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ABSTRACT 9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문제 15
3. 용어의 정의 16
II. 이론적 배경 21
1. 청소년기 양극성장애 21
1) 개념 21
2) 임상양상 및 특징 24
3) 원인 27
4) 진단 30
5) 공존질환 32
2. 청소년기 양극성장애의 관련변인 36
1) 생물학적 변인 37
2) 심리사회적 변인 43
3. 청소년기 양극성장애 관련선행연구 54
1) 국내 관련선행연구 54
2) 국외 관련선행연구 57
III. 연구방법 60
1. 연구설계 60
2. 연구대상 60
3. 연구도구 62
1) 기초사항 질문지 62
2) 기분장애 질문지(Korean-Mood Disorder Questionnaire: K-MDQ) 62
3) 또래관계척도 63
4) 스트레스척도 63
5) 자살생각척도 64
6) 사회불안척도 65
7) 비행척도 66
4. 연구절차 67
5. 자료분석 67
IV. 연구결과 70
1. 청소년기 양극성장애 성향의 정도와 유형 분석 70
2. 청소년기 양극성장애 성향의 유형에 따른 관련변인들의 차이분석 70
3. 청소년기 양극성장애 성향과 관련변인들의 상관분석 73
4. 양극성장애 정상집단과 위험집단의 판별에 관련변인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로지스틱회귀분석 74
1) 양극성장애 정상집단과 위험집단의 판별에 생물학적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 74
2) 양극성장애 정상집단과 위험집단의 판별에 심리사회적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 76
3) 양극성장애 정상집단과 위험집단의 판별에 전체 관련변인들이 미치는 영향 78
5. 양극성장애 위험집단의 양극성장애 성향에 관련변인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81
1) 양극성장애 위험집단의 양극성장애 성향에 생물학적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 81
2) 양극성장애 위험집단의 양극성장애 성향에 심리사회적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 82
3) 양극성장애 위험집단의 양극성장애 성향에 전체 관련변인들이 미치는 영향 83
V. 논의 85
1. 청소년기 양극성장애 성향의 정도와 유형 85
2. 청소년기 양극성장애 성향의 유형에 따른 관련변인들의 차이 86
3. 청소년기 양극성장애 성향과 관련변인들의 상관관계 90
4. 양극성장애 정상집단과 위험집단의 판별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예측관계 91
5. 양극성장애 위험집단의 양극성장애 성향에 대한 관련변인들의 예측관계 97
VI. 결론 및 제언 102
1. 결론 102
2. 제언 103
참고문헌 105
부록 1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 and types of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adolescence and eleven variables(gender, age, sleeping time, father age at birth, birth order, numbers of siblings, peer relationship, stress, suicide thinking, social anxiety, delinquency). Participants were 1,052 students attending 2 middle schools for students with normal school in the Gwangju.
Korean-Mood Disorder Questionnaire(K-MDQ) was used to collect date on type and severity of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adolescence.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s, t-tests,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sing K-MDQ total score of 13, the prevalence of normal group in participants was 614(58.4%) of 1,052(100%) participants. And the prevalence of risk group in participants was 438(41.6%) of 1,052(100%) participants.
Second, chi-square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adolescence and gender, age. T-test was used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adolescence and nine related variables(sleeping time, father age at birth, birth order, numbers of siblings, peer relationship, stress, suicide thinking, social anxiety, delinquency). Th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adolescence and gender, age, sleeping time, stress, suicide thinking, social anxiety, delinquency.
Third,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ipolar disorder tendency total score and eleven related variables. The correlations of bipolar disorder tendency total score with seven variables(gender, age, sleeping time, stress, suicide thinking, social anxiety, delinquency) were statistically low significant.
