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2

I. 서론 1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3. 연구의 제한점 19

4. 용어의 정의 19

1. 인터랙티브(Interactive) 19

2.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 19

3. 디지털 아트(Digital Art) 19

4. 인터페이스(Interface) 20

5. 센서(sensor) 20

6. 주체자(主體者) 20

II. 인터랙티브 아트의 개념 및 전개 21

1.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의 개념 21

1) 인터랙티브의 개념 21

2) 인터랙티브의 특성 및 활용 23

3) 인터랙티브 아트의 개념 25

2. 인터랙티브 아트로의 전개 28

1) 키네틱 아트(Kinetic Art) 29

2) 비디오 아트(Video Art) 32

3) VR퍼포먼스(Virtual Reality Performance) 36

4) 네트워크 아트(Network Art) 37

5)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 41

III. 시각·촉각·청각적 감각의 특성 및 미술적 접근 50

1. 시각(視覺)적 감각의 특성 및 미술적 접근 53

1) 시각적 감각의 특성 53

2) 시각적 감각의 미술적 접근 55

2. 촉각(觸覺)적 감각의 특성 및 미술적 접근 66

1) 촉각적 감각의 특성 66

2) 촉각적 감각의 미술적 접근 68

3. 청각(聽覺)적 감각의 특성 및 미술적 접근 76

1) 청각적 감각의 특성 76

2) 청각적 감각의 미술적 접근 78

4. 전통미술과 디지털 아트의 비교 84

IV. 시각·촉각·청각적 감각체험을 통한 인터랙티브 아트의 특성 89

1. 감각체험을 통한 원활한 상호소통 90

1) 시각·촉각·청각적 감각의 상호소통 90

2) 관객·작품·작가의 상호소통 100

3) 시·공간을 초월한 상호소통 110

2. 감각체험을 통한 내재적 재구성 118

1) 감각체험을 통한 타인과의 관계 형성 119

2) 감각체험을 통한 정서의 함양 125

3. 감각체험을 통한 인터랙티브 아트의 의의 133

V. 결론 및 제언 138

참고문헌 142

ABSTRACT 147

〈표 1〉 전통미술과 디지털 아트의 비교, 디지털 아트 전시관 공간구성 계획 85

〈그림 1〉 리처드 뷔캐넌(Richard Buchanan), 2005, 한국 실내 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4권 3호 통권 제50호 22

〈그림 2〉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자전거 바퀴, 1913, 뉴욕현대미술관 30

〈그림 3〉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 회전유리판, 1920,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예일대학 미술관 소장 31

〈그림 4〉 헤우스 라파엘 소토(Jesus Rafael Soto), 파고들다, 1988, 480x440x300 31

〈그림 5〉 파브리치오 플레시(Fabrizio Plessi), 액체성 시간II, 1993, 비디오조각, 백남준 비디오 광시곡 34

〈그림 6〉 백남준, 탑(tower), 2001, 백남준 비디오 광시곡 35

〈그림 7〉 백남준, 참여TV, 1963, (cnhpark.egloos.com Egloos Log-in) 35

〈그림 8〉 야신 셉티(Yacine Sebti), 점프, 인터랙티브 비디오 영상, 2005, 전환과 확장 43

〈그림 9〉 에두아르두 칵(Eduardo Kac), 우이라푸루(Uirapuru), 1999, 멀티미디어 설치작품, 예술과 뉴테크놀로지 44

〈그림 10〉 에두아르두 칵(Eduardo Kac), 우이라푸루(Uirapuru), 1999, 멀티미디어 설치작품, 예술과 뉴테크놀로지 45

〈그림 11〉 후안 팸핀(Juan Pampin), 강은수, 조엘 S 콜린(Joel S Collin), Entanglement, 2008 47

〈그림 12〉 후안 팸핀(Juan Pampin), 강은수, 조엘 S 콜린(Joel S Collin), Entanglement, 2008 47

〈그림 13〉 최승준, 반딧불의 숲, 인터랙티브 설치, 2007, 新오감도 48

〈그림 14〉 마사치오(Masaccio), 성 삼위일체, 1427-1428, 프레스코 (fresco), 667X317cm, 산타 마리아 노벨라교회, 피렌체 56

