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1
1. 연구동기 11
2. 연구방법 12
II. 동양화의 품격론 14
1. 품격론의 발생 14
2. 품격론의 발전 15
1) 사혁의 육법론 15
2) 이사진의 구품론 17
3) 장회관의 삼품론 18
4) 주경현의 사품론 19
5) 장언원의 오등론 21
6) 황휴복의 사격론 25
7) 기타 이론 26
III. 일격의 의미와 전개 29
1. 일의 의미 29
1) 황휴복의 일-자연에서 나온다 31
2) 두몽의 일 - 일정함이 없는 것 34
3) 예찬의 일 - 속기(俗氣)를 버리다. 34
4) 동기창의 일-천지조화를 연마하다 36
2. 일격의 전개 - 작품에서의 일격 36
1) 초연한 일격-예찬 37
2) 괴상한 일격-진홍수 38
3) 방일한 일격-석도 40
4) 서민적 일격-재백석 42
IV. 일격의 수용과 변용 44
1. 조선말기 화단의 품격과 일격 44
2. 운림산방의 품격과 일격의 확장 46
1) 소치(小癡) 허련(許鍊)- 졸박한 초탈 47
(1) 생애 47
(2) 작품세계 48
(3) 대표작품 분석 50
2) 미산(米山) 허형(許瀅)-담박한 초탈 52
(1) 생애 52
(2) 작품세계 53
(3) 대표작품분석 54
3) 의제(毅濟) 허백련(許百鍊)-단아한 초탈 56
(1) 생애 56
(2) 작품세계 59
(3) 대표작품 분석 62
4) 남농(南農) 허건(許楗)-호방한 초탈 64
(1) 생애(1908-1987) 64
(2) 작품세계 65
(3) 대표작품 분석 67
5) 임인(林人) 허림(許林)-생동의 초탈 69
(1) 생애 69
(2) 작품세계 69
(3) 대표작품 분석 72
V. 본인 작품 분석 -자유분방한 초탈 74
1. 내용 74
1) 본인 그림의 화맥 74
2) 본인의 산수관 79
2. 형식 79
1) 비움과 채움 79
(1) 상실하허식 1-3 81
(2) 상실하허실 1-4 86
(3) 허실복합식 1-4 92
2) 채묵(彩墨)의 중첩형식 99
(1) 원형의 중첩 100
(2) 역삼각형의 중첩 102
(3) 일렬식 중첩 1-6 104
(4) 분산식 중첩 1-5 112
3) 백묘(白描)의 활용형식 121
(1) 중앙집중식 1-4 122
(2) 기세하향식 1-4 130
(3) 기세상향식 1-5 137
VI. 결론 147
부록 149
부록1. 운림산방(雲林山房)관련 자료 149
부록2. 운림산방(雲林山房)가계도 156
부록3. 운림산방 화계도 157
부록4. 운림산방 대표작가 년보 158
참고문헌 169
Abstract 175
도판 1. 예찬 〈용슬재도容膝齋圖〉, 권측, 원나라, 종이에 수묵, 74.7×35.5cm, 대북고궁박물관소장 38
도판 2. 진홍수, 〈도연명도〉 명대 귀거래사도 부분 39
도판 3. 진홍수, 〈사녀도〉 미국 콜롬비아 박물관 40
도판 4. 석도, 〈산수〉, 화첩, 청나라, 종이에 채색, 24.O×28.Ocm, 미국 뉴욕 왕계천王季遷 소장. 41
도판 5. 제백석, 〈옥란밀봉玉蘭蜜蝶〉, 화첩, 중화민국, 종이에 채색 42
도판 6. 허련 〈수매도〉 109×71cm 1877년 48
도판 7. 허련 〈산수도〉 중년대 72.5×34cm 50
도판 8. 허련 〈원당선생 해천-입상〉 중년대 51×24cm 50
도판 9. 허련 〈일속산방도(日粟山方圖)〉, 조선 1853년 종이에 수묵 23.0×32.0cm 개인소장 51
도판 10. 허련 〈산수도(山水圖)〉, 조선 19세기 1853년 종이에 수묵 29.4×147.0cm 이헌서예관 소장 51
도판 11. 안견(安堅)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1447년 비단에 수북담채 38.6×106.2cm 일본천리대학교 도서관 소장 52
도판 12. 허형 〈죽석도〉(팔곡병중) 89×27.5cm 노년기 53
도판 13. 허형 〈노매도〉 110×44.5cm 1893년 53
도판 14. 허형 〈산수도〉, 종이에 수묵 33.5×107.0cm 54
도판 15. 허형 〈산수도〉, 종이에 수묵 33.5×107.0cm 55
도판 16. 허백련 〈설한만강〉 53.5×43cm 1941년 61
도판 17. 허백련 〈매화〉 130×90cm 성신년 62
도판 18. 허백련 〈금강산 (金剛山)〉 10곡 병풍 그림 중 부분도, 종이에 수묵담채 117.0×39.1cm(10) 개인소장 63
도판 19. 정선 〈금강전도(金剛全圖)〉, 1734년 종이에 수묵담채 130.7×394.1cm 호암미술관소장 국보217호 63
도판 20. 허건 〈고사심매〉 57.5×43.5cm 1940년 65
도판 21. 허건 〈가화방성〉 50×42cm 1946년 67
도판 22. 허건 〈유곡청애 幽谷淸靄〉, 1956년 종이에 수묵담채 108.0×55.5cm 남농문화재단 소장 68
도판 23. 허건 〈설경산수도 雪景山水圖〉, 1946년 종이에 수묵담채 30.5×127.0cm 윤영돈 소장 68
