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일제강점기 재조선 일본인 학교와 학교조합 연구 / 조미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8
청구기호
TD 951 -10-120
형태사항
ix, 293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069397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국사, 2010.8. 지도교수: 임경석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1

제1장. 서론 14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14

2. 기존 연구의 검토 18

3. 논문 구성과 자료 23

제2장. 식민지 일본인 교육기반 형성과 학교조합(1909~1921년) 27

제1절. 일본인 교육기반 형성을 위한 제도 정비 27

1. 1909년 〈소학교규칙〉 제정 29

2. 재외지정학교와 조선총독부중학교 제도 정비 37

3. 1912년 일본인 학제 기반 확립과 1913년 이후 교육제도 정비 46

제2절. 일본인 학교 설립 양상과 설립자 64

1. 연도별 설립 양상 64

2. 지역적 설립 양상 75

3. 학교 설립자 91

제3절. 학교조합 제도 정비와 운영 101

1. 1909년 〈학교조합령〉 제정과 1914년의 개정 101

2. 학교조합 조직과 재정 129

3. 학교조합 설립 양상 163

제3장. 이른바 '조·일 공학제도' 실시와 학교조합(1922~1945년) 170

제1절. 일본 교육제도 중심의 조·일 공학제도 실시와 그 실체 170

1. 제2차 조선교육령과 제1단계 조·일 공학제도 실시 174

2. 제3차 조선교육령과 제2단계 조·일 공학제도 실시 193

제2절 일본인 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 설립 양상 201

1. 연도별 설립 양상 201

2. 지역적 설립 양상 204

제3절 1931년 부(府)의 학교조합 폐지와 학교조합 지역적 분포 양상 207

1. 1931년 부의 학교조합 폐지와 제1부특별경제, 제1교육부회 설치 208

2. 학교조합 지역적 분포 양상: 1909~1945년 213

제4장. 식민지하 조선인과 재조선 일본인 학교 실태 비교 219

제1절. 인구 대비 취학자, 학급별 및 교사 1명 당 학생 수 비교와 공학의 실태 219

1. 인구 대비 취학자, 학급별 및 교사 1명 당 학생 수 비교 219

2. 공학의 실태 : 조선인 공립 보통학교와 일본인 공립 소학교 비교 238

제2절. 학교조합과 학교비의 비교 241

1. 학교조합과 학교비의 세입 예산과 학교 및 학생 수 비교 241

2. 학교조합과 학교비의 세입 주요 항목별 비교 250

제5장. 결론 262

참고문헌 272

부록 297

〈부록 1〉 통감부 설치 이전까지의 재조선 일본인 교육기관(설립 시기순) 297

〈부록 2〉 학교조합 설립 학교 :1909~1941년 299

〈부록 3〉 조선교육령 시행기별 학제 6 300

ABSTRACT 301

〈표 5〉 교육기관별 재외지정학교 상황 :1910∼1911년 39

〈표 6〉 재외지정 소학교 :1910년 3월 현재 41

〈표 7〉 조선총독부중학교부속임시소학교교원양성소 학생 입학 여비 :식민지 조선 내에서의 입학 여비 59

〈표 8〉 조선총독부중학교부속임시소학교교원양성소 학생 입학 여비:일본,대만, 사할린으로부터의 입학 여비 59

〈표 9〉 조선인과 일본인 교육기관 명칭 :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 61

〈표 10〉 재조선 일본인 학교 종류별 통계 :1906∼1908년 65

〈표 11〉 재조선 일본 인구,학교조합,학교 통계 :1909년~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 67

〈표 12〉 재조선 일본인 학교별 통계 :1909년~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 69

〈표 13〉 재조선 일본인 거류지별 인구 :1893년 말 현재 78

〈표 14〉 주요 거류지 일본 인구 추이 :1890~1910년 81

〈표 15〉 재조선 일본인 학교 도별 통계 :1910년 말 현재 82

〈표 16〉 재조선 일본인 학교급별 지역 통계 :1921년 말 현재 84

〈표 17〉 소학교,중학교,고등여학교의 관립,공립,사립 통계 :1910~1921년 94

〈표 18〉 소학교 설립자별 통계 :1907~1913년 94

〈표 19〉 1909년 증설된 학교조합 운영 학교 95

〈표 20〉 고등여학교 상황 :1921년 99

〈표 21〉 부에 설립된 학교조합 118

〈표 22〉 재조선 일본 인구와 학교조합원 연도별 통계 140

〈표 23〉 지정 조합원 수 500명 이상의 학교조합 :1910~1945년 143

〈표 24〉 경상북도 일본인 주요 거류지 일본 인구와 학교조합원 수 :1914년 144

〈표 25〉 조합원 수에 비례한 조합회의원의 수 145

〈표 26〉 학교조합 재정 관련 사항 중 ‘조합회 의결 및 조선총독 또는 도장관(도지사)허가’대상 153

〈표 27〉 학교조합에 대한 국유 임야 및 미간지 대부·양여 건 수 :1910~1945년 156

〈표 28〉 학교조합에 대한 미간지 대부 내용 157

〈표 29〉 학교조합에 대한 임야 조림 성공 양여 158

〈표 30〉 학교조합에 대한 임산물 매각 허가 내용 158

〈표 31〉 경성학교조합에 대한 임야 양여 내용 162

〈표 32〉 1909년 증설 학교조합 165

〈표 33〉 학교조합 연도별 통계 :1908~1945년 167

〈표 34〉 제3차 〈조선교육령〉과 조선인 학생의 학력 197

〈표 35〉 재조선 일본인 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 연도별 통계 :제2차 조선교육령시행~1942년 202

〈표 32〉 학교조합 지역별 통계 :1909∼1945년 '설립 허가'기준 214

〈표 37〉 학교조합이 설립된 부,군 통계 216

〈표 38〉 민족별 인구 구성 양상 :1908∼1942년 220

〈표 39〉 조선인,일본인 인구 대비 학생 수 및 학교 급별 인구 1만 명 당 학생 수:1912∼1942년 221

〈표 40〉 조선인 보통학교 및 일본인 소학교 취학률 :1912∼1942년 226

〈표 41〉 공립 보통학교 학교,학급,교사,학생 수 :1912∼1942년 233

〈표 42〉 공립 소학교 학교,학급,교사,학생 수 :1912∼1942년 234

〈표 43〉 공립 초등학교 조선인,재조선 일본인 교육 여건 :1921년,1931년,1941년 237

〈표 44〉 공립 보통학교 조선인,일본인,외국인 학생 수 및 비율 239

〈표 45〉 공립 소학교 조선인,일본인,외국인 학생 수 및 비율 239

〈표 46〉 학교조합과 학교비 세입 및 소속 학교,학생 수와 평균 예산 :1915~1940년 243

〈표 47〉 학교조합과 학교비 세입 항목별 비중 251

〈표 48〉 학교비와 학교조합의 부과금의 세종 254

〈표 49〉 공립 보통학교 학교비 세입과 세출 :1935년 256

〈표 50〉 학교조합 세입과 세출 :1935년 257

〈그림 1〉 재조선 일본인 학제 :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 48

〈그림 2〉 재조선 일본 인구, 학교조합, 학교 증가율 :1909년~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 67

