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7

1. 연구방법 11

II. 본론 14

1. 지산 박인규의 생애 14

2. 지산 박인규의 학술사상 개요 19

3. 팔상론 24

1) 팔상론의 정의와 유래 24

2) 팔상론과 대대의 원리 27

3) 팔상론의 개요 32

4) 팔상론의 각론 38

(1) 상하(陰陽) 38

(2) 좌우(氣血) 46

(3) 전후(水火) 52

(4) 표리(剛柔) 67

5) 팔상론의 활용 75

6) 팔상론의 의의 80

III. 결론 83

IV. 참고문헌 88

V. ABSTRACT 91

표차례

[표 1] 지산 관련 인터뷰에 응한 인물들 11

[표 2] 남녀와 상하·좌우·전후·표리 36

[표 3] 좌우 수족에 활용한 『홍가정진비전』의 처방 51

[표 4] 남녀의 괘상 55

[표 5] 수화·조습과 형기 62

[표 6] 팔상의 형상 1 75

[표 7] 팔상의 형상 2 76

[표 8] 구안와사의 병리 79

그림차례

[그림 1] 연구 자료 13

[그림 2] 지산 박인규 14

[그림 3] 지산의 한의사 면허증 16

[그림 4] 지산과 1기 회원들 (좌측으로부터 이원희, 이해영, 홍웅표, 지산, 이숙, 이동준, 우성덕) 17

[그림 5] 전통한의학회보(1995년) 19

[그림 6] 인체의 대대관계 32

[그림 7] 남녀와 음양 35

[그림 8] 하도의 구성 40

[그림 9] 후천낙서로 본 수화 52

[그림 10] 낙서 원도 52

[그림 11] 낙서 분해도 53

[그림 12] 장부의 근엽 53

[그림 13] 전후와 수화의 작용 56

[그림 14] 선천하도의 수화 57

[그림 15] 후천낙서로 본 수화 57

[그림 16] 인체의 근본 58

[그림 17] 남녀와 삼음삼양 60

[그림 18] 남녀의 전후와 속성 60

[그림 19] 남녀와 삼음삼양 61

[그림 20] 전후와 청탁 63

[그림 21] 남녀와 전후 64

[그림 22] 육장육부의 근원 65

[그림 23] 전후와 병의 유입 경로 67

[그림 24] 강유와 병의 양상 74

[그림 25] 강유와 구안와사 78

참고문헌 (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韓國 韓醫學의 學術流派에 關한 試論」, 제5회 한국의사학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2004. 미소장
2 「 東醫寶鑑 의 形氣에 대한 논의」, 동의보감 발간 400주년 기념사업(http://www.dongui400.or.kr), 東醫寶鑑 으로 읽는 韓醫學의 歷史(39), 2010. 미소장
3 지산 박인규의 생애와 의학사상에 대한 연구 소장
4 「芝山 先生이 주창한 膽・膀胱 용어에 대한 硏究」, 大韓傳統韓醫學會誌, 2001. 미소장
5 「形象에 관한 文獻 考察」, 大韓傳統韓醫學會誌, 1999. 미소장
6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形象醫學的 考察 및 治療」, 大韓傳統韓醫學會誌, 2001. 미소장
7 朝·淸 易學의 탈성리학적 세계관 지향 소장
8 강좌 중국의학사 , 서울, 대성의학사, 2006. 미소장
9 韓醫學通史 , 서울, 대성의학사, 2006. 미소장
10 韓國醫學史 , 서울, 探究堂, 1981. 미소장
11 周易入門 , 서울, 대유학당, 2000. 미소장
12 大韓傳統韓醫學會 編, 芝山先生臨床學特講 Ⅰ , 서울, 芝山出版社, 1996. 미소장
13 大韓傳統韓醫學會 編, 芝山先生臨床學特講 Ⅱ , 서울, 芝山出版社, 1997. 미소장
14 大韓傳統韓醫學會 編, 芝山先生臨床學特講 Ⅲ , 서울, 芝山出版社, 1997. 미소장
15 大韓傳統韓醫學會 編, 芝山先生臨床學特講 Ⅳ , 서울, 芝山出版社, 1998. 미소장
16 大韓傳統韓醫學會 編, 芝山先生臨床學特講 Ⅴ , 서울, 芝山出版社, 1998. 미소장
17 大韓傳統韓醫學會 編, 芝山先生臨床學特講 Ⅵ , 서울, 芝山出版社, 1998. 미소장
18 大韓傳統韓醫學會 編, 芝山先生臨床學特講 Ⅶ , 서울, 芝山出版社, 1999. 미소장
19 대한형상의학회 편, 芝山仙法 , 서울, 지산출판사, 2010. 미소장
20 뇌, 생각의 출현 , 서울, 휴머니스트, 2009. 미소장
21 難經之硏究 , 正言出版社. 미소장
22 조선사람 허준 , 서울, 한겨레출판사, 2001. 미소장
23 經穴學叢書 , 서울, 성보사, 2002. 미소장
24 풀은 색이 푸른색이다 , 창문각, 2007. 미소장
25 編註醫學入門 , 서울, 대성문화사, 1989. 미소장
26 한의학의 원류를 찾다 ,서울, 청홍, 2008. 미소장
27 通俗漢醫學原論 , 學林社, 서울, 1983. 미소장
28 各家學說 , 서울, 대성의학사, 2001. 미소장
29 鍼灸學・上 , 서울, 集文堂, 1988. 미소장
30 易學原理講話 , 서울, 예문지, 1997. 미소장
31 宇宙變化의 原理 , 서울, 대원출판, 2009. 미소장
32 易學原論 , 學友社, 서울, 단기 4288년. 미소장
33 周易・正易 , 서울, 삶과 꿈, 2001. 미소장
34 精校註譯東醫寶鑑・內經篇 , 신우문화사, 2003. 미소장
35 對譯東醫寶鑑 , 경남, 東醫寶鑑出版社,2005. 미소장
36 洪家定診秘傳 , 서울, 대성문화사, 1990. 미소장
37 精校黃帝內經素問 , 서울, 東洋醫學硏究院出版部, 1985. 미소장
38 동의학사전 , 여강출판사, 서울, 1989. 미소장
39 備旨具解原本周易(坤) , 서울, 명문당, 1999. 미소장
40 朴仁圭, 「九宮論」, 강의록, 1994. 미소장
41 朴仁圭, 「八象論 Ⅰ」, 강의록, 1990. 미소장
42 朴仁圭, 「八象論 Ⅱ」, 강의록, 1990. 미소장
43 朴仁圭, 「八象論 Ⅲ」, 강의록, 1991. 미소장
44 朴仁圭, 「形象醫學(1)」, 강의록, 198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