〈그림 15〉 http://blog.naver.com 56

〈그림 16〉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 최후의 만찬, 1493-1497, 벽화, 템페라, 460X880cm, 밀라노 산타마리아 델레 그라치 수도원 식당 57

〈그림 17〉 디에고 벨라스케스(Diego Velazquez), 시녀들(Las Meninas), 1656, 캔버스에 유채, 318X276cm, 마드리드 프라도 박물관 58

〈그림 18〉 안견,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1447, 비단에 담채, 38.6X106.2cm, 조선, 일본 천리대도서관 59

〈그림 19〉 책가도, 조선19세기, 종이에 채색, 시즈오카시립 세리자와케이스케미술관 소장 60

〈그림 20〉 피카소(Picasso), 게르니카(Guernica), 1937. 벽화, 유채, 349X775cm, 에스파냐 소피아 왕비 미술센터 61

〈그림 21〉 조르주 피에르 쇠라(Georges Pierre Seurat),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1884-1886, 캔버스에 유채, 207.5x308cm, 시카고 미술원 61

〈그림 22〉 자코모 발라(Gacomo Balla), 끈에 묶인 개의 움직임, 1912, 캔버스에 유채, 89.9X109.9cm, 뉴욕 올브라이트녹스 박물관 62

〈그림 23〉 게오르그 바젤리츠(Georg Baselits), 연단위의 레닌(A. M. 게라시모프), 1999, 캔버스에 유채, 250x200cm, 62

〈그림 24〉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 기억의 고집, 1931, 캔버스에 유채, 24.1X33cm, 뉴욕 현대미술관 63

〈그림 25〉척클로스(Charles Close), 마크, 1978-79, 캔버스에 아크릴릭, 20.3x27cm 63

〈그림 26〉 김창렬, 물방울, 2005 64

〈그림 27〉 박을복, 작품B, 1962, 자수, 37X89cm, 박을복 자수 박물관 64

〈그림 28〉 조엘 피터 비트킨(Joel Peter Witkin), 키스(kiss), 1962, 작가 개인 소장 65

〈그림 29〉 보르프스키 조나단(Jonathan Borofsky), 망치질하는 남자, 70m, 광화문 흥국생명 빌딩 앞 65

〈그림 30〉 빅토르 바자렐리(Victor Vasarely), 직녀성, 1969, 실크스크린, 160x160cm, 저작권 협회, 뉴욕 66

〈그림 31〉 오귀스트 로댕 (Francois Auguste Rene Rodin), 신의 손, 1898년경, 대리석, 높이 92.9cm, 파리 로댕 박물관 68

〈그림 32〉 이영학, 1990, 치옥석 16x16x35cm, 이영학-한국문화예술위원회 69

〈그림 33〉 엄태정, 기(氣) 75 - 4, 1970, 구리 120x50x51cm, 엄태정-한국문화예술위원회 70

〈그림 34〉 듀안 핸슨(Duane Hanson), 슈퍼마켓 부인, 1969, 혼합매체, 70×70×166㎝ 70

〈그림 35〉 오펜하임(Oppenheim), 털로 된 아침식사, 1936, 오브제 71

〈그림 36〉 클래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 부드러운 타자기(soft typewriter), 1963, 섬유 72

〈그림 37〉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 모노그램, 1955-1956, 근대미술관, 스톡홀름 73

〈그림 38〉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별이 빛나는 밤, 1889, 캔버스에 유화, 73.7x92.1, 뉴헤이븐 예일대학 미술관 73

〈그림 39〉 장 포트리에(Jean Fautrier), 인질의 머리, 1943, 종이에 유채, 35.5x26.6 74

〈그림 40〉 박수근, 농악, 1962, 캔버스에 유채, 45.5X53cm 74

〈그림 41〉 권영우, 무제, 1996, 패널에 오브제와 한지, 169x223cm 75

〈그림 42〉 김병종, 모로코 기행, 2008, 한지, 닥판, 먹과 채색, 97x165cm 75

〈그림 43〉 길버트와 조지(Gilbertand George), 노래하는 조각(The Singing Sculpture), 1969, 퍼포먼스(행위예술) 78