Fourt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etween distinguishing normal groups and risk groups in bipolar disorder tendency and biological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two variables(age, sleeping tim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etween distinguishing normal groups and risk groups in bipolar disorder tendency and psychosocial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three variables(peer relationship, social anxiety, delinquency).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etween distinguishing normal groups and risk groups in bipolar disorder tendency and eleven related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three variables(peer relationship, social anxiety, delinquency).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risk group and biological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one variables(sleeping tim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risk group and psychosocial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one variables(delinquenc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risk group and eleven related variables revealed a significant predictive relationship with one variables(delinquenc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research, and some consider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06).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 또래 관계와 청소년의 사회불안의 관계.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Stress and Emotional Response in Patients with Mood Disorder | 소장 |
3 | 교육과학기술부 (2008). http://www.mest.go.kr | 미소장 |
4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cntal Loss Among Major Depression,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s | 소장 |
5 | 중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양식 및 학교적응도와의 관계 | 소장 |
6 | 청소년 여가의 참여동기 및 만족과 비행간의 관계 | 소장 |
7 |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생태체계적 관점의 연구 : 공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 소장 |
8 | (2009). 소아기 양극성장애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어떻게 구별할 수 있나? 박원명,전덕인 외 공저,양극성장애 (pp. 423-432).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9 | Clinical Study on manic Patients with Delusion in Mood Disorder ![]() |
미소장 |
10 |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모감독 및 자아개념 상호작용효과 중심으로 | 소장 |
11 | 청소년 스트레스 및 인지적 왜곡과 자살 생각과의 관련성 | 소장 |
12 | 기분장애와 출생계절의 관련성 | 소장 |
13 | 부모의 양육행동, 또래관계의 질 및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 소장 |
14 | 청소년의 행동억제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또래관계기술의 중재효과 | 소장 |
15 | 첫 삽화 정신분열병 스펙트럼 장애와 주요 우울장애 환자의 치료추구행위 | 소장 |
16 | 기분장애와 출생순위 및 가족력에 관한 일 연구 ![]() |
미소장 |
17 | DEVELOPMENT OF SCALE FOR MEASURING DELINQUENT BEHAVIOR | 소장 |
18 | The Effect of Their Anxiety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s on the Level of Domestic Violence Perceived by Adolescents | 소장 |
19 | 정신건강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살요인에 미치는 효과 | 소장 |
20 |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소장 |
21 | (2009). 정신사회적 원인. 박원명,전덕인 외 공저,양극성장애 (pp. 73- 85).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22 | (1978). 오늘의 청소년-한국청소년의 의식구조와 행동양식. 한국청소년 연구소, 9- 11. | 미소장 |
23 | (2000).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 미소장 |
24 | 메디컬 투데이 (2009. 6. 19). 고등학생 5.2% 양극성장애 의심. from http://www.todaykorea.co.kr | 미소장 |
25 |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 Attempt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 소장 |
26 | 법제처 (2010). http://www.law.go.kr | 미소장 |
27 | 보건복지부 (2002). http://www.mw.go.kr | 미소장 |
28 |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Depressive Episode between Bipolar I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 소장 |
29 | 입원노인환자의 수면장애 요인들과 그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소장 |
30 | 양극성 장애 아형의 임상적 특성 | 소장 |
31 |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수준이 신앙생활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32 | Clinical Manifestation and Psychopharmacotherpy of Pediatric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33 | (2009). 양극성장애 환자에서의 신체 공존질환: 양극성장애 치료의 필수적 고려 영역. 박원명, 전덕인 외 공저, 양극성장애 (pp.320-332).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34 | 중학생의 욕설 사용 실태와 욕설 사용 빈도에 따른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우울의 차이 | 소장 |
35 | 인문·실업계 보건실 이용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비교연구 | 소장 |
36 | 서울 거주 중·고등학교 남학생의 학년별 수면 양상 | 소장 |
37 | (1993). 중 • 고등학생의 수면실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8 |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 소장 |
