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3

1. 연구의 목적 14

2. 연구방법 15

II. 발해의 불교유적과 유물 16

(1) 舊國 管轄地域의 寺址 - 지금의 성산자산 일대 25

(2) 中京 顯德府 管轄地域의 寺址 - 지금의 吉林省 和龍縣의 西古城子 26

1) 束南溝寺廟地 28

2) 軍民橋寺廟址 28

3) 龍海寺廟址 28

4) 英城古城寺廟址 29

5) 仲坪寺廟址 29

6) 舞鶴寺廟址 30

7) 大東溝寺廟址 30

8) 神仙洞寺廟址 31

9) 駱駝山寺廟址 32

10) 束淸寺廟址 32

11) 傅家溝寺廟址 33

12) 崇實寺廟址 34

13) 鹹場寺廟址 34

14) 新田寺廟址 35

(3) 上京龍泉府 부근의 寺址 - 黑龍江省 寧安市 渤海鎭(渤海鎭의 본명은 동경성진) 40

1) 第1寺址 42

2) 第9寺址 44

3) 기타의 寺址 45

(4) 東京龍原府 管轄地域의 寺址 - 지금의 吉林省 琿春市 八連城 47

1) 馬適達村寺址 48

2) 新生村寺址 48

3) 五一村寺址 49

4) 楊木林子村寺址 49

5) 大荒溝村寺址 50

6) 八連城東南寺址 50

7) 三家子良種場寺址 51

(5) 南京南海府 管轄地域의 寺址 - 함경남도 북청 53

1) 梧梅里寺址 53

2) 改心寺址 55

3) 靑海上城 內 寺址와 佛敎遺物 56

(6) 연해주의 渤海절터 58

1) 까쁘이또(Копыто) 寺址 61

2) 아브리코스(Абрикос) 寺址 62

3) 보리쏘브까(Борисовка) 寺址 64

4) 크라스키노古城內의 寺址 64

5) 꼬르사코프 寺址 66

6) 우쓰리스크시 부근의 사지 70

(7) 東北境內 기타지역 寺址 71

1) 七道河子村寺址 71

2) 伯道古城寺址 71

3) 大城子古城寺址 72

III. 渤海의 佛像 86

1. 佛像의 종류 87

1) 金銅佛 88

2) 금·은불 (金銀佛) 94

3) 石佛 96

4) 石佛碑像 99

5) 鐵佛 102

6) 銅佛 102

7) 塑佛 (塼弗) 102

2. 발해 불상조각의 양식 118

(1) 上京流波 143

(2) 束京流波 145

(3) 中京流波 167

(4) 러시아 연해주(沿海州, 率濱府, 鹽州)유파 167

IV. 결론 177

참고문헌 179

Abstract 185

표목차

〈표 1〉 발해 절터 종합 분석표. 이병건, 「발해 사찰유적의 건축형식 연구」, 『高句麗硏究』... 24

〈표 2〉 北韓 내 高句麗·渤海 사원지와 佛像의 출토 상황 중 발해시대 부분... 56

〈표 3〉 渤海의 정치 전개과정, 동북아역사재단, 『渤海 5경과 영역 변천』, (한규철, 渤海 5경의... 173

그림목차

〈그림 1〉 발해 강역도(『새롭게 본 발해사』), 발해의 역사와 문화, p.82. 15

〈그림 2〉 東淸村寺廟地 출토유물 방학봉, 『발해건축연구』, 연변대학출판사, 1994, p.306. 38

〈그림 3〉 古産村寺廟地 평·단면도 方學鳳 著/朴相佾 編譯, 앞의 책, p.18. 38

〈그림 4〉 古産村寺廟地 복원도 方學鳳 著/朴相佾 編譯, 앞의 책, p.19. 39

〈그림 5〉 新生村寺址 평면도, 方學鳳 著/朴相佾 編譯, 앞의 책, p.41. 52

〈그림 6〉 新生村寺址 복원도, 方學鳳 著/朴相佾 編譯, 앞의 책, p.41. 52

〈그림 7〉 靑海土城과 梧梅里寺址위치도 양은경, 앞의 글, p.195,〈그림21〉 57

〈그림 8〉 북한지역 내 불교유물(佛像)의 출토 사원지와 분포도 사원지와 분포도... 57

〈그림 9〉 연해주 위치도, 국립문화재연구소, 『아무르·연해주의 신비』 도록, 2006 76

〈그림 10〉 흥륭사 석등탑 실측도, 방학봉, 『발해의 불교유적과 유물』 p.109. 78

〈그림 11〉 발해유적 분포도, 동북아역사재단 국제학술회의 『발해와 동아시아』, 2008, p.155. 81

