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요약

목차

I.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2. 연구문제 9

3. 연구의 제한점 9

II. 이론적 배경 10

1. 초기 문식력(Early Literacy) 발달 10

1) 초기 문식력이란? 10

2) 초기 문식력의 목표 10

3) 초기 문식력 단계의 효과적인 교수법 10

2. 영어 읽기의 이해 12

1) 읽기 관련 용어의 정의 12

2) 읽기의 과정 13

3) 영어 읽기의 지도 단계 14

3.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 16

4. 질적 연구 18

1) 질적 연구란? 18

2) 질적 연구의 신뢰성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 18

5. 선행 연구 19

III. 연구 방법 및 내용 22

1. 연구 대상 22

1) 연구 참여자 22

2) 장소 및 시간 24

2. 연구 절차 24

1) 연구 절차 24

2) 예비연구 25

3. 자료 수집과 분석 26

1) 면담 26

2) 읽기 내용 이해도 기록 27

3) 어휘력 검사 목록(Examiner Word List) 27

4) 학생의 자기보고서 28

5) 교사의 관찰일지 및 연구일지 28

6) 기타 자료(Artifacts) 28

7) 자료의 분석 29

4. 연구 내용 30

1) 렉사일 도서 목록 기준(The Lexile Framework for Reading) 30

2) 읽어주기 활동에 사용한 도서 목록 및 수업 활동 31

IV. 연구 발견 및 논의 38

1. 연구 참여 학생 6명의 영어동화 읽기 38

1) 김정진: "파닉스를 제대로 배웠어요." 38

2) 방종민: "영어책을 혼자서도 읽어요." 40

3) 김은경: "활동이 많아서 책 읽어주는 거 정말 좋아요." 42

4) 이수란: "책 읽어주는 것에 관심이 가요" 43

5) 송민지: "조용히 혼자 책 읽어요." 44

6) 임현빈: "실감나게 영어책 읽어주는 게 좋아요." 45

2. 읽기 능력의 향상 46

1) 단어 읽기 47

2) 글의 내용 이해 58

3) 읽기 형태의 다양화 69

3. 교사 연구자의 성장 71

1) 수업 능력 71

2) 연구자의 신념(belief) 77

V. 결론 및 제언 84

참고문헌 88

Abstract 92

부록 94

〈부록 1〉 설문지 94

〈부록 2〉 읽어준 영어 동화책 목록 96

〈부록 3〉 읽기 내용 이해도 예시 98

〈부록 4〉 Examiner Word List(1차) 99

〈부록 5〉 Examiner Word List(2차) 100

표목차

표 1. 영어동화 읽어주기 수업 단계 16

표 2. 연구 참여 학생의 영어 읽기 경험 실태 23

표 3. 영어동화 읽어주기를 통한 학생과 교사의 변화 29

표 4. 읽어주기 도서 목록 및 주요 수업 활동 31

표 5. 수업 설계안 36

표 6. 민지의 어휘 검사 목록 49

표 7. 정진의 어휘 검사 목록 51

표 8. 은경의 어휘 검사 목록 53

표 9. 수란의 어휘 검사 목록 55

표 10. 현빈의 어휘 검사 목록 64

표 11. 종민의 어휘 검사 목록 66

초록보기

본 연구는 알파벳을 익힌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원어민 교사의 영어동화책 읽어주기를 처음 접하면서 읽기 능력의 향상이 일어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초등 영어 읽기지도에 대한 방안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영어 동화 읽어주기를 통한 수업으로 연구자인 교사의 변화도 포함함으로써 사례 연구인 동시에 실행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본 연구는 초등 4학년 6명의 학생들과 15주에 걸쳐 주 2회의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일주일에 두 번씩 같은 책을 2번 원어민 교사가 소리내어 읽어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첫째, 원어민 교사의 발음을 듣고 문자와 소리와의 관계를 알게 되었고 책 속에 반복되는 어휘와 문형을 통해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책의 내용을 역할놀이와 노래와 같은 읽기 후 활동을 통해 더 자세히 알고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단어를 많이 알지 못하는 학생이라도 교사의 안내된 읽기를 통해 책의 내용에 흥미를 느끼게 되면 혼자서도 영어 동화를 읽어볼 수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원어민 교사가 읽어주었던 책을 선택해 다시 읽어 보았다. 넷째, 연구 참여 학생들은 혼자 읽어주었던 책을 읽을 수 있어도 교사의 읽어주기를 여전히 선호하였다. 다섯째, 이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학생들을 더 잘 이해하게 되었고 영어 읽기 지도 방법에 대하여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본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들은 읽기에 어려움을 갖고 있는 우리와 같은 EFL상황의 학생들을 도울 수 있었고 교사의 책읽어주기는 학생들을 위한 실제적인 읽기 환경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줄 수 있었다. 학생들은 영어책 읽기를 통해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도 함께 배울 수 있었다. 따라서 정규교육과정의 영어수업에 책읽기 프로그램이 포함되기를 제안하고 책읽어주기와 관련하여 구체적이고 전문화된 교사연수가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가 초등영어 읽기 학습에 있어 언어적 장애와 문화적인 장애들을 해소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