〈그림 3〉 재조선 일본인 학교 및 학급 지역별 분포도 :1921년 84

〈그림 4〉 재조선 일본 인구와 학교조합원 수 연도별 추이 141

〈그림 5〉 재조선 일본인 학제 :제2차 조선교육령 시행기 181

〈그림 6〉 조선 학생 총수/조선 인구 비율,일본 학생 총수/일본 인구 비율 222

〈그림 7〉 조선 인구 및 일본 인구 1만 명 당 학생 수 :초등교육기관 222

〈그림 8〉 조선 인구 및 일본 인구 1만 명 당 학생 수 :중등교육기관 222

〈그림 9〉 조선 인구 및 일본 인구 1만 명 당 학생 수 :고등교육기관 223

〈그림 10〉 조선인 보통학교 및 일본인 소학교 취학률 226

〈그림 11〉 조선인 보통학교 남자 여자 취학률 227

〈그림 12〉 일본인 소학교 남자, 여자 취학률 227

〈그림 13〉 공립 보통학교와 공립 소학교의 1학급 당 학생 수 235

〈그림 14〉 공립 보통학교와 공립 소학교의 1교사 당 학생 수 235

〈그림 15〉 학교조합 학교 및 학교비의 보통학교, 국민학교 수 추이 :1915∼1940년 244

〈그림 16〉 학교조합 학교 및 학교비의 보통학교, 국민학교 학생 수 추이 :1915∼1940 245

〈그림 17〉 학교조합 및 학교비 세입 예산 규모 추이 :1915∼1940년 245

〈그림 18〉 학교조합 및 학교비 소속 학생 1명 당 평균 예산 추이 :1915∼1940년 245

참고문헌 (56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市町村立小學校敎育費問題精義 ,南光社,1933. 미소장
2 朝鮮敎育行政 ,帝國地方行政學會朝鮮本部,1940. 미소장
3 江原道敎育會, 江原道敎育要綱 ,1935. 미소장
4 京畿道, 京畿道道勢槪要 ,1936. 미소장
5 京畿道, 京畿道の敎育と宗敎 ,1932,1934,1938. 미소장
6 慶尙南道, 慶尙南道道勢槪覽 ,1941. 미소장
7 慶尙北道, 慶尙北道勢一般 ,1930. 미소장
8 慶尙北道, 歲入歲出豫算表 (읍면학교비,學校組合1939년),1939. 미소장
9 京城高等工業學校, 京城高等工業學校一覽 ,1931. 미소장
10 京城公立商業學校, 京城公立商業學校總攬 ,1936. 미소장
11 京城府, 京城府敎育槪況 ,1938. 미소장
12 京城府, 京城府史 1∼3권. 미소장
13 京城府, 京城府學士一覽 ,1924. 미소장
14 京城府, 京城學校組合,京城府學校費例規類集(後) . 미소장
15 京城府, 京城學校組合,京城府學校費例規類集-1924.8.현행 ,1923. 미소장
16 京城府, 例規類集;京城學校組合,京城府學校費 ,1930. 미소장
17 京城師範學校, 京城師範學校總攬 ,1929. 미소장
18 京城商工會議所, 京城府內經濟團體名簿,1944 ,1944.3. 미소장
19 京城女子高等普通學校附屬普通學校編, 學校經營の實況 ,1914. 미소장
20 京城地方法院檢事局, 사상에 관한 정보(내용 중 1932년도 뚝도學校組合의원선거실시에 관한 내용 복사) ,1932. 미소장
21 京城學校組合, 京城學校組合稅入出豫算書 1925년도. 미소장
22 朝鮮敎育史考 ,1927. 미소장
23 關東廳內務局學務課, 滿洲に於ける我邦の敎育施設 ,1925. 미소장
24 敎育史編纂會編, (明治以降)敎育制度發達史 제1권∼제13권,文部省,1938∼1939. 미소장
25 교육위원회 : "여야 합의정신 바탕 위에서 백년대계 실현" 소장
26 朝鮮の敎育 ,自由討究社,1923. 미소장
27 內務部 第2課, 學校組合一覽(1915년 8월 현재) . 미소장
28 內務部, 거류민단의 처분에 관한 調査諸表 ,1911.8. 미소장
29 (在鮮內地人朝鮮人)發育ニ關スル硏究 ,1936. 미소장
30 朝鮮敎育問題管見 ,朝鮮敎育會,1936. 미소장
31 (現行)法規大典 ,巖松堂書店,1917. 미소장
32 文部省,實業補習敎育硏究會, 移植民敎育 ,1929. 미소장
33 文部省, 日本敎育史 ,1925. 미소장
34 文部省敎學局, (1943.1.)日本諸學硏究報告 제18편(敎育學),內閣印刷局,1943. 미소장
35 文部省專門學務局, 高等諸學校一覽 ,明名堂,1926. 미소장
36 尾康瑯, (實際判例)市制町村制釋義 ,松陽堂(동경),1926. 미소장
37 釜山敎育會, 釜山敎育50年史 ,1927. 미소장
38 支那ㆍ滿洲ㆍ朝鮮案內亞東指要 ,東洋協會,1925. 미소장
39 邑面學校組合豫算決算審議の着眼點 ,實務硏究會,1938. 미소장
40 小學校敎育行政)法規精義 ,東洋圖書株式會社,1935. 미소장
41 朝鮮敎育制度史 ,朝鮮史學會,1923. 미소장
42 松井三郞, 平壤學校組合會議員選擧신문관계 ,1929.5. 미소장
43 「府學校組合及水利組合に就こ」, 朝鮮總督府地方行政講習會講演集 ,1921. 미소장
44 阿部辰之助, 現朝鮮之硏究 ,大陸調査會,1922. 미소장
45 安田保則, 조선교육에 안주하며 ,大阪屋號,1927. 미소장
46 一記者,「朝鮮敎育令の發布」, 會報-江原道儒道闡明會 1,江原道儒道闡明會, 1922.9. 미소장
47 日本總領事館, 慶尙道事情 ,在釜山日本領事館編,1904. 미소장
48 全羅南道, 道勢一般1939年 ,1939. 미소장
49 全羅南道, 昭和13年度全南の敎育と宗敎 ,1938. 미소장
50 全羅南道, 昭和15年度全南の敎育と宗敎 ,1940. 미소장
51 帝國自治第50年史刊行會, (朝鮮地方)自治讀本 ,日本,1937. 미소장
52 朝鮮敎育硏究會, 朝鮮敎育者必攜 ,1918. 미소장
53 朝鮮敎育會, 朝鮮敎育法規例規大典 ,1927. 미소장
54 朝鮮雜誌社, 朝鮮要覽(增補訂定最近) ,日韓書房장,1910. 미소장
55 朝鮮總督府內務部, 學校組合一覽 (1917년 4월 현재). 미소장
56 朝鮮總督府, 居留民團 ,1900. 미소장
57 朝鮮總督府, 敎育と宗敎要覽 . 미소장
58 朝鮮總督府, 施政25年史 ,朝鮮總督府,1935. 미소장
59 朝鮮總督府, 施政30年史 ,朝鮮總督府,1940. 미소장
60 朝鮮總督府, 實業敎育要覽 ,1912. 미소장
61 朝鮮總督府, 外國居留民之統計 ,1910. 미소장
62 朝鮮總督府, 朝鮮敎育要覽 ,1915. 미소장
63 朝鮮總督府, 朝鮮施政ノ方針及實績 ,1915. 미소장
64 朝鮮總督府, 朝鮮要覽 ,1914. 미소장
65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施政年報 . 미소장
66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統計要覽 ,1935. 미소장
67 朝鮮總督府, 朝鮮に於ける內地人 ,1924. 미소장
68 朝鮮總督府, 最近朝鮮事情要覽 . 미소장
69 朝鮮總督府, 學校組合一覽(1919년 4월 현재) ,1919. 미소장
70 朝鮮總督府京畿道, 1912年朝鮮總督府京畿道統計年報 ,1914. 미소장
71 朝鮮總督府內務局, 朝鮮地方財政要覽 . 미소장
72 朝鮮總督府內務局, 學校組合財政狀況要覽:1923年度 . 미소장
73 朝鮮總督府殖産局, 林業經營上模範となるへき事蹟槪要 ,1924. 미소장
74 朝鮮總督府財務局, 朝鮮地方財政趨勢組-地方費,府,面,學校費,學校組合豫算の部 ,1924.5. 미소장
75 朝鮮總督府學務局,「朝鮮諸學校一覽 . 미소장
76 朝鮮總督府學務局, 內地人の敎育現況 ,1920. 미소장
77 朝鮮總督府學務局, 私立學校關係法規 ,1915. 미소장
78 朝鮮總督府學務局, 朝鮮敎育令及學校規定綴 ,1939. 미소장
79 朝鮮總督府學務局, 朝鮮敎育法規 ,1937. 미소장
80 朝鮮總督府學務局, 朝鮮諸學校一見 ,1933. 미소장
81 朝鮮總督府學務局, 朝鮮に於ける敎育の槪況 ,1941. 미소장
82 朝鮮總督府學務局, 朝鮮に於ける教育革新の全貌 ,1938. 미소장
83 朝鮮總督府學務局閱, 朝鮮敎育年鑑 ,朝鮮敎育圖書出版部,1936. 미소장
84 朝鮮總督府學務局學務課, (朝鮮總督府學務局)學事參考資料 ,1937. 미소장
85 朝鮮總督府學務局學務課, 國民學校關係法令集 ,1942. 미소장
86 朝鮮總督府學務局학무과, 朝鮮學事例規 ,1932∼1938. 미소장
87 車田篤, 朝鮮地方自治制要義 ,朝鮮金融組合協會,1931. 미소장
88 朝鮮地方自治制精義 ,1933. 미소장
89 朝鮮行政法論 上,.下,朝鮮法制硏究會,1934. 미소장
90 拓務大臣官房文書課, 拓務要覽 ,1930~1941. 미소장
91 京城と內地人2 ,1910. 미소장
92 統監官房, 韓國施政年報 . 미소장
93 統監官房文書課, 第1次統監府統計年報 미소장
94 統監府內部地方局, 地方費法關係法令要錄 ,1909. 미소장
95 統監府學部, 韓國敎育 ,1909. 미소장
96 統監府, 在韓國本邦人學事槪況:明治四十三年四月調 ,1910. 미소장
97 統監府, 在韓諸國民に対する行政 ,1906. 미소장
98 統監府, 第1次~第3次統監府統計年報 ,1907~1910. 미소장
99 統監府, 韓國敎育 ,1906. 미소장
100 統監府地方部, 居留民團事情要覽 ,1909. 미소장
101 統監府總務部, 在韓本邦人狀況一覽表 ,1907. 미소장
102 統監府總務部內事課, 韓國事情要覽 ,1906. 미소장
103 國民學校法規解說 ,明治圖書株式會社(東京),1941 미소장
104 「學制改革と義務敎育の問題」, 今日の朝鮮問題講座 3,綠旗聯盟,1939. 미소장
105 植民地敎育 ,同文館藏版,1912. 미소장
106 朝鮮敎育論 ,六盟館,1919. 미소장
107 學務局, 朝鮮敎育令及學校規定綴 ,1939. 미소장