39 | (2009). 양극성장애의 임상과 양상: 경과 및 예후. 박원명,전덕인 외 공저,양극성장애 (pp. 139- 155).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40 | The Severity of Stresses and Affective Disorders ![]() |
미소장 |
41 |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소장 |
42 | (2009). 신경생물학적 원인. 박원명,전덕 인 외 공저,양극성장애 (pp. 43- 72).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43 |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Ⅰ :행동억제기질, 부모양육태도 및 외상경험의 영향 | 소장 |
44 | (1999). 인간관계와 적응: 삶을 위한 심리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45 | (2008). 소아 • 청소년기의 양극성장애(조울증): 양극성장애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새희망.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46 | 스트레스,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47 |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대한 스트레스-취약성 모델 검증 | 소장 |
48 | Psychotic Features in Mania | 소장 |
49 | 전남지역 일부 남자 중학생의 수면의 질과 간식섭취의 상관관계 연구 | 소장 |
50 |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
미소장 |
51 |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청소년의 또래관계 질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양육방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소장 |
52 | 아동과 부모, 가족환경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 실태 연구 | 소장 |
53 | 청소년의 개인 및 가족 요인과 우울간 관련성 | 소장 |
54 | 한국 청소년 인성교육의 개선방안 연구 | 소장 |
55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WITH MOOD DISORDER | 소장 |
56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소장 |
57 | (2007). 양극성장애 환자의 의학적 공존 질환: 후향적 차트조사. 대한우울조울병학회지, 5(1),30- 33. | 미소장 |
58 |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Mood Disorder Questionnaire(K-MDQ). | 소장 |
59 | The Differences between ADHD with Bipolar Disorder Patients and ADHD Patients without Bipolar Disorder | 소장 |
60 | (2004). 아동기행동장애(제5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61 |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parental type | 소장 |
62 | (2007). 조기 발병 양극성장애: 생물학적 특성. 대한우울조울벽학회지,5(2),86-91. | 미소장 |
63 | 조울 정신병 의 병적 인격 과 임상증상과 의 상호 관계성에 대한 연구 | 소장 |
64 | Predicting Factors on Youth suicide Impulse | 소장 |
65 | Prevalence of Suicide Behaviors(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 and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s in Junior and High School Adolescents | 소장 |
66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ipolar Disorder according to age at onset ![]() |
미소장 |
67 | 여성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 소장 |
68 | 관해기 양극성 장애와 정신분열병 환자의 주관적 증상 비교 | 소장 |
69 | A Study on Stressful Life Events and Coping Methods about Partly Tuberculosis Hospital Inpatients and General Hospital Inpatients ![]() |
미소장 |
70 |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청소년비행에 관한 연구 | 소장 |
71 | (2003). 소아 . 청소년의 우울증과 기분장애. 대한우울조울병학회지, 1(1),50-59. | 미소장 |
72 | (2003). 일 대학병원에 입원한 양극성장애 환자의 인구학적,임상적 특성: 1990-2001. 대한조울우울병학회지,1(1),72- 81. | 미소장 |
73 | How can Early Identificat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Help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소장 |
74 | (2009). 소아-청소년 양극성장애. 박원명,전덕인 외 공저,양극성장애 (pp. 433-451). 서울: 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75 | (2008). 한국판 소아 양극성장애 설문 2.0(child bipolar questionnaire 2.0)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대한신경의학,47(3),269-278. | 미소장 |
76 | 청소년 비행 원인과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 | 소장 |
77 | (1998). 현대청년심리학. 서울:학문사. | 미소장 |
78 | 통계청 (2009). 2009 청소년 통계자료. 대전: 통계청. | 미소장 |
79 | (2009). 진단. 박원명,전덕인 외 공저,양극성장애 (pp. 95- 112). 서울:시그마프레스. | 미소장 |
80 | 중학생의 스트레스, 정신건강 및 신체증상에 관한 조사 연구 | 소장 |
81 | (1990). 양극성장애환자의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에 관한연구. 순천향대학논문집, 13(1),185-193. | 미소장 |
82 | A Comparative Study on Early-and Late-onset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83 | The Childhood Characteristics of Manic-Depressive patients ![]() |
미소장 |
84 | The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for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 소장 |
85 | 중학생의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소장 |
86 | (1995). Developmental pathways to biopolarity: Are juvenile onset depressions pre—bipola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4(6), 754-763. | 미소장 |
87 | Washington: A Centennial Atlas by James W. Scott; ![]() |
미소장 |
88 | American Psychiartic Association. (2000). Diagnosis and statistic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text rev.). Washington, DC: Author. | 미소장 |
89 | Gender differences in bipolar disorder: retrospective data from the first 500 STEP‐BD participants ![]() |
미소장 |
90 | (1996).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 r bipolar disorder. NY: Guilford. | 미소장 |