〈그림 44〉 울리히 엘러(Ulrich eller), 달팽이의 노래, 1992, 79

〈그림 45〉 보르프스키 조나단(Jonathan Borofsky), 노래하는 사람(Singing Man), 1994, 국립 현대미술관 앞 79

〈그림 46〉 이이남, 8쪽 병풍, 2007, 혼합매체 80

〈그림 47〉 FM3(짱 지엔Zang Jian, 크리스티안 바이런트 ChristiaanVirant), 뮤직 콘서트, 2006, 인터랙티브 사운드 설치 81

〈그림 48〉 최승준, 소리없는 아우성, 인터랙티브 설치, 2007 82

〈그림 49〉 헬가 그리피스(Helga Griffiths), 미시기후, 인터랙티브 설치, 2008, 전환과 확장 83

〈그림 50〉 김병호, 300개의 조용한 꽃가루, 인터랙티브 설치, 2009, 新오감도 84

〈그림 51〉 층웨이-하오(TSENG Wei-hao), 소리의 맥동,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장치, 2008, 감각의 지형, 작가소유 90

〈그림 52〉 층웨이-하오(TSENG Wei-hao), 소리의 맥동,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장치, 2008, 감각의 지형, 작가소유 91

〈그림 53〉 마츠오 타카히로(Matsuo Takahiro), 환상, 인터랙티브 설치, 2007, 전환과 확장 92

〈그림 54〉 크리스타 좀머러(Christa Sommerer), 로랑 미노뉴(Laurent Mignonneau), 생명을 쓰는 타자기, 인터랙티브 설치, 2006,... 93

〈그림 55〉 크리스타 좀머러(Christa Sommerer), 로랑 미노뉴(Laurent Mignonneau), 생명을 쓰는 타자기, 인터랙티브 설치, 2006,... 93

〈그림 56〉 정동암, 정문열, 앤디의 꿈, 게임 아트, 2004, 디지털 호모 루덴스 94

〈그림 57〉 에리코 마츠무라(Eriko Matsumura), 후 - 포이, 인터랙티브 미디어 설치, 2006, 두 개의 현실 95

〈그림 58〉 베아트 브로 겔(Beat Brigel), 필립 짐머만(Philippe Zimmermann), 한 단어 영화, 웹아트, 2004, 디지털 호모 루덴스 97

〈그림 59〉 베아트 브로 겔(Beat Brigel), 필립 짐머만(Philippe Zimmermann), 한 단어 영화, 웹아트, 2004, 디지털 호모 루덴스 98

〈그림 60〉 Yuan Gang-Ming(위안광밍), 불면증의 이유, 미디어아트 디지털의 유혹 98

〈그림 61〉 Yuan Gang-Ming(위안광밍), 불면증의 이유, 미디어아트 디지털의 유혹 99

〈그림 62〉 우따 쿠언(Wu Dar-kuan), 미루·타이 페이, 상호작용 장치, 가변설치, 작가소유, 2008, 감각의 지형 101

〈그림 63〉 마크리(Mark Lee), 브레이킹 더 뉴스: 뉴스쟈키 되기(Breaking The News·be a News Jockey), 인터넷 기반 인터랙티브 설치, 2008, 전환과 확장 102

〈그림 64〉 탄 텍 웽(Tan Teck Weng), 원형감옥, 인터랙티브 미디어 설치, 2002, 디지털 호모 루덴스 103

〈그림 65〉 아키오 카미사토(Akio Kamisato), 사토시 시바타(Satoshi Shibata), 타케히사 마시모(Takehisa Mashimo), 무늬 Moony, 인터랙티... 105