108 學部, 韓國敎育ノ現狀 . 미소장
109 學部學務局, 學事狀況報告第6會要錄 ,1910. 미소장
110 咸鏡南道, 咸鏡南道敎育一般 (1926년 6월조),1926. 미소장
111 「改正敎育令の實施まで」, 文敎の朝鮮 152,1938. 미소장
112 「朝鮮敎育の特質」, 文敎の朝鮮 10,1929. 미소장
113 「朝鮮敎育刷新の精神と其の實現方途」, 文敎の朝鮮 12,朝鮮敎育會,1939. 미소장
114 「敎育者の精神」, 文敎の朝鮮 119,朝鮮敎育會,1935. 미소장
115 「倂合前後の敎科書編纂に就て」, 朝鮮及滿洲 335,1935. 미소장
116 「朝鮮敎育令の改正に就て」, 文敎の朝鮮 45,朝鮮敎育會,1929. 미소장
117 「朝鮮敎育令の改正に就て」, 文敎の朝鮮 152,朝鮮敎育會,1938. 미소장
118 「過去二十年間に於ける朝鮮の敎育の發達」, 朝鮮及滿洲 ,1927. 미소장
119 「朝鮮敎育令改正」, 文敎の朝鮮 45,1929. 미소장
120 「新要旨の解釋(二)敎育令改正と國史科」, 文敎の朝鮮 117,1938. 미소장
121 朝鮮敎育新聞社, 朝鮮敎育新聞 1929∼1942. 미소장
122 朝鮮敎育硏究會, 朝鮮敎育硏究會雜誌 ,1913∼1919. 미소장
123 朝鮮敎育會,「改正敎育令陸軍特別志願兵令兩制度實施祝賀狀況(四月三日)」, 文敎の朝鮮 152,1938. 미소장
124 朝鮮敎育會, 文敎の朝鮮 ,1925∼1942. 미소장
125 朝鮮敎育會, 朝鮮敎育 1-3,1921-1923. 미소장
126 朝鮮思想通信社,「改正敎育令に依る學校規定」, 朝鮮通信 142,1938. 미소장
127 朝鮮思想通信社,「敎育令改正と朝鮮語問題」, 朝鮮通信 141,1938. 미소장
128 朝鮮思想通信社,「朝鮮改正敎育令と朝鮮語の取扱問題」, 朝鮮通信 142,1938. 미소장
129 朝鮮思想通信社,「朝鮮敎育令改正」, 朝鮮通信 134,1937. 미소장
130 朝鮮思想通信社,「朝鮮敎育令改正に關して」, 朝鮮思想通信 924,1929. 미소장
131 朝鮮初等敎育硏究會,「朝鮮敎育令改正ニ關スル·勅令·諭告·府令·總督訓示要旨」, 朝鮮の敎育硏究 115,1938. 미소장
132 朝鮮初等敎育硏究會, 朝鮮の敎育硏究 1호∼149호,1928∼1941. 미소장
133 朝鮮總督府, 「學校組合の管理に就て(三月十二日京畿道學校組合管理者會同席上に於けろ小原地方局長講演)」, 朝鮮總督府月報 ,1914. 미소장
134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개화기 재한일본인잡지자료집 :조선 1∼9 ,2004. 미소장
135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조선지실업-개화기 재한일본인 잡지자료집 전4권,국학자료원,2003. 미소장
136 渡部學,阿部洋共編, 日本植民地敎育政策史料集成(朝鮮篇) 53-62권,龍溪書舍,1990. 미소장
137 민족문제연구소, 일제하 전시체제기 정책사 자료총서 ,한국학술정보,2005. 미소장
138 戰時期)植民地統治資料 1-7,柏書房,1998. 미소장
139 조선총독부교육정책사자료집 ,2002. 미소장
140 한국교육사료집성 1-4,선인,1997. 미소장
141 조선총독부교과서총서 1-7.청운,2006. 미소장
142 京喜會, 仁旺ケ丘:京城中學校卒業五十周年記念誌 ,1982,356쪽. 미소장
143 식민지제국 일본의 문화통합-조선ㆍ대만ㆍ만주ㆍ중국 점령지에서의 식민지 교육 ,오성철 외 옮김,역사비평사,2008. 미소장
144 「식민지 교육사 연구의 과제와 전망」, 일본교육사연구 10,1991 미소장
145 식민지배기 조선 내 일본인학교 : 회고록을 통해 본 소·중학교 경험을 중심으로 소장
146 韓國 近代 敎員 現職敎育史 硏究,3 :1910年代 日本人 敎員의 現職敎育 1 소장
147 「개항기 부산의 대곡파동본원사별원에 대한 연구-교육활동을 중심으로」,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9. 미소장
148 「京城日出小學校について-在朝鮮‘內地人’學校事例硏究」, 硏究紀要 48,九州大大學院敎育學硏究科,2002. 미소장
149 「釜山第一商業學校について在朝鮮‘內地人’學校事例硏究」, 大學院敎育學硏究紀要 6,九州大大學院人間環境學硏究院敎育學部門,2003. 미소장
150 「釜山第一小學校について在朝鮮‘內地人’學校事例硏究」, 國際敎育文化硏究 4,九州大大學院,2004. 미소장
151 「龍山中學校について在朝鮮‘內地人’學校事例硏究」, 國際敎育文化硏究 3,2003. 미소장
152 「旧韓國におけゐ居留邦人の敎育」, 敎育學硏究紀要 ,九州大大學院人間環境學硏究院敎育學部門3,2000. 미소장
153 舊韓國,朝鮮の內地人敎育 ,九州大學出版會,2005. 미소장
154 旧韓國朝鮮の日本人敎員 ,九州大學出版會,2001. 미소장
155 旧韓國敎育と日本人 ,九州大學出版會,1999. 미소장
156 「釜山第六小学校について-在朝鮮「内地人」学校の事例研究-」, アジア教育史研究第13号,2004.7. 미소장
157 旧韓国〜植民地朝鮮における「内地人」教育の実証的研究 ,福岡,九州大学,2005. 미소장
158 구한말 교육과 일본인 ,온누리,2006. 미소장
159 京城師範学校「演習科」第1期生について, 九州大学大学院教育学研究紀要, 第52集,2007.3. 미소장
160 朝鮮植民地教育政策史の再検討:実務担当者の具体的言動を中心として ,2010.3. 미소장
161 식민지시대 조선교육의 개요와 일본인 교사의 역할에 대한 연구 서설 ,1998. 미소장
162 朝鮮人學校の日本人敎師 ,日本朝鮮硏究所,1996. 미소장
163 Study on the Facilities for Education and Religion of Japanese Concession in Busan 네이버 미소장
164 在朝日本人敎師:反植民地敎育運動の記錄 ,白石書店,1981. 미소장
165 「1930년대 한국에서 일본인 교사들의 초등역사교육 실천」, 일본학보 59,한국일본학회,2004. 미소장
166 「일제하 부산 지역 일본인의 초등교육」, 부산의 도시형성과 일본인들 ,2008,191〜230쪽(이 논문은 2006년 부경역사연구소의 지역과 역사... 미소장
167 일제하 부산지역 일본인사회의 교육,1 :일본인 학교 설립을 중심으로 소장
168 Anti-Imperialistic Education Labor Movement by a Japanese Teacher in Korea, Yonetarou Zyoukou 소장
169 「朝鮮に生きた日本人-わたしの‘京城中學’」, 季刊三千里 ,1980. 미소장
170 「‘皇民化’政策期の在朝鮮日本人:京城女子師範學校お中心に」, 國際關係學硏究 ,津田塾大學,1999. 미소장
171 「植民地下朝鮮龍谷高等女學校」, ヅェンダ-硏究 20,2000. 미소장
172 경성학당(京城學堂)에 관한 연구 소장
173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재조선 일본인에 대한 사회교육 실태 ,고려대학교대학원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2009. 미소장
174 「1920년대 일본인 자본가들에 대한 조선인 자본가들의 저항(2)-상업회의소를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연구 30,한국민족운동사학회,2002. 미소장
175 「1920년대 일본인 자본가들에 대한 조선인 자본가들의 저항」(2), 안중근과 한인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2002. 미소장
176 「1920년대 일본인 자본가들에 대한 조선인 자본가들의 저항-평양상업회의소를 중심으로」, 국사관논총 90,국사편찬위원회,2000. 미소장
177 「1920년대 부산학교조합의 구성과 성격」, 부산의 도시형성과 일본인들 ,선인,2008. 미소장
178 「근대 일본의 조선 침략과 대아시아주의 :우익 낭인의 행동과 사상을 중심으로」,역사비평사,2002. 미소장
179 「개항기 일상의 조선내지침투」,서울대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1987. 미소장
180 「在朝日本人と日淸戰爭」, 近代日本と植民地(膨脹する帝國の人流) ,岩波書店,1993. 미소장
181 「朝鮮の土となっ日本人-淺川巧の生涯),草風館,1998. 미소장
182 植民地朝鮮の日本人 ,岩波書店,2003. 미소장
183 群山開港史-群山開港と日本人 ,ふるかわ海事事務所,2004. 미소장
184 「개항 이후 1910년대 용두산신사와 용마산신사의 조성과 변화과정」, 부산의 도시형성과 일본인들 ,선인,2008. 미소장
185 organization and activity of the Japan young men's groups in Busa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소장
186 부산일본거류민단 재정 연구(1907-1914) 네이버 미소장
187 일제하 일본인의 기업 경영 네이버 미소장
188 「1910년대 전북지역 일본인 이주어촌의 존재형태와 구조」, 한일민족문제연구 8,한일민족문제학회,2005. 미소장
189 「일제하 서울에서의 식민권력의 지배전략과 도시공간의 정치학」,서울대 사회학과박사학위논문,2005. 미소장
