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민속자료의 현대적 보존과 전승 연구 : 경주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구비성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2
청구기호
TM 390 -11-18
형태사항
iv, 12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110879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민속, 2011.2. 지도교수: 박환영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1. 서론 8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8

1.2. 선행연구 검토 10

1.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1.3.1. 연구의 대상 15

1.3.2. 연구의 내용 20

1.3.3. 연구의 방법 21

2. 민속자료의 지정을 통한 문화재 보호의 과거와 현재 24

2.1. 민속자료 제도의 발자취 24

2.2. 민속자료의 지정과 운영 체계 37

2.3. 민속자료의 지정 현황 41

3. 민속자료의 보존과 전승 양상 45

3.1. 경주 양동마을의 문화경관 및 민속자료 지정 현황 45

3.1.1. 경주 양동마을의 문화경관 45

3.1.2. 경주 양동마을의 민속자료 지정 현황 53

3.2. 경주 양동마을의 민속자료 지정 과정 62

3.3. 경주 양동마을의 민속자료의 보존 및 전승 양상 67

4. 민속자료의 현대적 보존과 전승의 과제 83

4.1. 민속자료의 현대적 가치 83

4.2. 민속자료 보존과 전승의 체계적 방향 모색 94

5. 결론 108

참고문헌 112

부록 120

국문초록 127

ABSTRACT 129

〈표-1〉 문화재의 유형 및 지정주체에 의한 분류 16

〈표-2〉 집단민속자료구역 내 문화재 지정 현황 18

〈표-3〉 민속자료 관련 문화재청 회의록과 국가문서 목록 22

〈표-4〉 문화재위원 및 전문위원 현황(위촉기간:2009.4.26~2011.4.25) 40

〈표-5〉 민속자료의 지역별 지정 현황 42

〈표-6〉 중요민속자료의 유형 분류 43

〈표-7〉 경주 양동마을의 민속자료 지정 현황 54

〈표-8〉 1970년대 경주 양동마을의 지붕재료 변화율 73

〈표-9〉 경주 양동마을의 가옥 유형별 현황 74

〈표-10〉 경주 양동마을과 관련된 현존 계획체계 81

〈표-11〉 경주 양동마을의 년도별 정비사업 82

〈표-12〉 세계문화유산의 등재 기준 90

〈그림-1〉 지정문화재로서의 민속자료 지정 및 운영체계 40

〈그림-2〉 문화재청 조직도 (2010년 12월 현재) 41

〈그림-3〉 경주 양동마을의 ‘勿’ 자형 풍수형국 46

〈그림-4〉 경주 양동마을 영역 구성도 47

〈그림-5〉 관가정(左)과 수졸당(右)의 ‘ㅁ’ 자 평면 49

〈그림-6〉 경주 양동마을의 종가 분파와 영역 51

〈그림-7〉 경주 양동마을의 지정문화재와 주요 문화유산 배치도 55

〈그림-8〉 중요민속자료 제23호 양동 서백당(良洞 書百堂) 120

〈그림-9〉 중요민속자료 제73호 양동 낙선당(良洞 樂善堂) 120

〈그림-10〉 중요민속자료 제74호 양동 사호당 고택(良洞 沙湖堂 古宅) 121

〈그림-11〉 중요민속자료 제75호 양동 상춘헌 고택(良洞 賞春軒 古宅) 121

〈그림-12〉 중요민속자료 제76호 양동 근암 고택(良洞 謹庵 古宅) 122

〈그림-13〉 중요민속자료 제77호 양동 두곡 고택(良洞 杜谷 古宅) 122

〈그림-14〉 중요민속자료 제78호 양동 수졸당(良洞 守拙堂) 123

〈그림-15〉 중요민속자료 제79호 양동 이향정(良洞 二香亭) 123

〈그림-16〉 중요민속자료 제80호 양동 수운정(良洞 水雲亭) 124

〈그림-17〉 중요민속자료 제81호 양동 심수정(良洞 心水亭) 124

〈그림-18〉 중요민속자료 제82호 양동 안락정(良洞 安樂亭) 125

〈그림-19〉 중요민속자료 제83호 양동 강학당(良洞 講學堂) 125

〈그림-20〉 경상북도민속자료 제34호 양동 대성헌(良洞 對聖軒) 126

초록보기 더보기

 모든 국가는 자국의 문화유산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는 자국 또한 예외가 아니며,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여 문화재를 지정·보호해오고 있다. 문화재보호법에서는 문화재를 성격에 따라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로 구분하고 있는데, 민속과 관련한 문화재를 문화재의 한 범주로서 인식하고, 이를 법적 체계 아래에서 지정·보호해오고 있음은 특징적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간 세계유산보호에 있어 엘리트주의적 유산에 대한 관심 집중에 대한 반성에 따라 최근에 들어 문화 다양성의 추구와 공존을 지향하는 문화유산정책으로 변화해 가고 있으며, 이에 민속과 관련한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비교적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이러한 개념을 자국의 문화재보호법에서 민속자료를 문화재의 한 범주로 삼아 오래토록 지정·보존해 온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민속자료를 약 50년간 문화재보호법의 체제 아래에서 지정·보호해 오고 있음은 다행이지만, 여전히 민속자료를 유형문화재의 일부 혹은 유형의 자료로서 인식하고 있음은 한계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민속자료의 보존과 전승에 있어서도 민속자료보호의 원칙을 ‘원형보존’ 에 초점을 두고 외형을 보존하기 위한 방안에 그치고 있다. 이는 그 동안 민속자료의 가치나 보호체계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지 못하고, 민속자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탓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제까지 비교적 논의가 적었던 민속자료를 대상으로 민속자료의 가치를 재인식함과 동시에 민속자료의 지속적인 보호를 위해 민속자료의 현대적 가치에 따른 보존과 전승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먼저 문화재보호법에 나타난 민속자료 보호제도의 변천과정 및 현행 민속자료보호제도의 검토를 통해 민속자료의 정의 및 범위를 새롭게 인식하고, 중요민속자료 제189호 경주 양동마을을 사례로 민속자료의 개념 및 민속자료의 지정 범위가 실제 어떻게 적용되고 변화되어왔으며, 보존과 전승의 양상은 어떻게 진행되어왔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4장에서는 민속자료의 보존과 전승의 체계적 방향을 모색해보았는데, 특히, 문화재보호에 있어 세계문화유산의 등록으로 상징되는 국제적 변화에 대응하기위해 민속자료의 보호체계를 정비하고, 민속자료의 보존과 전승의 체계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작업으로 그간 자국의 문화재보호법으로 보호되어오던 민속자료의 정책성과를 어떻게 계승하고, 정책영역을 확장할 것인가 하는 관점에서 문제를 접근하였으며, 세부적으로 민속자료의 보호대상, 기본원칙, 관리범위, 보존방식, 전승방식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더 나아가 문화재보호의 세계적 추세에 따라, 문화재의 개념이 새롭게 정의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민속자료의 중요성은 더욱 대두되고 있는데, 이에 대응한 민속자료의 현대적 역할을 모색해 보았다.

본 논문은 민속자료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함과 동시에 비교적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문화재 보호의 세계적 추세에 따른 문화재 개념과 지정범위 등의 변화와 관련하여 민속자료의 현대적 가치를 재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어떠한 대상을 지정하여 보존하고, 어떻게 전승할 것인지에 대하여 문제 제기를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