91 |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 |
미소장 |
92 | Social Phobia and Overanxious Disorder in School-Age Children ![]() |
미소장 |
93 | (1999). Psychioathology of childhood social phobia.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scent Pstchiarty, 38(6), 643-650. | 미소장 |
94 | The Features and Effects of Friendship in Early Adolescence ![]() |
미소장 |
95 | (1998). Mania is mistaken for ADHD in prepubertal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37(10), 1091-1093. | 미소장 |
96 | Clinical cours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spectrum disorders. ![]() |
미소장 |
97 | Mother-Child Interactions in Depressed Children and Children at High Risk and Low Risk for Future Depression ![]() |
미소장 |
98 | Bipolar depression--a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characteristics. ![]() |
미소장 |
99 | JUVENILE MANIA VERSUS ADHD ![]() |
미소장 |
100 | (2009). The concept of bipolar disorder in children: A hisrory of the bipolar controversy.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Clinics of N o rth America, 18(2), 257-271. | 미소장 |
101 | Affective disorder in adolescence: issues in misdiagnosis. ![]() |
미소장 |
102 | Early age at onset as a risk factor for poor outcome of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03 | Consistency and variability in causal attributions and coping with stress ![]() |
미소장 |
104 | Elevated frequency of diabetes mellitus in hospitalized manic-depressive patients. ![]() |
미소장 |
105 | Slower treatment response in bipolar depression predicted by lower pretreatment thyroid function. ![]() |
미소장 |
106 | Long-term stability of polarity distinctions in the affective disorders. ![]() |
미소장 |
107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ipolar disorder in very young children ![]() |
미소장 |
108 | Manic-depressive variant syndrome of childhood: a preliminary report. ![]() |
미소장 |
109 | Tobacco smoking behaviors in bipolar disorder: a comparison of the general population, schizophrenia, and major depression. ![]() |
미소장 |
110 | (1991). Adolescent development and behavior (2nd ed.). Englewood Cliffs,NJ: Prentice. | 미소장 |
111 | Self-reported sleep quality, strain and health in relation to perceived working conditions in females ![]() |
미소장 |
112 | Bipolar disorder. II: Personality and age of onset ![]() |
미소장 |
113 | Is comorbidity with ADHD a marker for juvenile-onset mania? ![]() |
미소장 |
114 | The genetics of pediatric-onset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15 | Molecular Genetic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
미소장 |
116 | (1999). Genetics of mental disorder. NY: Guilford. | 미소장 |
117 | Cognitive impairment in bipolar affective disorder: implications for the bipolar diathesis. ![]() |
미소장 |
118 | Geriatric nursing continuing education issue ![]() |
미소장 |
119 | Advancing paternal age and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20 | Child bipolar I disorder: prospective continuity with adult bipolar I disorder; characteristics of second and third episodes; predictors of 8-year outcome. ![]() |
미소장 |
121 | Prepubertal and young adolescent bipolarity versus ADHD: assessment and validity using the WASH-U-KSADS, CBCL and TRF ![]() |
미소장 |
122 | Bipolar disorder at prospective follow-up of adults who had prepubertal major depressive disorder. ![]() |
미소장 |
123 |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93 cases of a prepubertal and early adolescent bipolar disorder phenotype by gender, puberty and comorbi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
미소장 |
124 | (1986). Delinquent behavior. NJ: Prentice-Hall. | 미소장 |
125 | Tobacco smoking and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26 | (1990). Manic-depressive illness. NY: Oxford University. | 미소장 |
127 | (2007). Manic— depressive illness. NY: Oxford University. | 미소장 |
128 | (1992). Peers relation in early and middle childhood. Handbook of social development London: Metheum. | 미소장 |
129 | Gender and bipolar illness. ![]() |
미소장 |
130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reening instrument for bipolar spectrum disorder: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 |
미소장 |
131 | Validity of the mood disorder questionnaire: a general population study. ![]() |
미소장 |
132 | Quality of sleep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aemodialysis patients. ![]() |
미소장 |
133 | A systematic review of manic and depressive prodromes ![]() |
미소장 |
134 | (2002). Bipolar and unipolar depression: A comparison of clinical phenomenology and psychosocial predictors. In I. H. Gotlib & C. L. Hammen (Eds.),Handbook of depression (pp. 141 - 156). NY: Guilford. | 미소장 |