190 Fishing Base Construction Plan and Japanese Migrant Fishing Village 소장
191 「일제시대 고등어 어업과 일본인 이주 어촌」, 역사민속학 ,한국역사민속학회,2005. 미소장
192 釜山租界考 : 特히 日本租界의 性格 및 土地所有關係를 中心으로 소장
193 인천 개항 초기의 시가지 형성 소장
194 開港後 釜山日本專管居留地 設定에 關한 硏究 : 釜山市形成에 미친 影響을 中心으로 소장
195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District in Central Seoul ;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Japanese colonial first half era : 1885-1929 소장
196 「일제시대의 재조선 일본인 화가 연구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작가를 중심으로」,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0. 미소장
197 在朝鮮 일본인 화가와 식민지 화단의 관계 고찰 소장
198 재인(在仁)거류민의 형성과 인천지역의 범죄 양상 소장
199 「植民地朝鮮における同化政策と在朝日本人-同民會事例として」, 朝鮮史硏究會論文集 41,2003. 미소장
200 개항지 인천의 일본인 발호 소장
201 조선의 흙이 된 일본인 ,도서출판 나름,1984. 미소장
202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들 ,역사비평사,2006. 미소장
203 「植民地下日本人漁業資本家の存在形態」, 朝鮮史硏究會論文集 24,1987. 미소장
204 「舊韓國と熊本縣人」, 筑波大學地域硏究 9,1991. 미소장
205 「近代日朝‘關係’下の在朝日本人-朝鮮實業協會の組織と活動を中心に」, 朝鮮史硏究會論文集 3월,1986. 미소장
206 「明治期日本人の朝鮮進出の社會經濟的背景-山口縣熊毛郡旧麻里府村の場合」, 土地制度史學 ,1983. 미소장
207 明治期朝鮮進出日本人について (世界資本主義とアジアの移民 : 一九世紀後半から二十世紀初頭) 네이버 미소장
208 植民地下 朝鮮 在留 日本人의 特徵 : 比較史的 視点에서 소장
209 「植民地下新義州在住日本人の異文化接觸」,戶上宗賢編著, 交錯國家ㆍ民族ㆍ宗敎 ,不二出版,2001. 미소장
210 「在外居留民の社會活動」, 近代日本と植民地 5,岩波書店,1993. 미소장
211 The Life Mode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212 「朝鮮進出日本人の營業ネットワ―ク-龜谷愛介商店を事例として」, 近代アジアの流通ネットワ―ク ,創文社,1999. 미소장
213 在朝日本人軌迹 , 歷史地理敎育 ,歷史敎育者協議,1987. 미소장
214 在朝日本人植民者の‘サクセススト―リ―’ , 歷史評論 625,2002. 미소장
215 在朝日本人の社會史 ,未來社,1989. 미소장
216 朝鮮植民者:ある明治人の生涯 ,동경,三省堂,1972. 미소장
217 韓國史와 日本人 ,백산출판사,1999. 미소장
218 「조선에서 일본 특별 거류지의 기원」, 명고옥대학문학부연구논저집 35 미소장
219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기에 나타난 조선상 소장
220 통감정치와 재한 일본인 소장
221 「1876-1904일본 관립병원의 설립과 활동에 관한 연구」, 역사와 현실 42,한국역사연구회,2001. 미소장
222 韓末·日帝 初 漢城衛生會의 活動과 植民 支配 소장
223 「한말ㆍ일제초기(1897-1915)목포일본인상업회의소 구성원과 의결 안건」, 한국 항일민족운동과 중국 ,국학자료원,2001. 미소장
224 The expansion of Japane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after the Russo-Japanese War 소장
225 서울의 일본인 거류지 형성 과정 : 1880년대~1903년을 중심으로 소장
226 「1914년 전후시기 부산 지역 유력 일본인」,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선인,2008. 미소장
227 부산지역 일본인 사회단체의 조직과 활동 : 1910년대를 중심으로 소장
228 「개항기 부산항을 중심으로 본 일본인의 상업활동」,부산대 교육대학원 역사교육과 석사학위논문,1985. 미소장
229 Articles / History : The Absentce Landlord System of Japanese Landfarming in Korea in 1910s 소장
230 「서울 거주 일본인 자치기구 연구」,가톨릭대 국사학 석사학위논문,2001. 미소장
231 「조선 종전의 기록 :전라북도의 전주와 군산을 중심으로」, 전라문화연구 ,전북향토문화연구회,1993. 미소장
232 「개항기초기,외무성의 거류지설치정책-부산거류지의 설치부터 인천개항까지」, 한국언어문화연구 1,九州대 한국언어문화연구회,2001. 미소장
233 「1920년대 경북지역 동양척식주식회사 및 일본인 농장경영」, 계명사학 13,계명사학회,2002. 미소장
234 일제강점기 포항의 일본인 이주와 상품유통 소장
235 일제시기 경상북도 경주군 서면수리조합과 일본인 농업경영 소장
236 한말 일본의 농업이민정책과 민족운동 : 경북지방을 중심으로 소장
237 「한말 일본의 이민침략정책과 한국인의 대응 ;경북지방을 중심으로」,계명대학교사학과 석사학위논문,1994. 미소장
238 개항기 일본인에 의한 도시지역의 부동산 침탈 소장
239 Articles : On the Process of the Inland Invasion and Trading , and the Illegal Settlement in Inland of the Japanese during the Open - port Period 네이버 미소장
240 Articles : Occupations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Open Port - especially their Prostitution and Usury 네이버 미소장
241 「개항기 한국거류 일본인의 행태와 일본정부의 거류민정책」, 향토서울 37,서울시사편찬위원회,197.9 미소장
242 開港期 漢城 外國人居留의 過程과 實態 소장
243 開港期의 漢城內 外國人居留 經緯 네이버 미소장
244 일제강점 초기 '식민도시' 대전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일본인의 활동을 중심으로 소장
245 「재일한국인,재한일본인에 관한 연구」,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동의대 일어일문학과,2005. 미소장
246 일제시기 부산부의 학교비와 학교조합의 재정 소장
247 「부산일본전관거류지의 형성과 변화에서 나타난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2. 미소장
248 일제의 새로운 식민지 지배방식과 재조일본인 및 '자치'세력의 대응,1919-22 : 3·1운동 직후 '자치'에 대한 논의 소장
249 Articles : A Study of Japanese Bureaucrats i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소장
250 「일제하 통영,거제 지역의 일본인 이주어촌 형성과 어업조합」, 일본학지 14,계명대학교 일본문화연구소,1990. 미소장
251 일제의 조선어업지배와 이주어촌 형성 ,보고사,2002. 미소장
252 「조선총독부하 일본인 관료임용과 인사이동 연구」, 한국행정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별쇄본 ,2004.6. 미소장
253 「일제시대 한반도에서의 일본인 거주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1925-1940」,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7,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1999. 미소장
254 「在朝日本人の參加した共産主義運動-1930年代における」, 조선사연구회논문집 ,1989. 미소장
255 「植民地日本人の精神構造:‘帝國意識’とは何か」, 思想 ,1989. 미소장
256 「1940년대 전반기 조선 거주 일본인 작가의 의식구조에 대한 연구」, 현대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2002. 미소장
257 日本人의 荒無地開拓權 要求에 대하여 : 1904年 長森名儀의 委任契約企圖를 中心으로 소장
258 activities of Japanese counselors in those days of Kabo Reform 네이버 미소장
259 「개항후 부산의 일본 조계 연구」,경성대 교육대학원 역사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1994. 미소장
