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내용 13
3. 연구의 제한점 14
II. 이론적 배경 15
1. 영재 교육 프로그램 15
2. 현행 우리나라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19
3. 선행연구 21
III.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23
1. 주제 중심 통합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성격 23
2. 주제 중심 통합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방향 24
3. 주제 중심 통합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주제 24
4. 주제 중심 통합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전개 26
5. 학습 목표 27
6. 주제 중심 통합 영재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28
1차시. 물질대사 - 광합성 과정(1) 28
2차시. 물질대사 -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2) 35
3차시. 물질대사 - 호흡 과정 42
4차시. 물질대사 - 효소의 작용 50
5차시. 감각기관 - 시각(1) 58
6차시. 감각기관 - 시각(2) 62
7차시. 자극의 전달 - 신경계 67
8차시. 기관계 관찰 - 흰 쥐 해부 76
9차시. 호르몬과 항상성유지-호르몬(1) 88
10차시. 호르몬 분비이상과 생식주기-호르몬(2) 97
IV. 결론 및 제언 105
1. 결론 및 논의 105
2. 제언 107
참고문헌 108
ABSTRACT 113
21세기의 지식 집약적 정보 사회에서 영재 교육은 개인이 가진 능력을 최대한 계발하여 자아를 실현하고, 국가의 발전에 원동력이 되는 인적 자원을 발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 프로그램과 현행 영재프로그램의 유형을 살펴보고 선행 연구에서 바탕이 된 원칙에 입각하여 일선 학교 영재학급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만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영재교육의 대상이 극소수에서 다수의 잠재적 영재들로 그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학교에서 실시되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일반 학교 교육 프로그램과는 폭과 갚이 및 조직 방식 등에서 질적으로 차별화되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중학교 2학년 영재들에게 주제별 연관성 있는 내용을 통합적으로 제시하여, 교과서에서 경험할 수 없는 새로운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도전감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과학영역에서 '생물' 영역에 대해 내용 습득 모델(Content Mastery Model)의 속진학습과 과정-산출 연구 모델(Process - Product Research Model)로서 심화교육 3단계의 심화학습을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생물영재에게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탐구과제에 대해 의문을 갖고 문제 해결력을 높이고자 자료를 개발하였다. 앞으로는 개발한 자료를 적용해보고 타당도 있는 평가를 거쳐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고, 미비한 점을 수정·보완한다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가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다양한 영재관련 기관 및 교육활동에서 적용했을 때, 학생 개개인의 창의력, 문제 해결력,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및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적 사고의 산출이 증진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계속 진행되기를 기대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