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2. 연구문제 8

3. 용어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0

1. 애착발달과 유형 10

1) 애착 개념 10

2) 애착표상과 내적 실행 모델 11

3) 애착의 발달 12

2. 부모의 공동 양육 참여 13

3.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14

4.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아 16

1)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념 16

2) 유아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유형 17

Ⅲ. 연구 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검사도구 19

1) 애착 이야기 완성검사(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ASCT) 19

2) 한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KPDSS) 22

3)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질문지 23

3. 연구 절차 25

⑴ 유아-아버지 애착 측정 25

⑵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측정 25

⑶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측정 26

4. 자료분석 26

Ⅳ. 결과 및 해석 27

연구문제 1: 유아-아버지 애착유형은 어떠한가? 27

연구문제 2 : 유아-아버지 애착유형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정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7

1) 비난·공격에 상황에 접한 경우 29

2) 불안-좌절감 상황을 경험할 때 30

3) 자존감 상실 상황에 접한 경우 30

연구문제 3: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에 따라 각각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아가 사용하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 유형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31

1) 비난·공격에 상황에 접한 경우 31

2) 불안-좌절감 상황을 경험한 경우 33

3) 자존감 상실에 상황에 경우 34

Ⅴ. 요약 및 논의 35

1. 요약 35

2. 논의 37

참고 문헌 38

부록 41

〈부록 1〉 애착이야기 완성검사 41

〈부록 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46

〈부록 3〉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질문지 48

ABSTRACT 49

표목차

〈표 1〉 대상 유아의 성별 및 퍼센트 19

〈표 2〉 애착 이야기 완성검사 내용 20

〈표 3〉 애착유형 분류 기준 21

〈표 4〉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하위영역 및 문항 수 및 문항번호 22

〈표 5〉 유아-아버지 애착유형 유아 성의 분포 27

〈표 6〉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별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순위 28

〈표 7〉 비난·공격에 상황에서 유아-아버지 애착유형별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순위 29

〈표 8〉 불안-좌절감 상황 경험에서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별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순위 30

〈표 9〉 자존감 상실에 상황에서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별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순위 31

〈표 10〉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 및 비난·공격에 상황에 교차표 32

〈표 11〉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 및 불안-좌절감 상황 교차표 33

〈표 12〉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 및 자존감 상실에 상황 교차표 34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2) to investigate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ttern of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3) to investigate how to cope with situations of stress according to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The subject of this was 85 Kindergarten 5-year-old children(12 male, 11 female). the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was used to measure the pattern of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the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young children were asked to talk freely the coping which they used in each situation to measure young children's stress coping sty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Kruskal-Wallis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were classified as the secure attachment(43.5%), the insecure-avoidant attachment(39.1%), and the insecure-ambivalent attachment(17.4%).

Second,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ttern of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That was,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insecure-avoidant attachment were classified as insecure-ambivalent attachment were greater than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Third, when young children was accused or aggressed, stress-coping style were follows: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were primary classified as insecure-avoidant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insecure-ambival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When young children experienced anxiety-frustration, stress-coping style were follows: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insecure ambivalent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When self-esteem was hurted, stress-coping style were follows: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insecure ambivalent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in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