〈그림 12〉 보리쏘브까 寺址 출토 수막새, 『러시아 연해주와 발해역사』... 82

〈그림 13〉 크라스키노 성터 평면도, 동북아역사재단 『2007 러시아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83

〈그림 14〉 꼬르사코프 사지 건물기단 평면 복원도 대륙연구소,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 1994, p.97. 85

〈그림 15〉 꼬르사코프 사지 출토 철제풍탁 실측도 대륙연구소,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 1994, p.112. 85

〈그림 16〉 간다라와 그 주변지도, 이주형, 『간다라미술』, 사계절, 2003, p.24. 124

〈그림 17〉 渤海 상경 출토 1面6臂 실측도 방학봉, 『발해불교와 그 유적·유물』... 175

사진목차

〈사진 1〉 高産村寺廟地 全景,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 자료 39

〈사진 2〉 靑海土城 내 사원지출토 금동광배 渤海, 금동, 높이 16cm, 국립중앙박물관,... 57

〈사진 3〉 오매리사지 출토 청동보살입상, 渤海, 청동, 높이 15cm... 57

〈사진 4〉 발해석등,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도록, 2005, p.109. 77

〈사진 5〉 흥륭사 발해 석등탑 세부사진, 『조선유적유물도감』... 79

〈사진 6〉 함경남도 신포시 오매리 사지 전경 『조선유적유물도감』,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 자료 80

〈사진 7〉 보리쏘브까 출토 토제불두(Macka) 18.5 x 16.5cm 국립문화재연구소, 『아무르·연해주의 신비』 도록, p.122. 80

〈사진 8〉 보리쏘브까 출토 연화문 수막새(12.5 x 12cm) 국립문화재연구소, 『아무르·연해주의 신비』 도록, p.123. 82

〈사진 9〉 크라스키노 성터 전경, 에.붸 .샤브꾸노프 엮음/송기호·정석배 옮김,... 84

〈사진 10〉 꼬르사코프 寺址 출토 봉황문 막새 에. 붸. 샤브꾸노프 엮음/송기호·정석배 옮김,... 84

〈사진 11〉 금동관음보살입상, 높이 10cm, 상경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해동성국 발해』, 2003, p.29. 91

〈사진 12〉 금동관음보살입상 세부, 높이 10cm, 상경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28. 92

〈사진 13〉 금동관음보살입상, 높이 10cm, 상경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29. 93

〈사진 14〉 상경성 출토 금불상, 『中國邊疆民族地區文物集萃』 上海辭書出版社, 1999... 95

〈사진 15〉 上京城 城內 남부 第3聖殿안에 있는 興隆寺의 大石佛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 자료 98

〈사진 16〉 '咸和四年'이 새겨진 佛碑像, (복제품) 국립중앙박물관 『개관도록』, 2007, p.110. 101

〈사진 17〉 전불좌상, 높이(좌) 9.7cm, 상경성 토대자사지, 左:동경대, 右 2 : 서울대... 105

〈사진 18〉 '〈사진 17〉' 전불좌상의 뒷면, 높이(좌) 9.7cm, 상경성 토대자사지,... 105

〈사진 19〉 상경성 토대자사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2003, p.39.... 106