135 | The role of sleep and wakefulness in the genesis of depression and mania. ![]() |
미소장 |
136 | The self-medication hypothesis of substance use disorders: a reconsideration and recent applications. ![]() |
미소장 |
137 | Depression during mania: clinical observations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 |
미소장 |
138 | (2005). Psychiatric and medical comorbidities of bipolar disorder. Psychosomatic Medicline, 67(1), 1—8. | 미소장 |
139 |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in a bipolar disorder case registry. ![]() |
미소장 |
140 | Prodromes, coping strategies, insight and social functioning in bipolar affective disorders. ![]() |
미소장 |
141 | DSM-III-R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 |
미소장 |
142 |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 미소장 |
143 | Women with bipolar illness: clinical and research issues. ![]() |
미소장 |
144 | Lack of relationship between menstrual cycle phase and mood in a sample of women with rapid cycling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45 |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mood in patients with rapid-cycling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46 | Defining clinical phenotypes of juvenile mania. ![]() |
미소장 |
147 | Bipolar Disorders in a Community Sample of Older Adolescents: Prevalence, Phenomenology, Comorbidity, and Course ![]() |
미소장 |
148 | Age at onset of bipolar affective illness. ![]() |
미소장 |
149 |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ipolar disorder: a neglected comorbidity. ![]() |
미소장 |
150 | Axis I psychiatric comorbidity and its relationship to historical illness variables in 288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51 | (1988). Adolescent versus adult onset of mania. Journal of Psychiatry,145(2), 221—223. | 미소장 |
152 | Medical comorbidity in bipolar disorder: reprioritizing unmet needs ![]() |
미소장 |
153 | National trends in the outpatient diagnosis and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n youth. ![]() |
미소장 |
154 | Prostate biopsy quantitative histology as a staging and prognostic factor. ![]() |
미소장 |
155 | (1975). The psychobiology of mania NY: Basic. | 미소장 |
156 | (1992). Genetics. In E. S. Paykel (Ed.),Handbook of affective disorders (2nd ed.,pp. 131—148). NY: Guilford. | 미소장 |
157 | (1986). Psychosocial factors in a model of manic-depressive disease. Integr Psychiatry,4(3), 150—161. | 미소장 |
158 | Risks of affective illness among first-degree relatives of bipolar I old-order Amish probands. ![]() |
미소장 |
159 | Long-Term implications of early onset in bipolar disorder: data from the first 1000 participants in the systematic treatment enhancement program for bipolar disorder (STEP-BD) ![]() |
미소장 |
160 |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 |
미소장 |
161 | (1993). Behavior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witness parental violence. Family Violence and Sexual Assault Bulletin, 9(2), 23—27. | 미소장 |
162 | (1991). A school-based procedure for the identification of adolescents at risk for suicidal behaviors. Family Community Health, 14(3), 64-75. | 미소장 |
163 | The familial transmission of bipolar illness. ![]() |
미소장 |
164 | Bipolar disorders and suicidal behaviour ![]() |
미소장 |
165 | Psychosocial impairment associated with bipolar II disorder ![]() |
미소장 |
166 | Social anxiety and self-presentation: a conceptualization and model. ![]() |
미소장 |
167 | Further evidence for age of onset being an indicator for severity in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68 | Anxiety disorder comorbidity in bipolar disorder patients: data from the first 500 participants in the Systematic Treatment Enhancement Program for Bipolar Disorder (STEP-BD). ![]() |
미소장 |
169 | Expressed emotion and interactional patterns in the families of bipolar patients. ![]() |
미소장 |
170 | Mania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 prepubertal child: diagnostic and treatment challenges. ![]() |
미소장 |
171 | Reduced suicide risk during lithium maintenance treatment. ![]() |
미소장 |
172 | Overweight and obesity in bipolar disorders ![]() |
미소장 |
173 | Bipolar Disorder in Children Misdiagnosis, Underdiagnosis, and Future Directions ![]() |
미소장 |
174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n adolescent mania. ![]() |
미소장 |
175 | Risk for Substance Use Disorders in Youths With Child- and Adolescent‐Onset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176 | Mania-Like Symptoms Suggestive of Childhood-Onset Bipolar Disorder in Clinically Referred Children ![]() |
미소장 |
177 | Anxious and non-anxious bipolar disorder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