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1
1.2. 연구의의 및 필요성 13
1.3. 연구대상 및 방법 15
제2장 지역성 건축 및 지역주의건축이론발전 17
2.1. 지역성 건축 17
2.2. 지역주의건축이론발전 18
2.2.1. 지역주의가 생성된 배경 18
2.2.2. 지역주의기원 및 발전 19
2.3. 지역성 건축의 영향요소 23
2.3.1. 환경요소 23
2.3.2. 문화요소 24
2.3.3. 기술요소 24
2.4. 국외 지역성건축 25
2.4.1. 알바알토 25
2.4.2. 찰스 꼬레아 26
2.4.3. 루이스 바라간 28
2.4.4. 켄양 (Ken Yamg) 29
2.5. 소결 31
제3장 문헌고찰 32
3.1. 연변 조선족의 이주역사 32
3.1.1. 개척민의 월경이주 32
3.1.2. 1910년대 및 1920년대 이주 32
3.1.3. 일제의 만주침략과 조선족의 이주 33
3.2. 연변조선족자치주 지역특성 34
3.2.1. 지리적환경 35
3.2.2. 기후환경 35
3.2.3. 전통사상 36
3.3. 연구의 동향 36
3.3.1. 마을에 관한 연구 37
3.3.2. 민가에 관한 연구 37
3.3.3. 아파트에 관한 연구 38
3.4. 소결 38
제4장 전통민가 39
4.1. 한국의 전통민가 39
4.1.1. 화성 박희석 가옥(경기도 화성군 서신면 궁평리 84-1) 39
4.1.2. 안성 오춘환 가옥 (경기도 안성군 양성면 덕봉리 246) 40
4.1.3. 속초 김근수 가옥(강원도 속초시 도문동 1504) 41
4.2. 연변의 전통민가 42
4.2.1. 사회변혁에 따른 변화 42
4.2.2. 한족문화 접변에 의한 변화 47
4.2.3. 기후에 의한 변화 49
4.2.4. 지형에 의한 변화 50
4.3. 비교분석 51
4.3.1. 배치 51
4.3.2. 평면 51
4.3.3. 마당 52
4.3.4. 석축 53
4.3.5. 마루 54
4.4. 소결 57
제5장 집합주택설계계획 58
5.1. 설계의 배경 및 방향 58
5.2. 대지 선정 및 현황분석 58
5.3. 설계개념 61
5.4. 기본계획 64
5.5. 설계도 68
5.6. 조감도 79
참고문헌 80
국문초록 82
Abstract 84
그림 1-1. 연변노동자문화궁 13
그림 1-2. 원 문화극장 13
그림 1-3. 연변대학 의학원 13
그림 1-4. 연길호텔 13
그림 1-5. 교통은행 14
그림 1-6. 명주쇼핑 14
그림 1-7. 옛 연변주 호텔 14
그림 1-8. 리모델링후 연변주 호텔 14
그림 1-9. 연변대학 정문 14
그림 1-10. 아리랑호텔 14
그림 2-1. 빨간 집의 투시도 20
그림 2-2. 빨간 집의 평면도 20
그림 2-3. 구엘공원 21
그림 2-4. 까사밀라 21
그림 2-5. 셰워녜찰로 타운센터 입구 25
그림 2-6. 셰웨네찰로 타운센터 중정 25
그림 2-7. 인도과학 연구소 배치도 27
그림 2-8. 화강암 블록 27
그림 2-9. 화강암 문 27
그림 2-10. 숲속으로 통하는 길 27
그림 2-11. 파레크 하우스 단면도 28
그림 2-11. Gilardi House의 정원 28
그림 2-12. Gilardi House의 폭포 28
그림 2-13. EDITT TOWER 29
그림 2-14. 광장빌딩 30
그림 2-15. 켄양의 저택 30
그림 2-16. Pingiran 아파트 31
그림 4-1. 박희석 가옥 평면도 40
그림 4-2. 오춘환 가옥 평면도 41
그림 4-3. 속초 김근수 가옥 평면도 42
그림 4-4. 지신향 김성칠댁 43
그림 4-5. 신동촌 리만송댁 44
그림 4-6. 송화촌 박성민댁 45
그림 4-7. 수장 공간의 확장 47
그림 4-8. 정주간 47
그림 4-9. 띠캉1 (한족온돌) 48
그림 4-10. 띠캉2 48
그림 4-11. 평면도 (한족) 48
그림 4-12. 입면도(한족) 48
그림 4-13. 처마 49
