 『시론』, 고려원, 1992. 미소장
66 『해체시론』, 새미, 1998. 미소장
67 『라캉 거꾸로 읽기』, 월인, 2009. 미소장
68 『침묵의 파문』, 창비, 2002. 미소장
69 『근대시의 모더니티와 종교적 상상력』, 소명출판, 2008. 미소장
70 『노마디즘 1』,『노마디즘 2』, 휴머니스트, 2002. 미소장
71 『여성과 사회』, 경상대학교출판부, 2005. 미소장
72 『여성사회학』, 법문사, 1986. 미소장
73 『한국문학과 여성주의 비평』, 국학자료원, 1992. 미소장
74 『한국현대여성문학론』, 지평, 1988. 미소장
75 『한국여성시인연구』, 평민사, 1996. 미소장
76 『최인훈 소설의 주체성과 글쓰기』, 태학사, 2008. 미소장
77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1994. 미소장
78 『한국현대문학사』, 성우각, 1982. 미소장
79 『한국문학사』, 탐구당, 1979. 미소장
80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 여성해방문학가 고정희의 삶과 글』, 또 하나의 문화, 1993. 미소장
81 『상상적인 것의 인간학』, 문학과지성사, 1992. 미소장
82 『수용미학』, 문학과지성사, 1987. 미소장
83 『육체, 비평의 주사위』, 문학과지성사, 2003. 미소장
84 『아시아 무속과 춤 연구』, 민속원, 2005. 미소장
85 『말 속의 침묵』, 문학과지성사, 2002. 미소장
86 『신화의 저편』, 소명출판, 2007. 미소장
87 『문학의 귀환』, 창작과비평사, 2001. 미소장
88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2001. 미소장
89 한국여성문학학회 편, 『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명출판, 2008. 미소장
90 한국여성소설연구회, 『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한길사, 1995. 미소장
91 한국여성연구소, 『새 여성학 강의』, 동녘, 2005. 미소장
92 한국영미문학 페미니즘학회, 『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민음사, 2000, 미소장
93 『얼굴 없는 노래』, 문학과지성사, 2009. 미소장
94 『라깡과 현대철학』, 문학과지성사, 1999. 미소장
95 『한국 여성시의 이해와 감상』, 문학 아카데미, 1997. 미소장
96 『이데올로기, 해방신학, 의식화 교육』, 종로서적, 1985. 미소장
97 『얼굴없는 희망』, 문학과지성사, 1990. 미소장
98 『말과 시간의 깊이』, 문학과지성사, 2002. 미소장
99 「고정희 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미소장
100 「한국여성문학의 흐름」, 『또하나의 문화』2호, 1986. 미소장
101 「소재주의를 넘어 새로운 인간성의 실현으로」, 『문학사상』, 1990. 2. 미소장
102 김혜순 시의 技法 읽기 소장
103 「고정희, 그 이름의 高聖愛」, 『현대시학』, 1991. 8. 미소장
104 고정희의 페미니즘 시 연구 : 형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소장
105 「페미니즘 미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 『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여성문학학회 편, 2008. 미소장
106 「여성의 자시진술의 양식과 문체의 발견을 위하여」, 『또하나의 문화』 제9호, 1992. 미소장
107 「수다로 이야기하기, 현재진행형, 더듬거림, 자서전적, 일회적이고 파편화된, 무형식의 글쓰기」, 『또하나의 문화』제9호, 평민사, 1992. 미소장
108 「최승자론-사랑과 죽음」, 『풍경 속의 빈 곳』, 문학동네, 2002. 미소장
109 상징 질서에 도전하는 여성시의 목소리, 그 전복의 전략들 소장
110 「한국 현대 여성시의 고백시적 경향과 언술 특성」, 『한국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명출판, 2008. 미소장
111 「지극한 고통과 지독한 사랑의 노래」, 『원우론집』22권, 연세대학교대학원, 1995. 미소장
112 「이 시대의 시인을 찾아서-최승자편」, 『서시』, 2007년 봄호. 미소장
