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7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7
2. 연구 범위와 방법 8
3. 선행 논문연구 9
II. 본론 10
1. 음악교육 10
2. 인간의 성장 발달에 따른 바이올린교육 방법 12
1) 미취학 연령(만3-6세)에 따른 바이올린교육 방법 14
2) 초등학교 저학년(만7-9세)의 바이올린교육 방법 15
3) 초등학교 고학년(만10-12세)의 바이올린교육 방법 15
4) 중·고등학교(만13-18세)의 바이올린교육 방법 17
3. 바이올린 교수법 발전사 18
4. 운지법 22
1) 17세기의 바이올린 운지법 23
2) 18세기의 바이올린 운지법 24
3) 현대의 운지법 26
5. 운궁법 28
1) 투르트(Tourte) 이전의 운궁 28
2) 투르트 이후의 현대적 운궁법 29
6. 바이올린 기법 연구 35
1) VIBRATO 35
2) PIZZICATO 36
3) ARCO 37
4) HAMONICS 37
5) LEGATO 38
6) DETACHE 39
7) FOUETTE (Whipped) 40
8) MARTELLE 40
9) COLLE 41
10) SPICCATO 41
11) SAUTILLE 42
12) STACCATO 43
13) FLYING STACCATO 44
14) RICOCHET 44
15) SHIFTING 45
16) DOUBLE STOP 46
17) TRILLS 46
18) LEFT HAND PIZZICATO 47
19) GLISSANDO 47
7. 운지법에 의한 바이올린 기법 연구 49
III. 결론 51
참고문헌 53
국문초록 57
ABSTRACT 58
〈그림-1〉 비브라토기법 36
〈그림-2〉 피치카토기법 36
〈악보-1〉 스트링 빌더 바이올린 교본1 120번 1-8마디 37
〈악보-2〉 스트링 빌더 바이올린 교본1 121번 1-8마디 37
〈악보-3〉 카이저 바이올린 연습곡 3번 21쪽 1-4마디 38
〈악보-4〉 Max Bruch Concerto No.1 3악장 180-193마디 40
〈악보-5〉 Paganini 24 Caprices 10번 1-3마디 40
〈악보-6〉 Paganini 24 Caprices 23번 1-5마디 41
〈악보-7〉 카이저 바이올린 연습곡 3번 12쪽 1-5마디 42
〈악보-8〉 Kreutzer 42 Etudes 2번 1-2마디 42
〈악보-9〉 카이저 바이올린 연습곡 3번 12쪽 12-17마디 43
〈악보-10〉 F. Mendelssohn violin concerto 3악장 26-29마디 44
〈악보-11〉 F. Mendelssohn violin concerto 카덴자 마지막 3마디 44
〈악보-12〉 Henri Wieniawski Concerto No.2 67-70마디 45
〈악보-13〉 Dont 24 Caprice 8번 1-4마디 46
〈악보-14〉 Kreutzer 42 Etudes 19번 1-4마디 47
〈악보-15〉 Paganini 24 Caprices 45쪽 1-6마디 47
〈악보-16〉 Tommaso Vitali Chaconne 180-182마디 48
〈악보-17〉 스트링 빌더 바이올린 교본1 44번 50
〈악보-18〉 Kreutzer 42 Etudes 1번 99-103마디 50
전문 바이올리니스트의 양성은 교육자와 학습자간의 상호 작용이 중시되며, 그 교육과정은 교육자의 숙련된 경험과 연주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의 전수에만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연주자라는 분야에 예술적 가치를 창조하는 일로, 학습자의 개인적인 능력을 발전시키는 일이며 바이올린 교육과정에 있어 전문적인 연주자로 발전 할 수 있도록 학습 능력을 키우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바이올린 연주자를 양성하는 교육자의 입장에 근거하여, 음악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더불어, 음악적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살피고, 바이올린 음악사에 근거한 교수법 발전사 및 운지법, 운궁법과 전반적인 바이올린 기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도출된 바이올린 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습 방법들은 현 시대의 교육자에게 있어 모범이 되는 예시로, 이를 실제에 도입했을 때, 학습자의 음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테크닉 연마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교육자의 교습방법에 따라 음악성의 향상 여부가 좌우되므로, 교육자는 학습자가 전문적인 연주자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바이올린 교수법을 익히고 이를 실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