〈사진 20〉 전불좌상, 상경성출토, 서울대박물관 동북아역사재단, 『발해의 역사와 문화』... 106

〈사진 21〉 전불좌상, 높이 12.2cm 상경성 토대자사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39. 106

〈사진 22〉 전불좌상, 높이(左) 6.5cm, 상경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1. 106

〈사진 22〉 오른쪽 전불 밑면 106

〈사진 23〉 전불좌상, 높이(左) 6.7cm, 상경성, 左:서울대, 右: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2. 107

〈사진 24〉 전불좌상, 높이(左) 8.4cm, 상경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2. 107

〈사진 25〉 소불좌상과 그 측면, 상경성 제4사지 출토, 도쿄대학 소장... 108

〈사진 26〉 소불좌상 앞면과 뒷면, 상경성 토대자사지 출토, 도쿄대학 소장... 109

〈사진 27〉 전불좌상의 채색흔적, 상경성, 동경대 소장,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6. 110

〈사진 28〉 전불좌상의 채색흔적, 높이(中) 6.4cm, 상경성 , 左:서울대 右 2:동경대... 110

〈사진 29〉 전불좌상, 높이 10.5cm, 상경성 토대자사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0. 111

〈사진 30〉 '〈사진 29〉'의 좌 밑면 철심 남은 상태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0. 111

〈사진 31〉 관음보살입상, 높이(左) 10.8cm, 상경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5. 114

〈사진 32〉 상경성 출토 사유관음보살입상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4. 114

〈사진 33〉 상경성 출토 사유관음보살입상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5. 114

〈사진 34〉 관음보살입상 앞면·뒷면·밑면, 높이(左) 10.8cm, 상경성, 동경대... 115

〈사진 35〉 관음보살입상 정리 전경(상경성 제4사지 출토, 도쿄대학 소장)... 116

〈사진 36〉 보살입상, 높이(左) 7.3cm, 상경성 토대자사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5. 117

〈사진 37〉 높이 7.0cm 관음보살입상의 채색흔적 상경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7. 117

〈사진 38〉 소조인물상 코·귀편, 높이(左) 6.5cm, 左 2:팔련성 제3사지... 117

〈사진 39〉 손가락편 길이 4.1cm, 팔련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7. 117

〈사진 40〉 금박 전불파편, 높이 1.9cm 상경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7. 117

〈사진 41〉 신장상파편 높이 6.8cm, 상경성 토대자사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7. 117

〈사진 42〉 소조장식파편 높이 14.7cm 117

〈사진 43〉 아라발용왕귀불도, 적색사암 높이 57cm, 폭56cm(서기전2세기), 바르후트출토... 125

〈사진 44〉 족적, 길이 67.5cm, 서기 1세기 아마라바티 출토, 영국박물관, 최완수, 앞의 책, p.26. 125

〈사진 45〉 불입상, 2세기 전기, 135cm 간다라 출토, 라호르중앙박물관... 125

〈사진 46〉 32년명불삼존비상(159년) 높이 72.5cm, 넓이 47cm, 아히차트라 절터... 126

〈사진 47〉 약쉬 醉態圖, 2세기, 높이 96.5cm 마호리출토, 『인도 국립박물관』 도록... 126

〈사진 48〉 여래 머리, 간다라, 高 31.6cm 2세기 후기,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126