113 「어머니 혹은 소녀로서의 야훼를 바라보며 걷기-김혜순 초청대담」, 『서시』, 2008년 겨울호. 미소장
114 「여성시 숲으로의 여행-김혜순 시읽기」, 현대시, 1996. 7. 미소장
115 죽음에 대한 시적 승리에 관하여 : 말의 공간,죽음의 공간,최승자의 시 읽기 소장
116 「한국 여성문학의 흐름」, 『또 하나의 문화』, 제2호, 1986. 미소장
117 「Stabat Mater, 서 있는 성모들」, 『문학정신』,1991. 9. 미소장
118 「하염없이 터져 흐르는……」, 『현대시』, 1996. 9. 미소장
119 「고통과 일상성의 변증법」, 고정희, 『초혼제』, 문학과지성사, 1983. 미소장
120 「노천명 시에 나타난 여성성의 발현」, 『한국현대문예비평연구』28호, 한국현대문학비평학회, 2009. 미소장
121 高靜熙의 의지와 사랑 소장
122 「현대시와 페미니즘」, 『문학과 비평』, 1991. 겨울호. 미소장
123 길이 끝난 곳에서 시작되는 길 : 최승자·백무산의 시집 소장
124 「여류 문인 모윤숙과 왜곡된 모성」, 『겨레어문학』40호, 겨레어문학회, 2008. 미소장
125 「테러리즘의 문학」, 『문학과지성』, 1971년 여름호. 미소장
126 「행복한 여성성 : 순환하는 딸-김혜순의 시세계」, 『김현 문학전집⑥』, 문학과지성사, 1996. 미소장
127 「세 개의 변주」, 『젊은 시인들의 상상 세계』, 문학과지성사, 1999. 미소장
128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본 한국현대시 연구」, 『한국시의 감각과 미적 거리』, 문학과지성사, 1992. 미소장
129 「한국문학과 여성Ⅰ- 한국 여성시의 존재 탐구와 언술구조」, 『어문연구』89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66. 미소장
130 한국현대여성문학사-시 소장
131 「페미니즘과 여성시」, 『또하나의 문화』제9호, 1992. 미소장
132 「식민지 시대의 사회주의 서사와 여성 담론」, 『탈식민주의와 근대문학』, 문예출판사, 2004. 미소장
133 시대의 염의(殮衣)를 마름질하는 손 : 고정희론 소장
134 「마녀와 고양이」, 『문학과사회』, 1988년 가을호. 미소장
135 「무서운 유희-김혜순의 시세계」, 김혜순, 『우리들의 음화』, 문학과지성사, 1995. 미소장
136 「페미니즘 이론의 실천적 지평」, 『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민음사, 2000. 미소장
137 「얼굴이 지워진 여자들-90년대 여성시의 화자에 관하여」, 『현대시』, 1997. 8. 미소장
138 또하나의 문화,「여자로 말하기」,『또하나의 문화』제9호, 1992. 미소장
139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이론과 쟁점』, 문학과지성사, 2005. 미소장
140 고정희 시의 화자 연구 소장
141 「함께 읽고 새로 써본 식수의 ‘메두사의 웃음’」, 『또하나의 문화』제9호, 1992. 미소장
142 「창조된 ‘여류’와 그들의 ‘이원적 착란’」, 『한국문학의 연구』20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03. 미소장
143 '여류'의 기원과 정체성 : 50∼60년대 여성문학을 중심으로 소장
144 「여성해방에서 통일로 이끄는 굿판」, 『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 창작과비평사, 1989. 미소장
145 「식인의 현실과 그 언어적 대응-김혜순의 시세계」, 『상처와 응시』, 문학과지성사, 1997. 미소장
146 엘렌 씩수의 『출구』에 나타난 프로이드 뒤집어 읽기 Ⅱ 네이버 미소장
147 「여류작가가 되기까지의 고심담」, 『신여성』, 1935. 12. 미소장
148 「모성 담론에 부재하는 어머니」, 『페미니즘 연구』, 동녘, 2006. 미소장
149 페미니즘 비평 소장
150 「페미니즘과 여성적 글쓰기」, 『20세기 한국시의 사적 조명』, 한국현대시학회, 태학사, 2003. 미소장
151 「갈망하는 자의 슬픔과 기쁨」, 고정희, 『지리산의 봄』, 문학과지성사, 1987. 미소장
152 고정희의 페미니즘시 소장
153 「1990년대 모성의 변화: 희생의 화신에서 욕구를 가진 인간으로」, 『모성의 담론과 현실, 어머니의 삶, 정체성』, 나남출판, 2000. 미소장
154 「21세기 가족과 모성의 변화」제1호, 『여성연구논총』, 성신여대 한국여성연구소 편, 2000. 미소장
155 「1950년대 후반 여류시에서 ‘여성주체’의 문제-김남조·박영숙·김숙자를 중심으로」, 『문학과언어』제26집, 2004. 미소장