〈그림 66〉 스용(Shi Yong), 오직 멀리서만 볼 수 있는, 복합매체 인터랙티브 설치, 2006, 두 개의 현실 106

〈그림 67〉 스용(Shi Yong), 오직 멀리서만 볼 수 있는, 복합매체 인터랙티브 설치, 2006, 두 개의 현실 107

〈그림 68〉 크리스타 조머러(Christa Sommerer), 로랄 미뇨노(LaurentMignonneau), A - 볼브, 1994, 쌍방향 설치작품, 예술과 뉴테크놀로지 108

〈그림 69〉 크리스타 조머러(Christa Sommerer), 로랄 미뇨노(LaurentMignonneau), A - 볼브, 1994, 쌍방향 설치작품, 예술과 뉴테크놀로지 109

〈그림 70〉 스테판 어네거(Stephen Honegger), 안토니 헌트(Anthony Hunt), 버주얼-디지털(Virsual-The Digital) 흔들 목마, 인터랙티브 미디어 설치, 2003, 디... 111

〈그림 71〉 엘리자베스 밴더 잭(Elizabeth Vander Zaag), 우리처럼 말해봐요, 인터랙티브 설치, 1999-2000, 디지털 호모 루덴스 113

〈그림 72〉 박지수, 돌아다니는 마음-지금 이곳에/언제나 어디서나, 모바일 미디어 인터랙티브 설치, 2006, 두 개의 현실, 한국정보 통신대학교 디지털미디어연구소 114

〈그림 73〉 박지수, 돌아다니는 마음-지금 이곳에/언제나 어디서나, 모바일 미디어 인터랙티브 설치, 2006, 두 개의 현실, 한국정보 통신대학교 디지털미디어연구소 115

〈그림 74〉 Jeffrey. Shaw(제프리 쇼), The Legible City(읽을 수 있는 도시), 1989 116

〈그림 75〉 Jeffrey. Shaw(제프리 쇼), The Legible City(읽을 수 있는 도시), 1989 117

〈그림 76〉 전가영, 악보극장, 인터랙티브 사운드 설치, 2009, 新오감도 119

〈그림 77〉 스캇스니브(Scott Snibbe), 힘껏 불어봐, 인터랙티브 설치, 2005, 두 개의 현실 121

〈그림 78〉 스캇스니브(Scott Snibbe), 힘껏 불어봐, 인터랙티브 설치, 2005, 두 개의 현실 121

〈그림 79〉 양민하, 마이클의 놀이 친구들, 인터랙티브 설치, 2009, 新오감도 122

〈그림 80〉 양민하, 마이클의 놀이 친구들, 인터랙티브 설치, 2009, 新오감도 123

〈그림 81〉 ITRI Creativity Lab(ITRI 크리에이 티비티 랩), 기의 흐름(行氣), 인터랙티브 설치, 2007, 전환과 확장 124

〈그림 82〉 ITRI Creativity Lab(ITRI 크리에이티비티 랩), 기의 흐름(行氣), 인터랙티브 설치, 2007, 전환과 확장 124

〈그림 83〉 마이클 모리스(Michael Morris), 요시코 사토(Yoshiko Sato), 라이트 샤워II, 인터랙티브 설치, 2008, 전환과 확장 125

〈그림 84〉 서효정, 테이블 위의 백설공주, 인터랙티브 설치, 2008, 전환과 확장 126

〈그림 85〉 서효정, 테이블 위의 백설공주, 인터랙티브 설치, 2008, 전환과 확장 127

〈그림 86〉 스테판 배라스(Stephan Barras), 린다 데비(Linda & Robert Davy), 로버트 데비(Robert Davy), 케리 리첸스(Kerry Richens), 사랑스러운 카우치 지지, 인터랙티브 미디어... 128

〈그림 87〉 코헤이 아사노(Kohei Asano), 코스케 마츠우라(Kosuke Matsuura), 뜰, 인터랙티브 설치, 2005, 두 개의 현실 129

〈그림 88〉 코헤이 아사노(Kohei Asano), 코스케 마츠우라(Kosuke Matsuura), 뜰, 인터랙티브 설치, 2005, 두 개의 현실 130

〈그림 89〉 정영훈, 꽃들, 인터랙티브 설치, 2005-2007, 전환과 확장 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