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유아-아버지 애착유형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 김국희 인기도
발행사항
완주군 :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0.2
청구기호
TM 362.7 -10-14
형태사항
4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2568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우석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및유아교육, 2010.2. 지도교수: 김경중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Ⅰ. 서론 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2. 연구문제 8

3. 용어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0

1. 애착발달과 유형 10

1) 애착 개념 10

2) 애착표상과 내적 실행 모델 11

3) 애착의 발달 12

2. 부모의 공동 양육 참여 13

3.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14

4.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아 16

1)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념 16

2) 유아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유형 17

Ⅲ. 연구 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검사도구 19

1) 애착 이야기 완성검사(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ASCT) 19

2) 한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KPDSS) 22

3)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질문지 23

3. 연구 절차 25

⑴ 유아-아버지 애착 측정 25

⑵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측정 25

⑶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측정 26

4. 자료분석 26

Ⅳ. 결과 및 해석 27

연구문제 1: 유아-아버지 애착유형은 어떠한가? 27

연구문제 2 : 유아-아버지 애착유형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정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7

1) 비난·공격에 상황에 접한 경우 29

2) 불안-좌절감 상황을 경험할 때 30

3) 자존감 상실 상황에 접한 경우 30

연구문제 3: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에 따라 각각의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아가 사용하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 유형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31

1) 비난·공격에 상황에 접한 경우 31

2) 불안-좌절감 상황을 경험한 경우 33

3) 자존감 상실에 상황에 경우 34

Ⅴ. 요약 및 논의 35

1. 요약 35

2. 논의 37

참고 문헌 38

부록 41

〈부록 1〉 애착이야기 완성검사 41

〈부록 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46

〈부록 3〉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질문지 48

ABSTRACT 49

〈표 1〉 대상 유아의 성별 및 퍼센트 19

〈표 2〉 애착 이야기 완성검사 내용 20

〈표 3〉 애착유형 분류 기준 21

〈표 4〉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의 하위영역 및 문항 수 및 문항번호 22

〈표 5〉 유아-아버지 애착유형 유아 성의 분포 27

〈표 6〉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별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순위 28

〈표 7〉 비난·공격에 상황에서 유아-아버지 애착유형별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순위 29

〈표 8〉 불안-좌절감 상황 경험에서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별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순위 30

〈표 9〉 자존감 상실에 상황에서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별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순위 31

〈표 10〉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 및 비난·공격에 상황에 교차표 32

〈표 11〉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 및 불안-좌절감 상황 교차표 33

〈표 12〉 유아-아버지 애착 유형 및 자존감 상실에 상황 교차표 34

초록보기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2) to investigate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ttern of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3) to investigate how to cope with situations of stress according to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The subject of this was 85 Kindergarten 5-year-old children(12 male, 11 female). the measuring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Attachment Story Completion Task was used to measure the pattern of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the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young children were asked to talk freely the coping which they used in each situation to measure young children's stress coping sty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Kruskal-Wallis 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were classified as the secure attachment(43.5%), the insecure-avoidant attachment(39.1%), and the insecure-ambivalent attachment(17.4%).

Second, the level of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pattern of young children-father attachment.

That was,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insecure-avoidant attachment were classified as insecure-ambivalent attachment were greater than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Third, when young children was accused or aggressed, stress-coping style were follows: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were primary classified as insecure-avoidant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insecure-ambival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When young children experienced anxiety-frustration, stress-coping style were follows: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insecure ambivalent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When self-esteem was hurted, stress-coping style were follows: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secure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secondary coping in order. Young children classified as insecure ambivalent attachment were primary coping. relinquished coping in order.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