156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식민지 시대 여성작가의 형성과정」, 『한국여성문학연구의 현황과 전망』, 소명출판, 2008. 미소장
157 文藝時評 : 두 가지 題問를 가지고 소장
158 Ged?chtnis, weiblicher K?rper und weibliches Schreiben 소장
159 「소설가 박화성론」, 『여성』, 1938. 2. 미소장
160 여성시에 대한 기대지평의 전환;최승자 시를 중심으로 소장
161 육체의 시대와 육체의 시학 소장
162 고정희 시에 나타난 종교의식과 현실인식 네이버 미소장
163 고정희 시의 모성 연구 소장
164 「김수영과의 가상 대담」, 『출판저널』, 1999. 2. 미소장
165 시와 문화 소장
166 Семиосфера Ю.М.Лотмана и её применение 소장
167 고정희 페미니즘시 연구 소장
168 「타자성의 얼굴」, 『작가와비평』2호, 2004. 미소장
169 「여성적 글쓰기와 대중성의 문제에 대한 시론」, 『대중서사연구』제13호, 대중서사학회, 2005. 미소장
170 「몸살의 시, 배설의 생태학-우리 시대, 몸의 시학」, 『환멸의 신화』, 민음사, 1995. 미소장
171 「소용돌이치는 만다라-김혜순 ‧ 이광호 대담」, 『문학과사회』, 1997년 여름호. 미소장
172 「세기말의 비망록」, 최승자, 『내 무덤, 푸르고』, 문학과지성사, 2003. 미소장
173 「나, 그녀, 당신, 그리고 첫」, 김혜순, 『당신의 첫』, 문학과지성사, 2008. 미소장
174 히스테리적 육체, 몸으로 글쓰기 : 히스테리·포르노·싸이버 소장
175 「여류작가개평」, 『신가정』, 1934. 2. 미소장
176 「엘렌 식수와 여성적 글쓰기」, 『세계의 문학』, 2001, 겨울호. 미소장
177 Hélène Cixous et la subjectivité féminine 소장
178 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여성성의 탐구 소장
179 「사랑과 죽음의 전문가」, 『현대시세계』, 1991. 10. 미소장
180 영국 페미니즘과 제국주의 : 남아프리카 전쟁 담론을 중심으로 소장
181 고정희 시에 나타난 페미니즘 양상 연구 소장
182 고정희 페미니즘시 연구 소장
183 현대 여성시의 여성의식 연구 : 김승희·김혜순·최승자를 중심으로 소장
184 고정희 시 세계 연구 :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소장
185 「‘그녀, 요나’의 붉은 상상」, 김혜순, 『한 잔의 붉은 거울』, 문학과지성사, 2004. 미소장
186 몸과 프랙탈의 언어 : 김혜순論 소장
187 김혜순 시의 몸 이미지에 대한 고찰 소장
188 죽음·아버지·자궁,그리고 시쓰기;최승자론 소장
189 「1980년대 페미니즘 시 연구-최승자, 고정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미소장
190 한국 여성시에 나타난 몸 이미지 분석 : 김정란, 김혜순, 최승자의 시를 중심으로 소장
191 「방법적 비극, 그리고-최승자의 시 세계」, 최승자, 『즐거운 일기』, 문학과지성사, 1984. 미소장
192 「자신을 부르는 소리」, 고정희, 『여성해방출사표』, 동광출판사, 1990. 미소장
193 「망가진 이중나선」, 김혜순, 『불쌍한 사랑 기계』, 문학과지성사, 1997. 미소장
194 「여성주의시의 흐름과 쟁점」, 『문학사상』, 1996. 6. 미소장
195 The discovery of feminity and the tactics of `ecriture fe minime` - emphasizing on Korean women poets in 1990`s 소장
196 고정희 시의 탈식민주의적 연구 소장
197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식」, 『한국근대문학연구』제7권, 한국근대문학회 편, 2006. 미소장
198 「쥘리아 크리스테바의 페미니즘 이론」, 『현상과 인식』, 1988년 겨울호. 미소장
199 최승자論;죽음과 상처의 시 소장
200 고정희 論;살림의 시,불의 상상력 소장
201 해방 후 50년의 한국 여성시 네이버 미소장
202 「풍자와 언어실험」,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 편, 1996. 미소장
203 한국 현대시와 아방가르드 소장