260 Japanese agricultural people`s Korean Immigration in the early period of the 20th century 소장
261 Japanese agricultural people`s Korean Immigration in the early period of the 20th century 소장
262 「식민지 지배의 첨병,동양척식주식회사」, 내일을 여는 역사 34,2008. 미소장
263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集團農業移の民展開過程」, 朝鮮史硏究會論文集 33,1995. 미소장
264 The Process of the Land Accumulation of Japanese Owners and Kum-san Agricultural Union 네이버 미소장
265 후세 다츠지(布施辰治)의 한국인식 소장
266 近代朝鮮における植民地地主制と農民運動 ,東京:山信出版社,1996. 미소장
267 이규수, 호남 지역 일본인의 사회사-식민지 조선과 일본,일본인 ,다미디어,2007. 미소장
268 「한일합방 이전 일본인들의 조선진출 배경에 관한 연구 :나가사키현의 사례를 중심으로」,성균관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성균관대... 미소장
269 '朝鮮의 흙이 된 日本人'論 再考 : 아사카와 다쿠미(淺川巧)에 관하여 소장
270 한말 日本人 雇聘문제 연구;한말 외국인 고빙문제 연구 서설 소장
271 「한말 일본인 거류지의 설정과 그 역할」, 경북대논저집 사회편,1969. 미소장
272 Articles : Changes and Activities of Groups in Power in Kunsa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Penetration 소장
273 舊韓末 外國人 居留地內 狀況 네이버 미소장
274 舊韓末 外國人 居留地內의 組織體에 대하여 네이버 미소장
275 舊韓末 外國人居留地의 種別과 性格 소장
276 「일본 대한이민정책의 분석」, 3.1운동 50주년기념논집 ,동아일보사,1969. 미소장
277 合倂後 在韓 各國居留地 撤廢考 소장
278 「일제 침략기 서울의 민족별 거주지 분포」, 향토서울 52,1992. 미소장
279 開港場居留 日本人의 職業과 營業活動 : 1876年~1895年 釜山·元山·仁川을 中心으로 소장
280 1876년∼1895년 개항장 거류 일본인의 경제활동 :특히 직업과 영업활동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1988. 미소장
281 「1910년대 전후 부산ㆍ경남 조선인의 일제 협력」,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선인,2008. 미소장
282 統監府期 日本人 官吏 硏究 소장
283 해방 직후 일본인 잔류자들 : 식민지배의 연속과 단절 소장
284 大韓帝國 後期 日帝의 農業植民論과 移住植民政策 소장
285 일본의 이민정책과 조선인의 일본 이민 네이버 미소장
286 「매일신보에 비친 1910년대 재조 일본인」,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1910년대 ,수요역사연구회,2003. 미소장
287 일제하 綠旗聯盟의 활동 소장
288 「조선형평사의 경제적 활동」,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4년 미소장
289 일제 강점기 일본인 학교조합 설립 규모 소장
290 「인천개항 초기 일본인의 상업활동」(1883-1895),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과석사학위논문,1989. 미소장
291 「在朝日本人二世の朝鮮ㆍ朝鮮人に對する意識形成硏究-在釜山日本人」, アジア社會文化硏究 ,アジア社會文化硏究會,2003. 미소장
292 他國のふるさと-朝鮮に渡った日本人の子供たち ,創言社,1984. 미소장
293 개항기~1916년 부산 일본인상업회의소의 구성원 변화와 활동 소장
294 「한말 일본 동아동문회 조선 교육 진출」,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0. 미소장
295 「해방직후 재경일본인의 일본귀환에 대한 연구」, 전농사론 9,서울시립대학교,2003. 미소장
296 「1920,30년대 일제의 한국농업식민책과 일본인 자작농촌 건설사업-불이농촌 사례」,동방학지 82,연세대학교 국학연구소,1993. 미소장
297 19세기후반·20세기초 경남지역 일본인 지주의 형성과정과 투자사례 소장
298 일제시기 일본인 지주의 토지 확대와 소유 변동의 추이 : 전북 옥구군 서수면 사례 소장
299 日帝의 初期 韓國植民策과 日本人 `農業移民' 소장
300 「개항기 오쿠무라 엔신(奧村圓心)의 조선포교 활동과 이동인」,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선인,2008. 미소장
301 일제시기 부산지역 일본인사회의 생활사 : 경험과 기억의 사례연구 소장
302 시데하라(幣原坦) 植民地 朝鮮 經營論에 관한 연구 소장
303 시데하라(幣原坦)의 顧問活動과 한국사연구 소장
304 아오야기(靑柳綱太郞)의 來韓활동과 植民統治論 소장
305 Chosun Study Institute's Activities and Recognition of Chosu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소장
306 한말 일제하 샤쿠오(釋尾旭邦)의 내한활동과 조선인식 소장
307 近代植民地都市釜山 ,동경, 桜井書店,2007. 미소장
308 「개항기 일본 상업자본 침투에 따른 객주상인의 활동에 대한 일고찰;부산항 객주상인을 중심으로」,경성대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1995. 미소장
309 「개항기 조선상인과 일본상인 간의 자금거래와 곡물유통」,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선인,2008. 미소장
310 서울에 남겨둔 꿈 :19세기 말 일본인이 본 조선 ,건국대학교 출판부,1993. 미소장
311 일본 지식인과 한국 :한국관의 원형과 변형 ,오름,2000. 미소장
312 「개항후 일본인의 한국 침투」, 동아문화 1,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1963. 미소장
313 明治時代 韓國移住 日本人의 文學結社와 그 特性에 대한 調査硏究 소장
314 해방 시점에 있어서 조선의 일본인자산에 대한 분석 : 경상남도 지역의 귀속사업체를 중심으로 소장
315 「1910년 전후 서울에서 활동한 일본인 연극과 극장」, 일본학보 56-2,2003. 미소장
316 日帝下 在京 일본인의 朝鮮實業銀行 설립과 경영 소장
317 「일제하 평양지역 일본인의 은행설립 경영;삼화,평양,대동은행의 사례를 중심으로」,연세경제연구 제3권 2호,연세대 경제연구소,1996.9. 미소장
318 日帝下 平壤지역 일본인의 銀行설립과 경영 : 三和·平壤·大同銀行의 사례를 중심으로 소장
319 韓末·日帝초 在京 일본인의 銀行 설립과 경영 네이버 미소장
320 일제시기 재부산일본인사회 사회 단체 조사보고 ,선인,2005. 미소장
321 일제시기 재부산일본인사회 주요 인물 조사보고 ,선인,2006. 미소장
322 「서설 :부산 도시사 연구의 기초적 검토」, 부산의 도시 형성과 일본인들 ,선인,2008. 미소장
323 일제시기 '부제'의 실시와 지방제도 개정의 추이 : 부산부 일본인사회의 자치제 실시 논의를 중심으로 소장
324 한말 일본군의 의병 학살 소장
325 한말 호남지역 경제구조의 특질과 일본인의 토지침탈 네이버 미소장
326 일제시기 부산지역 일본인사회의 인구와 사회계층구조 소장
327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1920년대를 중심으로 ,한길사.1980. 미소장
328 한국을 장악하라;통감부의 조선침략사 ,아세아문화사,1995. 미소장
329 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 ,선인,2004. 미소장
330 植民地朝鮮の地方制度 ,東京大學出版會,2001. 미소장
331 근대도시 목포의 역사 공간 문화 ,서울대 출판부,2004. 미소장
332 일제시대 보통학교체제의 형성 ,서울대 박사학위논문,1996. 미소장
333 식민지제국 일본의 문화통합:조선,대만,만주,중국 점령지에서의 식민지교육 ,역사비평사,2008. 미소장
334 국립교육정책연구소, 교육연구논문색인 ,동경법령출판,2000. 미소장
335 日本近代敎育史:明治の國家と敎育 ,理想社,1959. 미소장
336 日本は朝鮮で何を敎えたか ,東京:あゆみ出版,1987. 미소장
337 조선교육령의 변천과 보통학교 체육 ,공주대학교,1997. 미소장
338 근대 동아시아와 일본제국주의 ,한밭출판사,1983. 미소장
339 한국근대교원교육사 :초등학교 교원양성교육사 ,정민사,1987. 미소장
