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를 중심으로 / 방성애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8
청구기호
TM 350 -10-479
형태사항
vii, 119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5260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의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2010.8. 지도교수: 박영강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2

제2장 주민참여예산제의 이론적 배경 14

제1절 주민참여예산제의 의의와 필요성 14

1. 주민참여예산제의 의의 14

2. 주민참여예산제의 필요성 15

3. 주민참여예산제의 활성화 과제 18

제2절 주민참여예산제에 관한 선행연구 20

1. 연구의 경향 20

2. 선행연구의 주요내용 21

3. 주민참여예산제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27

제3장 우리나라 주민참여예산제의 도입과 운영실태 29

제1절 광주광역시 북구 사례 29

1. 도입과정 29

2. 제도 및 운영실태 30

3. 장애요인과 극복과정 40

제2절 울산광역시 동구 사례 43

1. 도입과정 43

2. 제도 및 운영실태 44

3. 장애요인과 극복과정 56

제3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사례와 특징 58

1. 도입과정 58

2. 제도 및 운영실태 59

3. 해운대구 사례의 특징 73

제4장 주민참여예산제에 관한 조사 분석 79

제1절 조사설계 79

1. 측정변수 및 측정지표 80

2. 표본의 특성 82

제2절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 85

1. 성과적 측면 85

2. 제도적 측면 89

3. 참여자 측면 94

4. 운영적 측면 98

5. 환경적 측면 105

제5장 주민참여예산제의 개선방안 110

제1절 설문조사결과의 시사점 110

1. 설문조사결과의 요약 110

2. 시사점 113

제2절 주민참여예산제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 114

1. 제도적 측면 114

2. 운영적 측면 116

제6장 결론 119

참고문헌 121

〈부록〉: 설문지 124

ABSTRACT 129

〈표 II-1〉 지방재정운영에 대한 국민의 참여와 통제 장치 16

〈표 II-2〉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28

〈표 III-1〉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참여예산제의 제도화과정 31

〈표 III-2〉 광주광역시 북구 예산편성과정 예산달력 32

〈표 III-3〉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참여예산연구회 구성 36

〈표 III-4〉 주민참여예산제의 작동과 구성원의 활동사항(2006년) 37

〈표 III-5〉 주민참여예산연구회 활동사항 38

〈표 III-6〉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의견 접수결과 39

〈표 III-7〉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의견 수렴결과 40

〈표 III-8〉 광주광역시 북구 장애요인과 극복과정 41

〈표 III-9〉 울산광역시 동구의 주민참여예산제 추진사항 45

〈표 III-10〉 2005년도 동구의 참여예산 시민위원회 참여단계 47

〈표 III-11〉 울산광역시 동구 예산참여시민위원회 분과위원회 구성 51

〈표 III-12〉 울산광역시 동구 참여예산 연구회 활동 사항 53

〈표 III-13〉 울산광역시 동구의 주민참여 현황(2005년) 54

〈표 III-14〉 울산광역시 동구의 반영사업 처리결과(2006년) 55

〈표 III-15〉 울산광역시 동구의 연도별 주민제안 건수와 반영 현황 55

〈표 III-16〉 울산광역시 동구 주민참여예산협의회의 의견수렴 추이 56

〈표 III-17〉 주민참여예산제의 공약채택 여부에 대한 답변 결과 58

〈표 III-18〉 해운대구의 조례제정 이전단계(2006년) 60

〈표 III-19〉 해운대구의 조례제정이후 추진현황(2007년) 60

〈표 III-20〉 조례제정 단계 이후 추진현황 2008년 61

〈표 III-21〉 조례제정 단계 이후 추진현황 2009년 62

〈표 III-22〉 해운대구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의 흐름도 64

〈표 III-23〉 해운대구 예산참여주민위원구성 방식 65

〈표 III-24〉 해운대구 분과별 위원회 구성(2009년 말 기준) 66

〈표 III-25〉 해운대구 주민참여예산제의 참여기구 67

〈표 III-26〉 해운대구 주민참여예산제의 운영일정(2009년) 67

〈표 III-27〉 해운대구의 회계별 예산규모 69

〈표 III-28〉 해운대구의 분과위원회별 예산요구안(2010년) 70

〈표 III-29〉 해운대구의 주요 재정지표 71

〈표 III-30〉 2009년도 지역회의 건의사항 검토결과 72

〈표 III-31〉 2010년 주민참여 위원회 분과별 예산요구 72

〈표 III-32〉 주민참여예산의 제도화 현황 73

〈표 III-33〉 수준 높은 "운영조례“제정 지방자치단체 현황 75

〈표 III-34〉 해운대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결과 75

〈표 IV-1〉 측정지표 82

〈표 IV-2〉 응답자의 소속 83

〈표 IV-3〉 응답자의 성별 84

〈표 IV-4〉 응답자의 연령 84

〈표 IV-5〉 응답자의 거주지 85

〈표 IV-6〉 예산과정의 투명성 효과 86

〈표 IV-7〉 구정참여도 효과 87

〈표 IV-8〉 주민의견 반영정도 88

〈표 IV-9〉 예산절감 효과 89

〈표 IV-10〉 예산참여위원의 수 90

〈표 IV-11〉 위원의 임기 91

〈표 IV-12〉 예산참여 주민위원의 실비 92

〈표 IV-13〉 예산안 검토대상범위 93

〈표 IV-14〉 예산안 검토 기간 94

〈표 IV-15〉 주민위원들의 예산검토에 대한 관심정도 95

〈표 IV-16〉 주민위원들의 예산지식 정도 96

〈표 IV-17〉 주민위원들의 교육 참여도 97

〈표 IV-18〉 주민위원들의 검토조정 참여도 98

〈표 IV-19〉 주민위원의 모집 및 추천절차 99

〈표 IV-20〉 구청장의 예산권 합리화 정도 100

〈표 IV-21〉 공무원들의 긍정적 인식정도 101

〈표 IV-22〉 언론매체에 대한 홍보 정도 102

〈표 IV-23〉 참여자의 예산교육 필요성 103

〈표 IV-24〉 예산교육의 효율성 104