〈사진 49〉 약쉬 반신상, 쿠산왕조, 高 33.6cm 1~2세기, 교토국립박물관 소장... 126

〈사진 50〉 불입상 높이 217cm 4세기 후기, 자말푸르 출토 인도뉴델리대통령관저 소장 최완수, 앞의 책, p.74. 127

〈사진 51〉 V자형 옷주름선 불입상, 높이 145cm, 5세기 중기... 127

〈사진 52〉 설법인(초전법륜) 여래좌상, 높이 159cm, 굽타시대... 127

〈사진 53〉 금동불두, 높이 17cm 2세기 중기, 호탄출토, 도쿄국립박물관... 127

〈사진 54〉 견염선정불좌상, 금동, 높이 32.9cm3세기 전기, 하북성 석가장 부근 출토, 하버드대학... 127

〈사진 55〉 미륵보살입상, 금동 높이 33.3cm, 2세기 후기... 128

〈사진 56〉 선정불좌상, 금동, 높이 13.5cm 3세기 전기, 日本동경대학 공학부 소장... 128

〈사진 57〉 간다라식 시무외불입상 금동, 높이 20cm, 3세기... 128

〈사진 58〉 시무외불입상 금동, 높이 15.8cm, 3세기 중기... 128

〈사진 59〉 퇴영선정불좌상, 금동 15.2cm, 3세기 후기, 출토지 미상... 129

〈사진 60〉 건무4년명선정불좌상, 금동, 높이 39.7cm 석조 건무4년(338), 中國 하북성 석가장 부근 출토... 129

〈사진 61〉 자기식 선정불좌상 금동, 높이 13.4cm, 4세기 후기... 129

〈사진 62〉 승광2년명선정불좌상 금동, 높이 19cm, 대하 승광2년 (429)... 129

〈사진 63〉 미륵불교각좌상, 소조, 높이 79cm 북량(421~439년)시대, 中國 감숙성 돈황 막고굴... 130

〈사진 64〉 병령사소조불입상, 소조 높이 약 200cm, 서진 건흥 5년(424)... 130

〈사진 65〉 시무외동불입상 청동, 높이 225cm, 5세기 후기... 130

〈사진 66〉 원가28년명선정불좌상 금동, 높이 29.3cm, 유송 원가 28년... 130

〈사진 67〉 태평진군4년명불입상, 금동, 높이 53.5cm 북위 태평진군 4년(443), 中國 하북성 박야현 제조... 131

〈사진 68〉 운강석굴20동 본존선정불좌상, 황백색 사암, 높이 14.33m... 132

〈사진 69〉 포복식불입상, 황백색 사암, 높이 315cm, 북위 486년, 운강 석굴... 133

〈사진 70〉 금동 불입상(부분) 북위시대, 6세기 전반, 높이 20cm... 134

〈사진 71〉 금동미륵여래입상 동위시대, 펜실베니아대학박물관... 134

〈사진 72〉 석불입상, 북제, 5세기 후반, 칭조우박물관 소장... 134

〈사진 73〉 정광(正光)명금동여래 입상 북위 524년... 134

〈사진 74〉 勢至菩薩立像, 總高36.0 像高17.1 隋,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135

〈사진 75〉 觀音菩薩立像, 總高 35.8 像高17.4 隋, 6세기, 시즈오카현 MOA미술관 소장... 135

〈사진 76〉 觀音菩薩立像, 大理石 像高 253.6, 隋,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136

〈사진 77〉 菩薩半跳像, 砂岩, 唐, 總高139.4 像高97.0, 山西省天龍山石窟第14窟, 도쿄국립... 136

〈사진 78〉 보살좌상, 唐 상해박물관 소장 상해박물관 홈페이지 자료 136

〈사진 79〉 보살입상 唐, 상해박물관 소장 상해박물관 홈페이지 자료 136

〈사진 80〉 浮彫十一面觀音龕, 石灰岩唐, 陝西省西安寶慶寺 總高 113.8,... 137

〈사진 81〉 十一面觀音菩薩立像, 木造 多武峯傳來 高 42.4, 唐... 137

〈사진 82〉 톈룽산석굴 제2굴 정벽불감 著 마쓰창 외/譯 양은경, 『중국 불교석굴』... 138

〈사진 83〉 톈룽산석굴 제2굴 서벽불상 著 마쓰창 외/譯 양은경, 앞의 책, p.317. 138

〈사진 84〉 톈룽산석굴 제9굴 상층 미륵불상, 著 마쓰창 외/譯 양은경... 138

〈사진 85〉 톈룽산석굴 제9굴 하층 관음·문수상, 著 마쓰창 외/... 138

〈사진 86〉 금동 관음보살입상, 높이 34.8cm 하버드대학 포그박물관... 139

〈사진 87〉 思惟菩薩像, 唐, 상해박물관 소장 상해박물관 홈페이지 자료 139

〈사진 88〉 석불좌상, 사암, 唐, 8 세기 전반 높이 1.08m, 中國 산서성 천룡산 동굴에서... 139

〈사진 89〉 뚝섬 출토 금동여래좌상 5세기 전반, 높이 4.9cm, 서울 뚝섬 출토... 140

〈사진 90〉 연가7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7年銘金銅如來立像), 高句麗 539년... 140