340 일제하 조선재정사논고 ,일조각,1994. 미소장
341 일제하민중교육운동사 ,탐구당,1976. 미소장
342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조선지실업 1-4,2003. 미소장
343 朝鮮敎育史 ,講談社,1975. 미소장
344 「中國におけゐ日本人學校史考」, 日本植民地敎育史硏究 ,日本占領下の中國敎育に 關すゐ日本共同硏究企劃報告書,1998. 미소장
345 日本の朝鮮統治-‘一視同仁’の建前と實相- ,學術出版會,2006. 미소장
346 (新刊)日本敎育史 ,교육출판사,1992. 미소장
347 日本敎育通史 ,早稻田大學出版部,1960. 미소장
348 조선교육사 ,힌국문화사,1996. 미소장
349 20세기 한국 근현대사의 연구와 쟁점 ,국학자료원,2001. 미소장
350 일제 파시즘 지배정책과 민중생활 ,혜안,2004. 미소장
351 일제강점기의 교육평가 ,교육과학사,2003. 미소장
352 일본제국주의의 민족동화정책 분석 :조선과 만주,대만을 중심으로 ,제이앤씨,2005. 미소장
353 日本敎育制度史 ,學藝圖書,1984. 미소장
354 서울대학교, 교육사학연구 ,서울대학교교육사학회,1988. 미소장
355 세계교육사연구회편, 조선교육사 ,강담사,1975. 미소장
356 일제의 대륙침략사 ,고려원,1992. 미소장
357 「일제 식민지 교육정책의 성격」, 일제하 교육이념과 그 운동 ,한국정신문화연구소,1987. 미소장
358 한국교육사연구 ,문음사,1998 미소장
359 한국근대교육사 ,연세대학교 출판부,1971 미소장
360 수요역사연구회편,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 1910년대,2002. 미소장
361 역사학회, 러일전쟁 전후 일본의 한국침략 ,일조각,1986. 미소장
362 역사학회, 일본의 침략정책사 연구 ,일조각,1984. 미소장
363 연세대 국학연구원, 일제의 식민지배와 일상생활 ,혜안,2004. 미소장
364 식민지 초등 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2000. 미소장
365 한국신교육사 ,현대교육총서출판사,1964. 미소장
366 近代日本敎育史 ,刀江書院,1951. 미소장
367 근대한국초등교육연구 ,교육과학사,1998. 미소장
368 연구공간 수유+너머 동아시아 근대 세미나팀 옮김, 일본근대의 풍경 ,2004. 미소장
369 조선교육사 1,2,거름,1988.1991 미소장
370 한국 근대 학교교육 100년사 연구(2):일제시대의 학교교육 ,한국교육개발원,1997. 미소장
371 교육자치제와 그 운영 ,한국교육문화협회,1954. 미소장
372 일본식민지교육사연구회, 植民地敎育史認識を問う ,皓星社,1999. 미소장
373 일본식민지교육사연구회, 식민지교육시리즈 ,1998. 미소장
374 일본군의 조선침략사 1 ,일월서각,1988. 미소장
375 한국교육사 ,동문사,2003. 미소장
376 일제하 한국사회 구성체론 서설;일본학계의 성과를 중심으로 ,청아출판사,1986. 미소장
377 식민지 근대학교 교육체제의 성립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7회 학술토론회 자료집,2004. 미소장
378 日帝의 對韓國 植民地 敎育政策史 소장
379 교육 행정 재정사 ,한국교육사학회,2000. 미소장
380 미군정기 한국 교육사 자료집 상 1945-1948 ,예지각,1992. 미소장
381 한국초등교육의 기원 ,학지사,1996. 미소장
382 植民地敎育政策の硏究(1905-1911) ,龍溪書舍,2000. 미소장
383 일제의 한국식민통치 ,정음사,1985. 미소장
384 한국지방재정연구 ,서울대출판부,1984. 미소장
385 식민지 교육정책 비교연구;20세기 열강국을 중심으로 ,집문당,1989. 미소장
386 일제의 동화이데올로기 창출 ,서경문화사,1997. 미소장
387 일제 말기 식민지 지배정책연구 ,국학자료원,1997. 미소장
388 한국교육사학회,교육사학회, 동아시아 비교교육사 연구의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사학회,2006. 미소장
389 한국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근현대편 ,풀빛,1993. 미소장
39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식민통치연구1 ,백산서당,1999. 미소장
391 한마당편집부, 조선근대교육사 ,한마당,1989. 미소장
392 한국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교육과학사,2004. 미소장
393 敎育史 ,福村出版,1985. 미소장
394 일본의 대한 식민정책 소장
395 A Review of the Historical Study on the Educ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소장
396 A historical study on the enactment of the First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소장
397 日帝의 韓國에 대한 植民地敎育 實態硏究 : 1910년대를 중심으로 소장
398 식민지 조선의 지방제도와 초등학교교육 소장
399 「일본식민지 교육정책의 추이와 성격에 대한 고찰」,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미소장
400 「일제초기 식민통치의 전략과 내용-조선지배의 원리와 관련하여」, 일제식민통치연구1(1905-1919),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9. 미소장
401 「대동아공영권의 일환으로서의 조선에서 황민화운동에 대하여 ;교육자로서의 입장에 의한 체험을 말한다」, 일본제학연구보고 제18편,문부성... 미소장
402 「한국에서 교육사연구의 전개-근대로의 이행과 식민지교육」, 교육사상의 재구축,교육학연보 6,세직서방,1997. 미소장
403 「일제 통치기에서의 조선교육령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화 연구 日帝統治の朝鮮敎... 미소장
404 일제강점 전반기(1905-1928)의 교육론 소장
405 논문(論文) : 일제하(日帝下) 사립각종학교(私立各種學校)의 지정학교(指定學校) 승격(昇格)에 관한 일연구(一硏究) 네이버 미소장
406 「일제시대의 조선 교육과 정책에 관한 고찰」,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6. 미소장
407 「1910년대 일제 식민지통치의 기조」, 한국사연구 124,한국사연구회,2004. 미소장
408 동화정책론 소장
409 韓國 女性高等敎育機關의 變遷過程 硏究;1910年부터 1945年까지 소장
410 敎育勅令·敎育勅語 그리고 朝鮮敎育令의 敎育目的 네이버 미소장
411 日帝下 言語 敎育 과 學制 와의 政策的 關聯 構造 에 關한 硏究 ; 1911年代 朝鮮敎育令 ( 舊敎育令 ) 을 중심 으로 소장
412 朝鮮語科 始末과 日語敎育의 歷史的 背景 (Ⅳ) 소장
413 近代 네이버 미소장
414 地方自治團體의 組合;地方行政 소장
415 일제하 '滿洲國'의 移民 政策 硏究 試論 : 일본인 移民 「奬勵」·朝鮮人 移民 「統制」 정책 형성의 배경 소장
416 Immigration and Rule : A Study on the Japanese Residents in Busan, 1876-1910 네이버 미소장
417 일제강점기 지방세제 정리와 지방세목의 변화 소장
418 일본 敎育自治制의 歷史와 展望 소장
419 조선 체험 일본인의 동화주의 지배체제 비판론 네이버 미소장
420 「조선교육령을 통해 본 일제 식민지교육정책」,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2005. 미소장
421 日帝强占下 朝鮮語抹殺政策硏究 : 朝鮮敎育令을 중심으로 소장
422 우리나라 初等敎員 養成의 制度的 變遷에 關한 歷史的 硏究 소장
423 日本 敎育制度 硏究 소장
424 地方自治團體의 組合 어떻게 育成할 것인가? 소장
425 (기획논문) 일제강점기 부산의 행정조직과 일제의 통치구조 네이버 미소장
426 인천의 도시로서의 성장 소장
427 「일제 식민통치체제의 확립」, 한국의 사회와 문화 11,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0. 미소장
428 「일제의 황민화운동과 정치문화 왜곡」, 학산김정학박사송수기념 한국사논총 ,한국사학논총간행위원회,1999. 미소장
429 「일제하 조선교육령 시행과 교육 국구 운동」,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교육철학 및 교육사 전공,1999. 미소장
430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에 관한 분석적 연구」,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1987. 미소장