〈표 IV-25〉 위원구성의 활성화 필요성 105

〈표 IV-26〉 구의회의 심의권 침해 가능성 106

〈표 IV-27〉 구의원의 협조정도 107

〈표 IV-28〉 시민단체의 협조 정도 108

〈표 IV-29〉 지역언론의 관심도 109

〈표 V-1〉 설문조사결과의 요약 111

〈그림 III-1〉 광주광역시 북구의 운영시스템 34

〈그림 III-2〉 울산광역시 동구 예산 편성과정 예산 달력 47

〈그림 III-3〉 울산광역시 동구의 운영체계도 49

〈그림 III-4〉 해운대구 주민참여예산제의 편성과정 63

〈그림 III-5〉 2010년도 해운대구 세출예산현황 68

〈그림 III-6〉 2010년도 해운대구 주민참여 예산규모 69

초록보기 더보기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s aimed to realize financial democracy in preparation process of budget by reflecting public opinion. Local autonomy in Korea restarted in 1991, but citizen participation on local government budget is stressed after 2000. This is caused by increasing power of civic groups that demand residents’ participation about budget. It is in 2003 that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s introduc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n Haeundae-Gu, office mayor of Haeundae-Gu suggested the system in 2006 local election as an electoral commitment and it is being operated from 200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operating conditions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n Haeundae-Gu and suggest an alternative for improvement. For the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to citizens, local assembly men and government officials who agree with the system. At the same time, we analyzed case study of the two local governments including Buk-Gu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hich already introduced and conducte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f two local governments, there are several main factors to conduct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successfully. First, mayor of local government needs to have strong will to adopt the system. Seco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official and local assembly is required. And lastly, it is important to give periodic educations which can enhance knowledge about budget for the citizens.

Meanwhile, a survey done by members of Haeundae-Gu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figured out some problems. First, the result of the current system comes out different according to respondent and local assembly men and civic group members underestimate the outcome of the system than public officials. Second, institutionalization level of the system in Haeundae-Gu is generally insufficient. Third, the civic groups participating in the system have little knowledge about the budget, and it is turned out that operating education for citizens about the budget is not enough. Finally, recommendation process of resident committee who participating in the system and opening budget information to the public need to be improved.

For improving the problems of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n Haeundae-Gu, we suggest some alternatives. Firstly, resident committee is required to receive help from outside expert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budget to vitalize the system. Secondly, it is better for the resident committee members to give periodic and systematic education like running budget school than give a one-time seminar or workshop. Thirdly, it is important to publish and distribute booklets which can help people understand about budget and disclose information through a ward office web-site for residents. Lastly, building a periodic and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local assembly, government official and citizen is neede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