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 고상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2
청구기호
TM 711 -11-238
형태사항
[vii], 10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10730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건축및도시설계, 2011.2. 지도교수: 김인철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1.1. 연구의 배경 12

1.1.2. 연구의 목적 12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13

1.2.1. 연구 대상 13

1.2.2. 연구 방법 13

1.2.3. 연구 진행 과정 14

제2장 고령화 사회와 고령자주거시설 15

2.1. 고령화 사회 16

2.1.1. 고령화의 정의 16

2.1.2. 고령화 사회의 등장 17

2.1.3. 우리나라 고령화 요인 17

2.1.4. 우리나라 고령화의 특징 19

2.1.5. 고령화 사회의 문제 23

2.1.6. 고령자에 대한 인식변화 24

2.2. 고령자주거시설 25

2.2.1. 고령자주거시설의 필요성 25

2.2.2. 고령자주거시설의 개념 28

2.2.3. 고령자주거시설의 유형 30

제3장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의 일반적 고찰 37

3.1.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의 개념 38

3.2.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의 필요성 39

3.2.1.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의 필요성 배경 39

3.3.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의 기준 42

3.3.1.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 입지결정기준 42

3.3.2.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 계획기준 44

3.4.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의 국내·외 사례 47

3.4.1. 국외사례 47

3.4.2. 국내사례 52

3.4.3. 소결 61

3.5.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의 새로운 유형 모색 62

3.5.1. 복합적 유형 62

3.5.2.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유형 63

3.5.3. 지역자원 활용 유형 64

제4장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 계획 67

4.1. 전제조건 68

4.1.1. 시설의 성격 68

4.1.2. 설계 목표 69

4.2. 대상지 현황 70

4.2.1. 대상지 선정 배경 및 조건 70

4.2.2. 지역현황 72

4.2.3. 대상지 개요 79

4.3. 건축 개요 82

4.3.1. 건축 계획 개념과 공간구성 83

4.4. 설계도면 95

4.5. 투시도 107

제5장 결론 109

참고문헌 112

국문초록 114

Abstract 116

Table 1. 우리나라 평균수명 17

Table 2. 각 나라의 노인 인구 비율 19

Table 3. 65세 이상 고령자의 연령별 분포 21

Table 4. 노인의 동·별거형태 변화추이 26

Table 5. 입지특성에 따른 개발 유형 31

Table 6. 주거형태에 따른 개발 유형 32

Table 7. 사업방식에 따른 개발 유형 34

Table 8. 선시티 웨스트 주택별 가격 49

Table 9. 라비돌 이용방법 비교 53

Table 10. 라비돌 입주비용 53

Table 11. 주택 가격 55

Table 12. 인구변동 추이 73

Table 13. 대평리 인구수 및 가구수 78

Table 14. 대상지 현황 79

Table 15. 주거 부문 세부 설명 87

Table 16. 배치 발전 단계 88

Fig 1. 우리나라 인구피라미드의 변화(1960년, 1990년, 2020년) 18

Fig 2. 우리나라의 고령화율 20

Fig 3. 고령화율 증가에 따른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구성의 변화추이 21

