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내용 및 방법 14

II. 본론 15

1. 이론적 배경 15

(1) 대중음악 15

(2) 대중음악 교육의 실제 사례 21

(3) 음악 교육관에서 바라보는 대중음악 30

2. 음악교육에 있어서 대중음악의 활용 44

(1)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 44

(2)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50

(3) 각 출판사별 대중음악 지도내용 61

III. 결론 144

참고문헌 146

ABSTRACT 148

국문초록 150

표목차

〈표-1〉 제 7차 교육과정 음악과 목표 44

〈표-2〉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이해영역 47

〈표-3〉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 활동영역 48

〈표-4〉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의 분류 50

〈표-5〉 고등학교 8종 음악교과서에 실린 순수음악과 대중음악의 수록 비율 50

〈표-6〉 고등학교 8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장르의 비율 51

〈표-7〉 교학사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목록 53

〈표-8〉 대한교과서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목록 54

〈표-9〉 두산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목록 54

〈표-10〉 박영사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목록 55

〈표-11〉 세광음악출판사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목록 56

〈표-12〉 천재교육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목록 56

〈표-13〉 태성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목록 57

〈표-14〉 현대음악출판사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목록 58

〈표-15〉 교과서에 수록된 대중음악 장르별 분류 58

〈표-16〉 돌아오라 소렌토로 61

〈표-17〉 오! 나의 태양 62

〈표-18〉 물망초 64

〈표-19〉 향수 65

〈표-20〉 Chante 65

〈표-21〉 Beauty and the Beast 66

〈표-22〉 Moon River 68

〈표-23〉 Swing low, Sweet chariot 68

〈표-24〉 그대 있는 곳까지 69

〈표-25〉 Beautiful Sunday 71

〈표-26〉 Bridge Over Trouble Water (험한 세상 다리가 되어) 71

〈표-27〉 Sing 72

〈표-28〉 Let it be 74

〈표-29〉 I understand 75

〈표-30〉 Love is blue(사랑은 우울해) 76

〈표-31〉 Memory 77

〈표-32〉 샹젤리제 78

〈표-33〉 꽃의 속삭임 79

〈표-34〉 Holiday 80

〈표-35〉 Love 80

〈표-36〉 Take me home country road 81

〈표-37〉 여름날 82

〈표-38〉 거치른 들판에 푸르른 솔잎처럼 82

〈표-39〉 Swing low, Sweet chariot 83

〈표-40〉 Beauty and the Beast 84

〈표-41〉 그대 있는 곳까지 85

〈표-42〉 우리는 86

〈표-43〉 산정에 올라 87

〈표-44〉 남으로 창을 내겠소 88

〈표-45〉 돌아오라 소렌토로 88

〈표-46〉 오! 나의 태양 89

〈표-47〉 라 노비아 90

〈표-48〉 사랑의 찬가 91

〈표-49〉 여름날 92

〈표-50〉 Sunrise, Sunset 93

〈표-51〉 I will follow him 94

〈표-52〉 Bye Bye Love 95

〈표-53〉 Yesterday 96

〈표-54〉Tonight 97

〈표-55〉 볼라레 97

〈표-56〉 곤들리 곤돌라 98

〈표-57〉 고엽 99

〈표-58〉 마법의 성 101

〈표-59〉 Annie's Song 101

〈표-60〉 Scarborough fair 103

〈표-61〉 겨울아이 103

〈표-62〉 아름다운 강산 104

〈표-63〉 나이 서른에 우린 105

〈표-64〉 샹젤리제 105

〈표-65〉 그대 있는 곳까지 106

〈표-66〉 Love me tender 107

〈표-67〉 이제 17세 108

〈표-68〉 추억 109

〈표-69〉 Tonight 110

〈표-70〉 돌아오라 소렌토로 110

〈표-71〉 오! 나의 태양 111

〈표-72〉 로미오와 줄리엣 112

〈표-73〉 여유 있게 걷게 친구 113

〈표-74〉 꽃의 계절 113

〈표-75〉 I will follow him 115

〈표-76〉 Swing low, Sweet chariot 116

〈표-77〉 I will follow him 117

〈표-78〉 How deep is your love 119

〈표-79〉 Joshua Fit the Battle of Jericho 120

〈표-80〉 마음으로 그리는 세상 121

〈표-81〉 오! 나의 태양 121

〈표-82〉 마리아 마리 123

〈표-83〉 I don't know how to love him 124

〈표-84〉 J에게 126

〈표-85〉 우리의 사랑이 필요한 거죠 126

〈표-86〉 그대 있는 곳까지 127

〈표-87〉 My way 128

〈표-88〉 세상 높은 곳에서 129

〈표-89〉 Yesterday 129

〈표-90〉 The lion sleeps tonight 130

〈표-91〉 Young and Free 132

〈표-92〉 My heart will go on 133

〈표-93〉 돌아오라 소렌토로 134

〈표-94〉 Memory 135

〈표-95〉 마법의 성 138

〈표-96〉 가시버시 사랑 138

〈표-97〉 When I dream 139

〈표-98〉 스카보로의 추억 140

〈표-99〉 돌아오라 소렌토로 140

〈표-100〉 추억 142

초록보기

대중매체의 급격한 발달로 인하여 청소년들은 대중음악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들은 자신들이 듣고 있는 음악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고 무분별하게 듣고 따라 부르는 것에만 치우쳐져 있다. 음악교사들 또한 획일적인 수업으로 인하여 학교 교육과 학생간의 거리감을 좁히기 위해 양자간의 합일점을 찾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수업에 있어서 대중음악의 개념, 특징, 종류를 정리하였고 대중음악을 음악수업에 실제 적용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고 고등학교 음악에 대중음악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 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음악 교육관을 통해 바라본 대중음악에 대한 평가를 시도함으로써 대중음악이 교육적으로 활용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중음악 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업지도를 위하여 제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영역별로 나누어 수업 개요안을 작성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폭 넓은 다양한 음악적 능력을 기르게 하고 음악 교사들과 학생들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게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의 연구는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대중음악 수용과 대중음악교육에 대한 다양하고 균형 잡힌 소양을 갖추어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된다.

오늘날 대중음악교육은 피할 수 없는 것이 되었고 대중음악을 통한 음악교육이 필요한 상황임을 알아야 한다. 음악교육에 있어서 먼저 생각할 것이 자라나는 청소년들임을 알아야 한다. 청소년기에게 있어 균형적인 발달이야말로 음악 교육의 목표 중 하나인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 역할이라 할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이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음악적 환경을 만들어 줄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음악을 활용한 효과적인 음악 수업의 연구가 계속 되어져야 한다.