431 日帝 强占期 京城府의 敎育行政과 敎育實態 소장
432 「한국근대교육과정의 변천과정」, 교육발전논총 1,충남대학교,1989. 미소장
433 「1920년대 부산 지역의 학교교육」,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4 미소장
434 植民地 被支配期 法制의 基礎 소장
435 開港前後-大韓帝國期의 地方財政改革 硏究 소장
436 「일제 식민정책의 변천」, 한민족독립운동사 5,국사편찬위원회,1998. 미소장
437 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 일선공학 정책과 조선인의 반응 소장
438 일제강점 초기 改良書堂의 기능과 성격 소장
439 「한국교육사연구의 과제」, 한국교육사학 11,한국교육사학회,1989. 미소장
440 「식민지 교육사 연구의 과제-지배,피해,저항을 축으로」, 교육연구에서 식민주의 논쟁의 현황과 전망,제7회 식민주의 연구 국제심포지움 자료집... 미소장
441 「일제 식민통치기구의 초기 형성과정-1905-1910년을 중심으로」, 일제식민통치연구1(1905-1919),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9. 미소장
442 「일본에서의 식민지교육사연구에 대한 단신」, 한국교육사학 29,한국교육사학회,2007. 미소장
443 「한국근대교육의 등장과 발달」,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논문,1995. 미소장
444 「일제의 식민지 문화정책-동화주의의 허구」, 한국의 사회와 문화 14,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0. 미소장
445 「미군정과 한국정부의 귀속재산 처리정책」, 한국제1공화국의 경제정책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99. 미소장
446 「일본통치시대의 조선학교비에 대한 일고찰」, 일본학연보 5,1993. 미소장
447 「한말,일제시기 전남지역의 근대교육」, 광주학생운동 ,아세아문화사,2000. 미소장
448 「1930년대 경성부의 도시사회정책 연구 -정동회ㆍ교화사업ㆍ방면위원제도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학과 행정학... 미소장
449 「식민지기 한국 중등교육 연구-1920∼30년대 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서울대 교육학과 박사학위,2002. 미소장
450 The discriminativ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distribution of the Learning opportunities and in the course after the graduation from "Women`s Godeung Botong School" 소장
451 Discrimination of the Colonial Education Focused on the Secondary School Graduates' Course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소장
452 일제 강점기 중등학교의 학생 규율 소장
453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한국중등교육(韓國中等敎育) 네이버 미소장
454 「1910,1920년대 공립보통학교 교원의 업무와 지위」,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1. 미소장
455 「목포 조계에 관한 고찰」,건국대 대학원 사학과 석사,1981. 미소장
456 「일제의 대한 식민지 교육체계의 구상과 실행」,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2005. 미소장
457 吉田松陰의 朝鮮侵略論에서 본 明治新政府의 초기 對韓政策 소장
458 <韓國 歷史學界의 回顧와 展望> : 韓國史 :近代 I,1876-1910 소장
459 「회고와 전망;한국사학계 1990-1992현대」(1910-), 역사학보 140,역사학회,1993.12. 미소장
460 「한국근대교육의 유형,보급과 그 실태」, 한국교육연구 1,한국정신문화연구소,1980. 미소장
461 「일제 제3차 조선교육령기하 학교교육의 식민지배관행」,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교육학과 교육철학 및 사학전공,1993. 미소장
462 植民主義와 帝國主義 : 보이지 않는 손이 더 무섭다 소장
463 식민지조선 연구의 동향 : 미국 학계의 동향을 중심으로 소장
464 「일제하 조선교육령에 관한 연구」(1), 교육연구 9,원광대 교육문제연구소,1990. 미소장
465 「한국교육사연구의 현황」, 한국교육사학 11,한국교육사학회,1989. 미소장
466 韓國近代史 硏究 의 基本課題 소장
467 「한국근대사연구의 성과와 제문제」, 현대한국역사학의 동향 1945-1980,역사학회,1982. 미소장
468 「일제의 식민지배 이데올로기」, 한민족독립운동사 5,국사편찬위원회,1998. 미소장
469 Usual school picture textbook analysis of Japanese colony time -In 5 grades and 6 grade usual school picture textbook centers of second Chosun education system time- 소장
470 「일제의 조선지배와 수탈구조」, 한국경제의 전개과정 ,돌베개,1981. 미소장
471 日帝下 韓國敎育政策 變遷考 : 第 1.2次 朝鮮敎育令 變改를 中心으로 소장
472 「일제의 침략기구」, 한국사 21,국사편찬위원회,1976. 미소장
473 日帝下 濟州島 敎育史 硏究 소장
474 日帝下 濟州島 學校設立運動 소장
475 일진회의 일어학교에 관한 고찰 소장
476 와타나베의 한국교육사 ,문음사,2010. 미소장
477 논문으로 읽는 교육사 ,문음사,2006. 미소장
478 한국 근대사회와 문화,2,1910년대 식민통치정책과 한국사회의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2005. 미소장
479 「1930년대 초등교육의 확대와 조선인의 교육요구」, 교육이론 6,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1991. 미소장
480 「1930년대 한국 초등교육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6. 미소장
481 植民地期의 敎育的 遺産 소장
482 植民地 敎育의 典型과 形成 : 「식민지 초등 교육의 형성」,오성철 著 <書評> 소장
483 자료해제 : 식민지 비교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외무성묘가타니연수소구장기록 1문』- 네이버 미소장
484 Tentative comparison of educational expansions in colonial Korea and Taiwan 소장
485 식민지기 교육의 식민성과 탈식민성 : 초등학교 규율의 내용과 형식 소장
486 식민지기 근대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그 의의 : 「근대 주체와 식민지 규율 권력」,김진균·정근식 共著 <書評> 소장
487 「포스트 콜로니얼리즘과 식민지 교육 연구」, 논문집 41,청주교육대학교,2000. 미소장
488 Study on the Change of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during Colonial Rule of Japan 네이버 미소장
489 「3.1운동 이후의 민족교육」, 3.1운동 50주년기념논집 ,동아일보사,1969. 미소장
490 일본(日本)의 국체론(國體論)과 대외침략론(對外侵略論) 네이버 미소장
491 식민지시대 연구의 현황과 과제(1910~1945) 소장
492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국사지리교육」,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9. 미소장
493 식민지조선과 만주국 교육제도의 비교연구 : 1938년 제3차 '조선교육령'과 '신학제'를 중심으로 소장
494 일제시대 사회통계 2 : 교육추계 소장
495 「한국 지방교육자치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경성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2001. 미소장
496 「일제하 초기 한국사회구조연구-1910-20년대 식민정책과 관련하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부속대학원 석사 ,1989. 미소장
497 개인 연구론문(個人 硏究論文) : 일본식민지(日本殖民地) 교육사(敎育史) 연구(硏究)의 동향(動向) 네이버 미소장