도판 24. 허림 〈빨래하는 여인들〉 41×29cm 1940년 70
도판 25. 허림 〈목동〉 58×41cm 1940년 70
도판 26. 허림 〈추림간치〉 61×50cm 1941년 71
도판 27. 허림 〈목포 만호동 소견〉 36.5×26.5cm 1940년 71
도판 28. 허림 〈농촌풍정(農村風情)〉 44×15cm 1940 72
도판 29. 허림 〈수봉추정(秀峰秋情)〉 54×62cm 1942 73
도판 30. 남농 허건 〈산사(山寺))〉 40.5×31.5cm 1985 75
도판 31. 남농 허건 〈이송도(二松圖)〉 35×38.5cm 1984 75
도판 32. 일초 이철주 〈매스컴시대〉 54×50cm 1983 76
도판 33. 일초 이철주 〈부두〉 104×104cm 1981 76
도판 34. 도촌 신영복 〈추경〉 42×43cm 2002 77
도판 35. 도촌 신영복 〈산수〉 53×45.5cm 2004 77
도판 36. 전정 박항환 〈산수〉 48×70cm 2000 78
도판 37. 전정 박항환 〈송학〉 167×140cm 2006 78
도판 38. 〈북한산의 봄〉 33×93cm 수묵담채 2007 80
도판 39. 〈북한산의 여름〉 33×69cm 수묵담채 2007 82
도판 40. 〈월정사〉 33×90cm 수묵담채 2008 84
도판 41. 〈천은사〉 127×33cm 수묵담채 2009 86
도판 42. 〈쌍계사〉 89×33cm 수묵담채 2009 87
도판 43. 〈천은사〉 140.5×33cm 수묵담채 2009 89
도판 44. 〈북한산〉 140.5×33cm 수묵담채 2009 90
도판 45. 〈법성포〉 90×33cm 수묵담채 2008 91
도판 46. 〈진도일우〉 89×33cm 수묵담채 2009 93
도판 47. 〈돌산소견〉 90×33cm 수묵담채 2008 95
도판 48. 〈향일암전경〉 90×33cm 수묵담채 2008 97
도판 49. 〈돌산일우〉 33×90cm 수묵담채 2008 99
도판 50. 〈용주사의 봄〉 33×90cm 수묵담채 2008 101
도판 51. 〈꽃잎 흩날리는 날〉 33×90cm 수묵담채 2008 103
도판 52. 〈봄날에〉 140.5×33cm 수묵담채 2009 105
도판 53. 〈염불사일우〉 90×33cm 수묵담채 2008 106
도판 54. 〈봄날에〉 140.5×33cm 수묵담채 2009 108
도판 55. 〈천은사〉 143×33cm 수묵담채 2009 109
도판 56. 〈천은사〉 143×33cm 수묵담채 2009 110
도판 57. 〈염불암〉 90×33cm 수묵담채 2008 111
도판 58. 〈모추〉 162×131cm 수묵담채 2009 113
도판 59. 〈침수림〉 162×131cm 수묵담채 2009 115
도판 60. 〈모추(暮秋)〉 162×132cm 수묵담채 2009 117
도판 61. 〈천은사〉 162×132cm 수묵담채 2009 119
도판 62. 〈소금강〉 33×90cm 수묵담채 2007 121
도판 63. 〈소금강〉 33×90cm 수묵담채 2007 123
도판 64. 〈우중의 운일암의 계곡〉 35×85cm 수묵담채 2007 125
도판 65. 〈울릉도 삼선암〉 33×45cm 수묵담채 2006 127
도판 66. 〈꽃바람 송광사〉 366×145cm 수묵담채 2008 129
도판 67. 〈천은사〉 140.5×33cm 수묵담채 2009 131
도판 68. 〈천은사〉 143×33cm 수묵담채 2009 132
도판 69. 〈운일암 계곡〉 90×33cm 수묵담채 2007 133
도판 70. 〈계곡〉 143×33cm 수묵담채 2009 135
도판 71. 〈도봉산〉 90×33cm 수묵담채 2007 136
도판 72. 〈도봉산〉 90×33cm 수묵담채 2007 138
도판 73. 〈도봉산 금강암〉 90×33cm 수묵담채 2007 140
도판 74. 〈쌍계사〉 89×33cm 수묵담채 2009 142
도판 75. 〈쌍계사〉 89×33cm 수묵담채 2009 144
도판 76. 운림산방 전경 149
도판 77. 운림산방 149
도판 78. 소치 허련 생가 150
도판 79. 소치 허련 기념관 150
도판 80. 소치 허련 영정 150
도판 81. 광주 춘설헌의 의제 허백련 동상 151
도판 82. 의제 허백련과 25시의 작가 콘스탄틴 비르질 게오르규(Constantin Virgil Gheorghiu,) 151
도판 83. 남농기념관 전경 152
도판 84. 남농기념관 베란다에서 남농 허건 1986 152
도판 85. 남농허건의 대한민국 문화훈장(은관) 수상 축하연 1982년 153
도판 86. 남농 허건 예술원 원로회원 기념촬영 1983년 제자들과 함께 153
도판 87. 남농기념관 개관식 기념 촬영 가족과 함께 1985년 154
도판 88. 운림산방 복원 준공식 1982년 154
도판 89. 법륭사에서 (좌에서 두 번째 남농, 끝이 임인) 155
도판 90. 우 임인과 화우 취봉 155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