204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소장
205 「최승자 시 연구-실존의식과 페미니즘을 중심으로」,명지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8. 미소장
206 「시인이 쓰는 시 이야기-긴 여행 끝의 한 출발점에서」, 『연인들』, 문학동네, 1999. 미소장
207 「서구 페미니스트 문학비평과 한국의 여성문학」, 『21세기 문예이론』, 문학사상사, 2007. 미소장
208 「추보(醜甫)씨의 비가 혹은 연가」, 『신생』, 2009년 봄호. 미소장
209 Agamben and lacan's analysis of holocaust and totalitarian ideology 소장
210 「딸의 사막과 어머니의 서울」, 『말과 시간의 깊이』, 문학과지성사, 2002, 미소장
211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미소장
212 『해방신학』, 분도출판사, 1977. 미소장
213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0. 미소장
214 『경계에 선 줄리아 크리스테바』, 앨피, 2007. 미소장
215 『페미니즘과 언어이론』, 한국문화사, 1995. 미소장
216 『라캉 이론의 신화와 진실』, 민음사, 2001. 미소장
217 『소수집단의 문학을 위하여』, 문학과지성사, 1992. 미소장
218 『앙띠 오디푸스』, 민음사, 1994. 미소장
219 『페미니즘 문학 이론』, 인간사랑, 1998. 미소장
220 『성관계는 없다』, 비, 2005. 미소장
221 『미니마 모랄리아』, 길, 2005. 미소장
222 『자연, 여성, 환경』, 한신문화사, 2000. 미소장
223 『사랑의 단상』, 동문선, 2004. 미소장
224 『S/Z』, 동문선, 2006. 미소장
225 『세계 상실의 문학』, 홍성사, 1981. 미소장
226 『하나이지 않은 성』, 동문선, 2000. 미소장
227 『나, 너, 우리 : 差異의 文化를 위하여』, 동문선, 1996. 미소장
228 『절단된 신체와 모더니티』, 조형교육, 1997. 미소장
229 『페미니즘을 생각한다』, 정우사, 1995. 미소장
230 『이게 다예요(C'est tout)』 네이버 미소장
231 『에코페미니즘』, 창작과비평사,2000. 미소장
232 『나와 너』, 문예출판사, 2001. 미소장
233 『죽음의 철학』, 청람, 2004. 미소장
234 『존재와 시간』, 까치, 1999. 미소장
235 『침묵의 세계』, 까치, 1985. 미소장
236 『페미니즘 이론 사전』, 삼신각, 1995. 미소장
237 메리 울스톤크래프트 외,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역, 『페미니즘』, 민음사, 2000. 미소장
238 『문학의 공간』, 책세상, 1990. 미소장
239 『밝힐 수 없는 공동체, 마주한 공동체』, 문학과지성사, 2005. 미소장
240 『성과 속』, 한길사, 1998. 미소장
241 『미셀 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새물결, 1995. 미소장
242 『성의 역사3』, 나남출판, 1990. 미소장
243 『시의 기호학』, 민음사, 1993. 미소장
244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98. 미소장
245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 아키넷, 2001. 미소장
246 『베를린의 유년 시절』, 솔, 1992. 미소장
247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2005. 미소장
248 『버지니아 울프, 그리운 사람』, 하늘연못, 1999. 미소장
249 『자기만의 방』, 민음사, 2006. 미소장
250 『에크리 읽기』, 비, 2007. 미소장
251 『라캉과 정신의학』, 민음사, 2002. 미소장
252 『지젝이 만난 레닌』, 교양인, 2008. 미소장
253 『시집』, 문학과지성사, 2005. 미소장
254 『성의 변증법』, 풀빛, 1983. 미소장
255 『제2의 성』, 을유문화사, 1994. 미소장
256 『거상』, 청하, 1986. 미소장
257 『실비아 플라스의 일기』, 문예출판사, 2004. 미소장
258 『더 이상 어머니는 없다』,평민사, 1995. 미소장
259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새길, 1995. 미소장