〈사진 91〉 금동 선정인 여래좌상 8.8cm, 남궁연 소장... 140

〈사진 92〉 서산 마애삼존불상, 백제 국보 제84호,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40

〈사진 93〉 황룡사지 출토 금동불입상, 6 세기 후반, 신라, 동국대박물관 소장... 141

〈사진 94〉 금동반가사유상 삼국시대, 국보 제83호, 높이 93.5cm... 142

〈사진 95〉 금동미륵보살반가상 삼국시대, 국보 제72호, 높이 80cm... 142

〈사진 96〉 양평금동여래입상 삼국시대, 국보 제186호... 142

〈사진 97〉 원오리 출토 소조 보살입상, 高句麗... 142

〈사진 98〉 이불병좌상, 높이 29cm, 팔련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30. 146

〈사진 99〉 이불병좌상 뒷면, 높이 29cm, 팔련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31. 147

〈사진 100〉 연화화생상 세부, 팔련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31. 147

〈사진 101〉 '〈사진 98〉' 상호 세부, 팔련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31. 147

〈사진 102〉 '〈사진 98〉'의 우협시 세부 팔련성, 동경대... 148

〈사진 103〉 '〈사진 98〉'의 좌협시 세부 팔련성, 동경대,... 148

〈사진 104〉 '〈사진 98〉'의 하단부 세부, 팔련성,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31. 148

〈사진 105〉 이불병좌상 파편과 얼굴세부(右) 높이 10.5cm, 팔련성 제2사지, 동경대... 157

〈사진 106〉 이불병좌상 파편, 높이 10.5cm, 팔련성 제2사지,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8. 157

〈사진 107〉 불상 파편, 높이(左) 4.4cm, 팔련성 제2사지,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9. 160

〈사진 108〉 불상 파편, 높이(右) 6.5cm, 팔련성 제2사지,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49. 160

〈사진 109〉 석제 佛像머리, 높이 9.8cm 팔련성, 제2사지,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50. 161

〈사진 110〉 석제 佛像머리, 높이 14cm 팔련성, 제2사지, 동경대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50. 161