Fig 4. 연령별 인구구조의 변화 추이(1985~2004년) 22

Fig 5. 고령자주거시설의 주요기능 29

Fig 6.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 예시 38

Fig 7. 선시티 웨스트 주택 사진 49

Fig 8. 선시티 웨스트 주거 모델 중 C2666 평면도 49

Fig 9. Mountain Meadows 배치도 50

Fig 10. Mountain Meadows 평면 1 51

Fig 11. Mountain Meadows 평면 2 51

Fig 12. Mountain Meadows 텃밭 51

Fig 13. Mountain Meadows 공원 51

Fig 14. 라비돌 전경 52

Fig 15. 은퇴농장 주택 전경 54

Fig 16. 유당마을 전경 56

Fig 17. 유당마을 평면도 58

Fig 18. 수동 시니어타운 전경 59

Fig 19. 수동 시니어타운 16평형 평면도 60

Fig 20. 제주특별자치도 70

Fig 21. 제주특별자치도 72

Fig 22. 제주특별자치도 도로망 74

Fig 23. 대평리 위치 75

Fig 24. 대평리 위성사진 75

Fig 25. 대상지 전경 79

Fig 26. 대상지 주변 현황 80

Fig 27. 대상지 지형도 81

Fig 28 .대상지 경사도 81

Fig 29. 대상지 북측 전경 81

Fig 30. 대상지 서측 전경 81

Fig 31. 전체 조감도 82

Fig 32. Urban Synargy 83

Fig 33. Housing 83

Fig 34. Medical 83

Fig 35. Rest 83

Fig 36. Sustainability 83

Fig 37. Sports 83

Fig 38. 공간구성 모티브 84

Fig 39. 제주전통가옥 배치 DIAGRAM 85

Fig 40. 공간구성 기본 배치 85

Fig 41. 제주전통가옥의 공간구성 적용 85

Fig 42. 공간구성 세부화 85

Fig 43. 주거부문 구성계획 DIAGRAM 86

Fig 44. 주거 부문 TYPE 구분 86

Fig 45. 주거 부문 전체 TYPE 86

Fig 46. 주거 TYPE A 87

Fig 47. 주거 TYPE B 87

Fig 48. 주거 TYPE C 87

Fig 49. 대평리 민가 배치 형태 88

Fig 50. UNIT 배치 88

Fig 51. UNIT 틀기 88

Fig 52. TYPE 자유로운 배치 88

Fig 53. 평면계획 - 영역성 89

Fig 54. 평면계획 - 조망 89

Fig 55. 평면계획 - Community 89

Fig 56. 입면계획 - UNIT 90

Fig 57. 입면계획 - TYPE 90

Fig 58. 창 - 전체 조망 91

Fig 59. 창 - 서서 바라보기 91

Fig 60. 창 - 앉아서 바라보기 91

Fig 61. 창 - 누워서 바라보기 91

Fig 62. 재료 - 송판노출콘크리트 92

Fig 63. 재료 - ZINC-TITANIUM 92

Fig 64. 재료 - 제주석 돌담 92

Fig 65. 단면계획 - 주거 공간 내 외부 공간 93

Fig 66. 단면계획 - 상호 보호 93

Fig 67. 지붕 개념도 94

Fig 68. 지붕 높이에 따른 다양한 공간감 94

Fig 69. SITE PLAN 95

Fig 70. PLAN UNIT 96

Fig 71. PLAN A 97

Fig 72. ELEVATION A 98

Fig 73. SECTION A 99

Fig 74. PLAN B 100

Fig 75. LEVATION B 101

Fig 76. SECTION B 102

Fig 77. PLAN C 103

Fig 78. ELEVATION C 104

Fig 79. SECTION C 105

Fig 80. COMMUNITY CENTER PLAN 106

Fig 81. 투시도 - 기존시설 활용 107

Fig 82. 투시도 - 주거부문 UNIT 107

Fig 83. 투시도 - 툇마루 107

Fig 84. 투시도 - 공유마당 108

Fig 85. 투시도 - 개인마당 108

Fig 86. 투시도 - 돌담 108

초록보기 더보기

 오늘날 우리 사회는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국민 생활이 향상됨에 따라 사회구조가 다양화 되어 가족구조의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가치관 및 생활양식의 변화, 식생활의 개선 및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가속화 시키고 있다. 고령화 현상과 더불어 핵가족의 확산과 과학기술의 발달이 산업화, 도시화를 지향함에 따라 과거 전통적인 윤리관들이 노인 부양에 있어서도 변하게 되었다. 전통적인 가족 중심의 부양체계에서 해체되어 자녀와의 별거를 원하는 고령자의 인구 증가와 여성의 사회진출 등으로 노인단독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연금의 확대로 인한 고정적인 연금 수혜로 노후에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고령자 계층이 증가하고 있으며, 1980년대 후반부터 상류층과 중산층에서는 대도시를 떠나 전원생활에서 새로운 삶을 찾으려는 현상이 시작되고 있다. 소득 수준의 상승으로 인한 생활양식의 변화, 승용차 문화의 보급, 도시생활에서의 염증, 생활환경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인하여 전원생활을 지향하는 노년층의 증대 등 노후 생활에 대한 대비와 고령자의 생활패턴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에 따라 유료고령자주거시설의 건립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교육 및 문화수준이 높은 자립적인 고령자들의 증가로 인해 고령자복지시설 및 서비스에 대한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생활의 유지를 위해서가 아니라 본인이 주체가 되어 노년의 새로운 삶을 새롭게 재출발 하고자는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주거시설과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요구가 높다. 하지만 노후의 안정된 주거 생활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생활공간으로서의 주거시설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반의존 노인이나 간호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고령자들에게 치우쳐 있어 비교적 자립이 강한 고령자들의 거주지, 즉 주거와 휴양을 겸비한 전원생활을 필요로 하는 고령자에 대한 연구는 그 내용이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국내에 있는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은 많은 세대를 수용하기 위해 고층화 되고 호텔형과 같이 똑같은 평면 형태를 취하고 있어 주거의 형태를 취한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본 연구는 고령자주거시설의 계획에 있어서 제주도의 지역적 특성을 살려 「휴양형」 과 「전원형」 을 혼합한 형태의 고령자주거시설을 계획하여 고령자의 행태를 고려하고 자립적인 입주노인들의 주거를 배려함과 동시에 주거 단지 형성을 위한 단계적 커뮤니티 그룹을 계획하기 위하여 주거환경의 건축 계획학적 접근을 모색하였다. 또한 전원·휴양형 고령자주거시설의 전제 조건을 정함과 동시에 개념을 도출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이론의 타당성을 검증 해 보았다. 아직 구체적인 사례가 많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실현 가능한 계획안을 제시해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에서 계획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주거시설의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고령자주거시설 거주자들의 community 활성화를 통해 지역 내의 주민들과 교류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 되도록 한다.

고령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되도록 간결한 평면 구성과 영역성 구분을 통해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동시에 열린 공간을 통해 지역 내 교류를 활성화하여 상호 care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또한 대상지의 선택 조건에 있어서 기존의 용도로서 생명을 다한 건물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지속가능성의 개념을 도입해 지역자원의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원·휴양형 주거시설에 관한 건축 계획은 앞으로 나오게 될 다양한 고령자주거시설을 모색하는데 하나의 모델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이 어디서나 적용이 가능한 모델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개념적 정립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