260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한신문화사, 1992. 미소장
261 『가족의 역사』, 이학사, 2001. 미소장
262 『여성해방문학의 논리』, 창비, 1990. 미소장
263 『도둑맞은 편지』, 문학과지성사, 1997. 미소장
264 『시간의식』, 한길사, 2000. 미소장
265 『희망의 원리』, 1993. 미소장
266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미소장
267 『메두사의 웃음 출구』, 동문선, 2004. 미소장
268 『페미니즘과 정신분석학 사전』, 한신문화사, 1997. 미소장
269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미소장
270 『모리스 블랑쇼에 대하여』, 동문선, 2003. 미소장
271 『낭만주의에서 아방가르드까지의 현대시론』, 현대미학사, 1995 미소장
272 『활과 리라』, 솔, 1998. 미소장
273 『침묵에 다가가기』, 앨피, 2008. 미소장
274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미소장
275 『언어의 현존』, 탐구당, 1985. 미소장
276 『예술 텍스트의 구조』, 고려원, 1991. 미소장
277 『그라마톨로지』, 민음사, 1996. 미소장
278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 동문선, 2004. 미소장
279 『욕망 이론』, 문예출판사, 1994. 미소장
280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8. 미소장
281 『페미니즘』, 이후, 2002. 미소장
282 『The Revenge of Gaia 』, Penguin Books, 2006. 미소장
283 『가이아의 복수 』, 세종서적, 2008. 미소장
284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미소장
285 『에로티즘』, 민음사, 1999. 미소장
286 『페미니즘 이론』, 문예출판사, 1993. 미소장
287 『데리다의 해체주의』, 문학과지성사, 1988. 미소장
288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0. 미소장
289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인간사랑, 2003. 미소장
290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미소장
291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미소장
292 『검은 태양』, 동문선, 2004. 미소장
293 『공포의 권력』, 동문선, 2001. 미소장
294 『새로운 정신분석 강의』, 열린책들, 1997. 미소장
295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1998. 미소장
296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열린책들, 2003. 미소장
297 『들뢰즈와 푸코』, 새길, 1995. 미소장
298 『철학이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5. 미소장
299 『감각의 논리』, 민음사, 2008, 미소장
300 『심리이론과 여성의 발달』, 철학과현실사, 1994. 미소장
301 『페미니즘 무엇이 문제인가』, 문예출사, 1997. 미소장
302 『20세기 문학비평』, 까치, 1984. 미소장
303 크리스 위든, 이화영미문학회 역, 『포스트구조주의와 페미니즘비평』, 한신문화사, 1994. 미소장
304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한신문화사, 1992. 미소장
305 『슬픈 열대』, 한길사, 1998. 미소장
306 『페미니스트 문학비평』, 문학과비평사, 1989. 미소장
307 『흑인 페미니즘 사상』, 여이연, 2009. 미소장
308 『문학과 페미니즘』, 문예출판사, 1997. 미소장
309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95. 미소장
310 『비극의 탄생. 반시대적 고찰』, 책세상, 2005. 미소장
311 『페미니스트 시학』, 고려원, 1992.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