〈사진 111〉 전불입상, 높이(左), 10.5cm, 평남 원오리, 高句麗 서울대박물관, 앞의 도록. p.88. 161

〈사진 112〉 6窟 中心柱 北面二佛並坐像, 文武王, 「北魏佛敎와 石窟造營 硏究」... 162

〈사진 113〉 이불병좌상, 금동, 높이 26cm 북위 희평 3년(518), 中國 하북성... 162

〈사진 114〉 혜영조석가모니불칠금석상, 양 무제 중대동 원년(546), 1860년대 中國 강소성... 162

〈사진 115〉 석가모니불 좌상 163

〈사진 116〉 '〈사진115〉'의 뒷면 163

〈사진 117〉 돈황 막고굴 제259굴 이불병좌상, 구노미키 지음/최성은 옮김, 『중국의 불교미술』, 시공사, 2005, p.29. 164

〈사진 118〉 금동계미명(癸未銘) 삼존불 삼국시대(백제 위덕왕 10년 : 563년 경)... 165

〈사진 119〉 계유명(癸酉銘) 삼존천불비상 통일신라, 국보 제108호, 공주박물관 소장... 165

〈사진 120〉 公州 儀堂 금동보살입상 높이 25cm, 7세기 백제, 국보 제247호... 166

〈사진 121〉 영월출토 금동여래 입상 높이 29.7cm, 7세기 중엽... 166

〈사진 122〉 금동불좌상, 크라스키노 절터 출토, 블라디보스톡 극동연구소박물관... 174

〈사진 123〉 금동보살입상, 크라스키노 절터 출토 문명대, 『원음과 적조미』, 예경, 2003, p.383. 174

〈사진 124〉 크라스키노 절터 출토 금동불수『金銅佛手』... 174

〈사진 125〉 크라스키노출토 渤海佛像 『러시아 연해주와 발해역사』... 174

〈사진 126〉 보리소프까 출토 渤海靑銅佛像 10.8 x 3.2cm, 『아무르·연해주의 신비』 도록,... 175

〈사진 127〉 1면 6비(一面六臂), 土京城 출토, 渤海鎭 발해문물전시관 소장, 『원음과 적조미』, 예경, 2003, p.383. 176

〈사진 128〉 금동보살입상, 上京城 출토 黑龍江省박물관 소장, 『원음과 적조미』, 예경, 2003, p.383. 176

〈사진 129〉 돈황 서천불동 18굴 남벽의 一面六臂 벽화 http://blog.daum.net.hyean 176

〈사진 130〉 上京城 第2號 宮殿佛像 출토 류金銅佛像, 通高6.6cm, 頭高 2.3cm... 176

초록보기

 China's Northeast Project that claiming its historical sovereignty over Goguryeo is causing problems, so much serious because it is led by the state, and its distorted ideology which stealing Korean history and making its own history for the benefit of its present and future has already crossed the line of studies.

Especially, China asserts the territory theory that all the histories happened in its territory are Chinese histories and attribution theory that nations which had no territorial relation with it obeyed it with the way of paying tributes which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for its claim that Goguryeo and Balhae are its histories.

Such view of the China is reflected on its history interpretation which put the Han race in the center of the history treating other races or local races as frontiers which is the dichotomous historical view.

Hereupon, in this thesis, the overcome of China's distorted historical view, the identity of Balhae and Inheritance of Koguryo were considered through statue of the Buddha and Buddhistic Remains from the Balhae.

In regard to Balhae Buddhism remains. relics, the historic sites which have been found out and the outcomes of discovery in the Maritime area where an active investigation is under way till now were arranged, and the Buddhist sculptures of distinctive constituents which are unseen in Ning'an, Zhongjing, Tongjing are kept excavated and so a continual study seems to be required.

In case of Buddhism remains, they were concentrated on the capital area of Ning'an, Zhongjing, Tongjing, the factor which show the Balhae buddhism was consisted of ruling circles in a way. The Cakravartin rite in the reign of king Moon, princess Junghyo's tomb top style, and relation of tombs and Buddhist temples indicates a close relationship with royal family. Such claim is valid from the results till now though I cannot say positively under the situation of the excavation results not so satisfactory in the area other than the capital area.

The Buddhist sculptures, the subject of this thesis showed a great deal of distinctive constituents of Goguryeo and Balhae. That is, clay figures made circular with soil followed well Goguryeo style, and the 'Saugwaneum Statue' which expressed as being lost in thought shows a specific element which is seen only in Balhae.

It's hard to grasp the painting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sculptures but the faith in Avalokitesvara is concentrated in Ning'an area, and the faith in the Lotus Sutra which representing two seated Buddha statues in Tongjing area, and such condition reveals the difference in the area which succeeded to Goguryeo Buddhism and the area not succeeded. Particularly, the Gwaneum with one face and six arms of esoteric Buddhism and a great many of small Bodhisattva statues among the Bodhisattva statues excavated in Ning'an, area can be considered as the data showing a prosperity of Gwaneum faith and esoteric elements.

In addition, in case of golden Bodhisattva statue and golden bronze Amitabha, the style of realism found in the temple site at Kraskino, Yeonhae Province, they haven't been excavated in any other areas and so, to put it mildly, they could be considered as showing the elements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Balhae and Silla contributing to the study of Balhae sculpture history as an essential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