그림 4-14. 변경전 50
그림 4-15. 변경후 50
그림 4-16. 툇마루가 있는 집 50
그림 4-17. 툇마루가 없는 집 50
그림 4-18. 평면도(조선족) 52
그림 4-19. 입면도(조선족) 52
그림 4-20. 정주간 52
그림 4-21. 마당 1 53
그림 4-22. 마당 2 53
그림 4-23. 안도현 석축이 있는 집 53
그림 4-24. 석축이 없는 집 53
그림 4-25. 석축을 높게 쌓은 집 53
그림 4-26. 대청마루(한국) 54
그림 4-27. 전면이 마루인 집 54
그림 4-28. 툇마루가 있는 집 54
그림 4-29. 경사진 땅에 집 앉히기 55
그림 4-30. 평평한 땅에 집 앉히기 55
그림 5-1. 대지도 59
그림 5-2. 프로그램분석 60
그림 5-3. 현재도로 61
그림 5-4. 계획도로 61
그림 5-5. 매스 앉히기 62
그림 5-6. 필로티 62
그림 5-7. 중정1 62
그림 5-8. 중정2 63
그림 5-9. 중정3 63
그림 5-10. 썬큰광장 63
그림 5-11. 주택과 녹지분포도1 64
그림 5-12. 주택과 녹지분포도2 64
그림 5-13. 매스와 동선 64
그림 5-14. 마당 64
그림 5-15. 계단실과 내부보행도로 65
그림 5-16. 계단 65
그림 5-17. 썬큰광장 65
그림 5-18. 각 실관계도 66
그림 5-19. 평면도1 66
그림 5-20. 평면도2 66
그림 5-21. 천창 66
그림 5-22. 주차장과 자전거거치장 67
그림 5-23. 주차장 67
그림 5-24. 옥상 67
한 도시의 특색문제는 20세기부터 도시의 현대화와 함께 출현하였는데 세계화의 발전, 도시화의 가속, 도시의 자체 건설의 맹목성과 무질서 때문에 도시의 특색은 혼란을 초래하게 되었다. 도시건설의 모방과 "복제"현상의 증가는 전국 범위의 도시 면모의 동일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세계화의 현상은 점점 가속해지고, 주거건축도 점차 고유하고 있던 지역특색을 잃어버리고 있다.
단지 부호를 사용하여 건축의 지역성을 진정으로 유지할 수 없다. 사회와 시대의 발전과 기술의 진보로 공간을 영조하는 수단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생활방식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이는 우리가 새로운 관점으로 건축의 지역성을 이해하고 현대화 지역성건축의 창조의 길을 탐색해야 함을 요구한다.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는 조선족이 제일 많이 밀집되어 사는 지역으로써 이 지역의 건축은 그 땅에 어울림과 동시에 생활방식에 맞는 설계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민가는 사회의 저변을 이루고 있던 기층민들의 생활양식을 반영해 주는 주거 형태이므로 그 당시의 주문화적 계보를 잘 반영하고 있는데 특히 그 지역의 자연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조선족의 전통민가를 분석하여 그 지역의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한반도의 전통민가와 비교분석하여 중국에서의 변형, 발전과정을 살피고 그 과정에서도 중국에서 오래 동안 유지되고 있는 특징을 살펴본다. 그 특징에 근거하여 조선족의 생활양상에 맞는 집합주택을 설계하려고 한다.
주거문화의 어제와 오늘을 연결하지 않고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주택의 됨됨이를 설명할 수 없고, 역사적인 연속성의 축을 벗어나서 주거문화의 변용 과정이 지닌 구조적인 문제를 이야기할 수 없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