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상황과 도전 10

A. 현재의 상황 10

1. 지역적 상황 10

2. 교회의 상황 13

B. 이상적 상황 16

C. 장애요소 18

D. 도전과 질문 20

II. 이론적 근거 22

A. 교회의 본질과 사명 22

1. 교회의 본질 22

2. 교회의 사명 24

B. 성경적 근거 25

1. 성경적인 자아상의 기준 26

2. 죄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 28

3. 성경속의 자아개념 30

C. 신학적 근거 34

1. 하나님의 형상의 정의 34

2. 하나님의 형상의 상실문제 44

3. 하나님의 형상 회복 45

D. 심리학적 근거(인문주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50

1. 인문주의 심리학의 자아상 이해 51

2. 인문주의 심리학의 자아상 이해 비판 55

E. 자아개념 이론 57

1. 자아개념의 정의 58

2. 긍정적인 자아개념 62

3. 부정적인 자아개념 63

F. 필자의 경험 79

III. 이론적 틀 81

A. 이론적 틀 81

B. 신학적 요청 82

IV. 변화이론 84

A. 전공변화이론 84

1. 인지치료와 집단상담 84

2. 합리, 정서, 행동치료(REBT) 집단상담 87

3. 기독교 상담과 인지치료 93

B. 구조변화이론 100

1. 해빙단계 101

2. 변화단계 102

3. 재결빙단계 103

V. 타개책 104

A. 비전 만들기 104

1. 비전 제시 104

2. 설교 106

3. 세미나 108

B. 위원회 구성과 훈련 109

1. 위원회 구성 110

C. 계획과 실천 111

1. 비전공유를 위한 설교 111

2. 리더교육 111

3. 자아상 전설문지 배포(10월 11일 주일), 회수(10월 18일) 112

4. 세미나 실시 112

D. 규범화 113

1. 사랑의 관계사역위원회 사역과 규범 113

2. 그룹리더 114

3. 총무 114

4. 서기 및 회개 115

5. 찬양팀 115

VI. 평가 116

A. 평가 116

1. 필자의 평가 116

2. 참가자의 평가 121

VII. 논문의 특성 및 배운 점 124

A. 논문의 특성 124

B. 배운 점 124

참고도서 126

부록 131

〈부록 1〉 설문지 및 해답 131

〈부록 2〉 건강한 자아개념 강의 교재 133

ABSTRACT 161

초록보기

본 논문은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성도들이 심리적, 관계적인 이유 등 여러 가지 이유들로 저마다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치료하여, 본래의 하나님 형상으로 회복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회의 이상적인 상황은 모든 성도들이 기존의 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나.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탈피하여 객관적이고 성경적인 자아인식을 갖게 함으로 건강하고 행복하게 되는 것 뿐 아니라, 하나님과 이웃과 자연과의 관계회복과 사명을 완수하는데 있다. 그런 의미에서 자아개념에 대한 인지치료는 성도들 자신을 소중하게 취급할 것이며, 모든 사람들과의 관계 뿐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더 나아가 대 자연의 청지기로서의 관리적 책임을 다하도록 하는 동기부여를 해주고 있다.

교회 개척 초기에 다양한 친교의 장을 마련했어도 쉽사리 교제권에 들어오지 못한 성도들을 보게 되었다. 이들은 대개 심한 열등감에 사로잡혀 있거나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가진 성도들이었다. 이러한 부정적인 자아개념의 소유자들은 움츠러드는 특징으로 인해 교제권에서 점점 멀어지게 되었다.

위와 같은 상황에서 건강한 자아개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필자는 성도들의 건강한 자아개념을 확립함으로 교회 활성화의 길을 마련하고자 이 논문을 쓰게 되었다.

이런 장애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필자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위한 인지치료의 중요성을 교회에 인식시켰으며 실제적인 자아상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시도를 하였다. 긍정적인 자아상 세미나를 통해 성도들의 왜곡된 자아상을 교정해주므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로 인해 성도들간의 관계에 괄목할만한 변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논문을 통해서 필자는 건강한 자아개념이 건강한 교회 공동체의 기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건강한 교회의 시작은 성도 개개인의 긍정적인 자아상의 회복으로부터 시작된다. 이것은 앞으로 필자의 목회 사역 뿐 아니라 한국교회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