498 「한국에서 식민지교육사인식의 현재와 전망」, 비판-식민지교육사인식 ,2000. 미소장
499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기구변천과 기능」, 한국독립운동사 6,한국독립운동사연구회,1992. 미소장
500 The perspective of interpretative method in a study on educational history 소장
501 「제1차 조선교육령 시행기의 초등교원양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연구논집 31,이대 대학원,1996. 미소장
502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에 관한 고찰 네이버 미소장
503 일제침략기 간도한국인의 민족교육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504 조선총독부의 일본어 교육에 관한 一考 : 조선교육령을 중심으로 소장
505 「일제하의 교원양성제도 연구」,부산대 박사학위논문,1987. 미소장
506 한국 : 일제하 교육사의 재정립 네이버 미소장
507 교육사 서술 방식과 "근대"의 문제 소장
508 Analyzing the historical text as a discourse :A reading of 『The Korea Mission Field』(1905-1941) 네이버 미소장
509 Imperialism/ Colonialism as a "Modern" Phenomenon: A Reappraisal of the Legacy of Colonial Education 소장
510 식민지근대화론 논의의 성격과 그에 대한 교육적 이해 및 비판 소장
511 전지구화 시대 민족국가 담론과 식민지 연속성 문제 네이버 미소장
512 「일제의 지방통치체제 수립과 그 성격」, 한국독립운동사 6,한국독립운동사연구회,1992. 미소장
513 A Study on Private School Laws of the 3rd Chosun Education Ordinance-period 네이버 미소장
514 A Study on Private School Laws of the 4th Chosun Education Ordinance - piriod 네이버 미소장
515 식민지 시기 초등 교육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는가? : 「식민지 초등 교육의 형성」,오성철 著 <書評> 소장
516 「1920-30년대 일제의 조선문화 지배정책」, 역사교육 75,역사교육연구회,2000. 미소장
517 「식민지 통치기구의 정비와 운용」, 일제의 한국 식민통치 ,정음사,1985. 미소장
518 「日帝의 '朝鮮敎育令'硏究」,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사학과 ,1994. 미소장
519 20세기 서울 교육의 변화상 소장
520 근대 네이버 미소장
521 「3.1운동과 일제의 조선지배정책의 변화-만세시위운동에 대한 일제의 대응방식을 중심으로」, 일제식민통치연구... 미소장
522 시대의 부름에 답해야 할 역사학 <座談> 소장
523 (제국주의의 식민통치 성격 비교) 일본-만주국 네이버 미소장
524 The Outcomes and Questions of Researches on Korea Education in the beginning of Early Modern Period -Focusing on the methodology 소장
525 Fostering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in Modern Korea 소장
526 식민지교육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네이버 미소장
527 日帝時代 師範學校의 歷史 소장
528 日帝의 植民政策과 植民地 朝鮮의 法制 소장
529 「1910년대 일제의 지배 논리와 지식인층의 인식」, 한국사론 46,2001. 미소장
530 「일본제국주의의 조선에 대한 교육정책-제1차 조선교육령의 성립과정에 대한 제국교육회의 관여」, 북해도대학교육학부기요... 미소장
531 A Review of the History of Research on Formal Education -Focusing on the Korean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Periods- 소장
532 「한국교육사연구의 성격과 전망」, 한국교육사학 11,한국교육사학회,1989. 미소장
533 「일제식민정책연구의 현단계와 과제」, 한국사론 26,국사편찬위원회,1996. 미소장
534 일제의 한국강점의 역사적 성격 소장
535 「현대(1910-)-회고와 전망 ;한국사학계」1993-1995, 역사학보 152,역사학회,1996.12. 미소장
536 日帝下의 高等敎育 소장
537 제3차 조선교육령 시행기의 일제식민지주의 교육정책 : 1938~1943 소장
538 「한국교육사연구의 제 영역」, 한국교육사학회 3,한국교육사학회,1981. 미소장
539 「한국교육제도사의 성과와 과제」, 한국교육사학 9,한국교육사학회,1987. 미소장
540 한국에서의 일제식민지시대 교육사 연구 동향 소장
541 최근의 식민지시대 사회구성체론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 네이버 미소장
542 「일제하 지방재정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전남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박사학위논문,1987. 미소장
543 한말의 일어학교 교육의 연구 : 서울의 관립일어학교를 중심으로 소장
544 근대 네이버 미소장
545 「일제초기 식민지국가기구의 형성과 그 성격」, 3.1민족해방운동 연구-3.1운동 70주년기념논문집 ,한국역사연구회,역사문제연구소,1989. 미소장
546 「일제의 조선교육령 시행기의 상주지역민의 교육활동」, 상주문화연구 14,상주대학교상주문화연구소,2004. 미소장
547 교과서를 통한 일제 초등교육의 성격 연구 네이버 미소장
548 「일본제국주의 식민정책의 형성배경과 그 전개과정;대한정책을 중심으로」, 일제의한국 식민통치 ,정음사,1985. 미소장
549 「한국지방재정의 변천과 그 시대적 특징」1911.-1940, 경제논집 3-4,서울대,1964. 미소장
550 「일제하와 미군정하의 교육정책」, 경원대인문논총 6,1997. 미소장
551 일제의 '신민화' 정책에 관한 연구 소장
552 「1914년 지방행정구역 개편과 그 성격」,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1910년대] ,수요역사연구회,2001. 미소장
553 「한국유치원교육의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1885∼1945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82. 미소장
554 「일제의 대만 및 한국식민정책에 대한 비교연구」,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1972. 미소장
555 「재외거류지,거류민연구의 현재」, 동아시아해양지권의 사적연구 ,京都여자대학연구총간 39,2003. 미소장
556 「식민지 근대를 둘러싸고 -조선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역사평론 635,2005. 미소장
557 統監府 時期 日帝의 侵略論 : 병합론을 중심으로 소장
558 근대 한국 고등교육체제 형성에 관한 고찰 소장
559 明治期 일본의 한국교육 인식 변천,1 소장
560 日帝 植民統治下의 大學敎育 소장
561 近代 네이버 미소장
562 식민지 여성교육 사례 연구 :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소장
563 일제시대의 실업교육에 관한 연구 : 제2,3차 조선교육령을 중심으로 소장
564 日帝初期의 實業敎育에 關한 硏究 : 第一次 朝鮮敎育令을 中心으로 소장
565 現代 (1945~) 소장
566 A Stream of Historical Researches for Modern Korea in America : On the Colonial State under the Japanese Rule 소장
567 「일제의 식민통치와 지배정책」, 한국사와 한국인-근현대편 ,부경역사연구소,2003. 미소장
568 「조선교육령과 일제의 식민교육정책-제3차 교육령발표를 전후하여」, 안성농업전문 대학논문집 21,안성농업전문대학교,1989. 미소장
569 「일본의 식민지 동화정책에 관한 연구;창씨개명정책을 중심으로」,서울대 대학원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1999.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